고수온에 강원 원정양식까지… 멍게 최대산지 경남, 올핸 지각 출하

━
‘97% 폐사’ 경남 멍게, 2개월 늦깎이 출하
바다 위 20평(66.1㎡) 남짓한 작업장과 맞닿은 육지를 연결하는 건 10m 길이 철제 다리. 세척ㆍ분리를 마쳐 상자에 담긴 멍게는 작업장에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육지로 오르고, 이곳에서 바로 물차가 멍게를 실어 나르는 구조다.

분리ㆍ세척 기능을 갖춘 선별기 앞에서 인부들 작업이 분주한 가운데, 작업장 한편에선 올해 처음 출하된 남해안 멍게를 한 아름 사 들고 기념 촬영을 하는 관광객도 눈에 띄었다. 50대로 보이는 한 관광객은 “마침 인근을 방문했다 멍게 작업 소식을 반가운 마음에 달려왔다”고 했다.
통영에 있는 멍게수하식수산업협동조합(멍게수협)에 따르면 연간 국내 멍게 생산량 3만t 중 약 70%가 양식어가 250여곳이 일구는 경남 앞바다 800㏊ 양식장에서 난다. 본래 매년 2월 초나 3월 말 그해의 첫 경매인 ‘초매식’을 여는 것으로 멍게 출하 신호탄이 울린다.

━
“강원 앞바다 피신한 멍게, 1년 키워 내보내”
지난해 여름과 같은 전량 폐사는 40년 넘게 멍게양식업을 한 송씨도 처음 겪는 일이었다고 한다. 그는 “본래 멍게는 2년을 길러 아이 주먹 정도 크기가 될 때 출하한다”며 “오늘부터 출하하는 멍게는 모두 1년산이다. 크기부터 예년만 못하다”고 했다.

전량 폐사의 악몽을 딛고 송씨는 지난해 11~12월쯤 이처럼 피신 보냈던 멍게를 다시 경남 앞바다로 모셔와 심었다. 그는 “본래 물살이 부드러워지는 보름 주기로 양식장에 나가 양식장을 살핀다”며 “올해는 남해안 멍게가 제때 출하되지 않으면서 주변 상인ㆍ식당 등에서 ‘멍게가 잘 자라고 있느냐’ ‘5월엔 출하가 되겠느냐’고 성화였다. 그 덕에 양식장을 살피러 나가는 때가 훨씬 많았다”고 했다.

이날 송씨가 출하한 멍게는 약 5t 분량. 매년 2~6월 이루어지던 출하 시기가 5월로 늦춰졌는데 앞으로 얼마나 더 출하될지는 그로서도 알기 어렵다고 했다. 이날 주변 작업장엔 여전히 적막만 감돌았다. 송씨는 “올해 여름을 넘기고 2년을 채워 출하할까 하는 고민도 있었다”며 “하지만 주변에 출하를 부탁하는 이들이 많고, 무엇보다 올 여름 고수온 피해가 얼마나 극심할지도 걱정됐다”며 1년산 출하를 결정한 이유를 설명했다.
━
“깊은 바다 양식 이전, 규제 완화를”
하지만 양식장 이설은 수산업법에 따라 기초ㆍ광역지자체 심의를 모두 통과하고, 어업권 및 공유수면 점ㆍ사용 허가도 모두 새로 받아야 하는 등 절차가 까다롭다고 한다. 송씨는 “매년 고수온 피해가 심해져 양식어민에게 이설은 그야말로 생존 문제”라며 “다수 양식어민은 양식장 이설 관련 규제 완화를 간절히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김민주([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