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옷 골라 클릭했더니, 내 사진에 입혀주네"…구글AI 야심작 [팩플]
20일(현지시간) 구글 연례 개발자 회의(I/O)가 열린 미국 캘리포니아 마운틴뷰 곳곳은 구글의 자체 인공지능(AI) 모델 제미나이를 기반으로 한 제품들의 체험 부스들로 채워졌다. 각 부스마다 구글의 신규 제품을 체험하려는 사람들의 줄이 길게 늘어섰다. 이날 순다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는 기조연설에서 “과거 구글은 최고의 모델을 I/O에서 발표하기 위해 아껴두는 편이었다. 하지만 지금, 구글은 최고의 모델을 최대한 빨리 제품에 적용해 이용자 여러분께 선보이려고 한다”고 말했다. 피차이 CEO를 필두로 이어진 임원진들의 기조연설도 AI 모델의 성능보다는 AI가 적용된 제품 소개에 초점이 맞춰졌다.
AI 패권 경쟁의 흐름이 더 ‘똑똑한’ AI에서 일상에서 더 ‘사람을 잘 돕는’ AI로 옮겨가고 있다. 구글은 올해 I/O에서 제미나이가 적용된 사용자 중심 프로덕트들을 연달아 소개하고 체험 부스를 마련하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제미나이 생태계’를 예고했다.

검색에 AI 심는다
실제 체험 부스에서 휴대전화 카메라로 기자의 전신 사진을 찍어 업로드한 뒤, 구글 검색으로 찾은 원피스 하나를 선택했다. 그러자 3초 만에 기자의 사이즈를 고려해 옷을 피팅한 AI 합성 사진이 떠올랐다. AI가 의류의 원단이나 신축성 등을 반영해 더 자연스러운 피팅이 가능했다. 구글은 이날부터 미국 현지에 해당 서비스를 시작하고, 조만간 상품 구매까지 연결해주는 에이전트 기능도 추가할 방침이다.

AI 모드에선 질문을 여러 개의 하위 주제로 세분화 해 동시에 검색을 진행하는 ‘쿼리 팬아웃(fan-out)’ 기법이 활용된다. 가령 “토요일 레즈(센시내티 레즈) 경기 하단 좌석 중 저렴한 티켓 2장을 찾아줘”라고 요청하면 AI가 수백 개 사이트에서 실시간 가격과 재고 정보를 확인해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방식이다. 이에 더해 구글은 실시간으로 카메라 화면을 AI와 공유하면서 질문을 주고 받는 ‘서치 라이브’ 기능도 내놨다.
음성·이미지도 자연스럽게
이게 왜 중요해

더 알면 좋은 것
더중앙플러스: 팩플
“챗GPT, 거짓말해서 안 써요” 대학생 쓰는 ‘노트북LM’ 뭐길래
요새 ‘AI 좀 쓴다’는 사람들은 다 쓰고 있다는 구글의 노트북LM. 어떻게 써야 잘 쓸 수 있을까? 노트북LM 활용 꿀팁들을 모았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5959
“한국 개발자, 큰 기회 왔다” 깃허브의 24시간 ‘코딩 과외’
코딩 AI는 개발자들의 일자리를 얼마나 위협하는 걸까. 앞으로 개발자들이 일하는 방식은 어떻게 변할까. 팩플이 셰린 네이피어 깃허브 APAC(아시아·태평양 지역) 부사장과 이메일을 주고받으며 물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6249
요새 ‘AI 좀 쓴다’는 사람들은 다 쓰고 있다는 구글의 노트북LM. 어떻게 써야 잘 쓸 수 있을까? 노트북LM 활용 꿀팁들을 모았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5959
“한국 개발자, 큰 기회 왔다” 깃허브의 24시간 ‘코딩 과외’
코딩 AI는 개발자들의 일자리를 얼마나 위협하는 걸까. 앞으로 개발자들이 일하는 방식은 어떻게 변할까. 팩플이 셰린 네이피어 깃허브 APAC(아시아·태평양 지역) 부사장과 이메일을 주고받으며 물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6249
김민정([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