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RI, 대정전 방지·미래 전력계통 전략 포럼 개최

최근 AI 등 전력수요의 급증과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상향에 따라 무탄소 전원을 중심으로 전력계통이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특히 태양광발전, 풍력발전 등의 재생에너지 발전원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 역시 큰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전력계통 분야는 안정적인 계통 운영을 위한 전원 계획 수립 등 다방면의 패러다임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따라서 이번 행사는 국내외 전력계통 현황을 되돌아보고, 지속 가능한 미래 발전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포럼은 ▲해외 대정전 사례 및 시사점(KERI 이상호 전력망연구본부장) ▲재생에너지 중심 시대 전력계통 안정성 확보(KERI 이승렬 차세대전력망연구센터장) ▲재생에너지 시대 전력계통 관성 확보 중요성(서울과학기술대 송화창 교수) ▲고속·고정밀 데이터 기반 전력계통 감시·제어(광운대 윤민한 교수) ▲재생에너지 계통연계 기준 및 검증 개편 방향(연세대 허견 교수)까지 총 5개의 주제 발표로 구성된다.
이후에는 장길수 RAGRC 센터장을 좌장으로, 산업부 최연우 전력정책관과 조홍종 단국대 교수, 강부일 한국전력거래소 계통운영처장, 이성규 한국전력공사 계통기술실장 그리고 주제 발표자들이 함께하는 패널 토의가 이어지며, 미래 전력계통이 직면한 과제와 대응전략을 중심으로 각 분야 전문가들의 의견을 공유할 예정이다. 단기적 측면에서는 기술적 해결 방안과 제도적 여건 등을 중심으로 논의하고, 장기적 측면에서는 직류전원 확대에 따른 근본적인 직류(DC) 패러다임 전환에 대해 다룰 예정이다.
KERI 이상호 전력망연구본부장은 “해외 대정전 사례를 분석하여 국내 전력계통의 사전 대응 역량 강화를 모색하고, 기술·제도·운영 측면에서의 통합적 검토를 통해 정책 개선 방향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하며 “이번 포럼은 국내 최고 전력계통 및 재생에너지 분야 전문가들이 함께하는 지식 교류의 장이 될 것이다”라며 기대감을 밝혔다.
한편, KERI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이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