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드라마 같은데 외국인? K제작사, 이젠 현지서 만든다
한국 콘텐트 제작사들이 해외 드라마 기획과 연출에 적극 나서고 있다. 리메이크 판권 판매나 제작비 투자에서 한발 더 나아가, 현지 문화와 언어에 맞는 콘텐트를 직접 제작해 K-콘텐트의 영토 확장을 꾀하는 모습이다.![한국 콘텐트 회사가 제작에 참여한 일본 드라마 ‘마물’. [사진 SLL]](https://www.koreadaily.com/data/photo/2025/05/22/c90b9afa-53fc-4c7d-a207-f68375b5d382.jpg)
또 국내 콘텐트 제작사 스튜디오드래곤이 제작에 참여한 일본 드라마 3편이 다음 달부터 8월까지 연이어 선을 보인다.
아마존프라임비디오는 다음 달 일본 드라마 ‘내 남편과 결혼해줘’(私の夫と結婚して)를 공개한다. 한국 시청자에게 익숙한 제목이다. 지난해 1월 tvN에서 방영된 한국판은 평균 시청률 9.2%를 기록하며 인기를 모았다.
일본에서 공개되는 같은 제목의 드라마는 출연진이 전원 일본인이다. 스튜디오드래곤 관계자는 “올해 1월부터 프로듀서 팀을 일본 현지에 파견해 일본 현지 정서를 파악했다”라며 “한국 드라마의 ‘리메이크’가 아니라 일본 정서에 맞게 완전히 새롭게 각색한 작품”이라고 말했다. 동명의 한국 드라마가 나오기 전인 2023년 초부터 일본 시장을 겨냥해 CJ ENM JAPAN과 함께 기획했다. 기획은 한국 제작사가 도맡았고, 제작은 한국 제작사 자유로픽처스와 일본 제작사 쇼치쿠가 함께했다.
7월에는 일본 지상파 방송사 TBS와 스튜디오드래곤이 합작한 로맨스 드라마 ‘하츠코이도그즈’(恋愛DOGs)가 방영된다. 한국인 재벌 3세와 일본인 수의사, 그리고 변호사가 갈등 속에서 우정을 쌓고 상처를 치유해 가는 과정을 담은 작품. 배우 나인우가 일본 배우 기요하라 가야, 나리타 료 등과 호흡을 맞춘다. 8월 OTT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되는 일본 드라마 ‘소울 메이트’는 제작사 지티스트(스튜디오드래곤 자회사)가 일본 제작사 로봇커뮤니케이션즈와 공동 제작했다. 가수 겸 배우 옥택연이 일본 배우와 함께 출연한다. 지티스트 관계자는 “일본 방송 시장 규모는 한국 대비 2배인 반면, 제작비는 절반 수준이어서 콘텐트 사업 매력이 큰 시장”이라고 전했다.
![한국 콘텐트 회사가 제작에 참여한 미국 드라마 ‘운명을 읽는 기계’. [사진 스튜디오드래곤]](https://www.koreadaily.com/data/photo/2025/05/22/0812f511-eaf5-44b2-a59e-86622dbfbd7f.jpg)
한국 제작사들의 해외 진출에 대해 김교석 대중문화 평론가는 “국내 경기가 부진하고 그 영향이 드라마 시장에도 미치면서 제작사들이 현지화를 통해 해외 시장 활로를 개척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특히 젊은 층을 중심으로 과거와 같은 반일감정이 많이 사라진 상황에서, 비교적 잔잔한 드라마를 선호하는 일본 시장에서의 경험이 지나치게 장르물에 의존하는 한국 드라마 시장에 다양성을 불어넣는 시너지 효과를 낳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영어로 공연하는 K-뮤지컬 ‘위대한 개츠비’. [사진 오디컴퍼니]](https://www.koreadaily.com/data/photo/2025/05/22/ed79f8fe-c12b-4aa1-b122-55e2c5df0a9e.jpg)
원종원 순천향대 공연영상학과 교수는 “‘명성황후’ 등의 경우 한국에서의 공연을 사실상 그대로 옮겨 해외에 진출한 것과 달리 ‘위대한 개츠비’는 한국 제작사가 해외에서 현지 시스템을 그래도 적용하며 제작한 작품”이라며 “K-뮤지컬이 맞는가에 대한 논란이 있을 수 있지만, 다양한 방식의 해외 진출 사례가 나오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평했다.
하남현([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