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CEO "스마트 안경 기술은 복잡…삼성과 협력 이유"
연례 개발자 콘퍼런스 둘째 날 글로벌 기자간담회 개최 "새 검색 'AI 모드' 전 세계 모든 사람이 이용하게 될 것"
연례 개발자 콘퍼런스 둘째 날 글로벌 기자간담회 개최
"새 검색 'AI 모드' 전 세계 모든 사람이 이용하게 될 것"
(마운틴뷰[미 캘리포니아주]=연합뉴스) 김태종 특파원 =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는 "스마트 안경 분야 제품은 (기술이) 복잡하기 때문에 삼성과 협력하고 있다"고 21일(현지시간) 밝혔다.
피차이 CEO는 이날 구글 연례 개발자 콘퍼런스(I/O)가 열리고 있는 미 캘리포니아주 마운틴뷰 본사에서 글로벌 기자 간담회를 갖고 자체적인 스마트 안경 개발 역량에도 삼성전자 등과 협력하는 이유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구글은 콘퍼런스 첫날인 전날 기조연설에서 삼성전자와 스마트 안경 개발을 위해 협력한다고 밝혔다. 구글이 스마트 안경 개발에 나서는 것은 2013년 선보였던 구글 글래스를 2년 만에 단종한 이후 10년 만이다. 이번 스마트 안경 개발에는 한국 선글라스 업체 젠틀몬스터 및 미국 안경 브랜드 와비 파커도 참여한다.
그는 "우리는 항상 안드로이드(운영체제)에 대한 노력의 대부분을 생태계와 협력하는 데 투입해 왔다"며 "스마트폰에서도 그렇게 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XR(확장현실)에 있어서는 여러 면에서 고글(안경) 쪽 제품이 복잡하기 때문에 삼성과 협력하고 있다"며 "휴대전화를 만드는 것처럼"이라고 설명했다.
구글은 삼성과 XR 헤드셋 개발도 협력하고 있으며, 운영체제 안드로이드를 삼성 갤럭시폰에 탑재하고 있다.
다만, 그는 "안경의 경우는 좀 달라서 사람들이 패션처럼 생각하기 때문에 (기술이) 드러나지 않도록 디자인돼야 한다"며 젠틀몬스터 등과 협력하는 이유도 설명했다.
피차이 CEO는 전날 발표한 구글의 새 검색 기능 'AI 모드'를 전 세계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구글은 생성형 AI 기능을 한 데 모은 새로운 검색 기능 'AI 모드'를 선보였다.
그는 "항상 모든 기술 변화가 더 많은 사람에게 기술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한다고 생각해 왔다"며 자신은 인도에서 유선 전화기를 5년 동안 기다려야 했던 시대에 자랐지만, 모바일이 국민 대부분의 이용을 가능하게 했고 인터넷도 그런 예 중 하나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AI도 그러할 것"이라며 "구글은 단순히 최첨단 AI를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검색과 같은 제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AI를 수십억 명의 사람들이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들기 위해 정말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AI 모드, AI의 힘, 검색이 어떻게 변모하고 있는지 상상해 보라"며 "그것은 전 세계 모든 사람이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피차이 CEO는 또 AI 훈련에 앞으로 많은 에너지가 필요한 데 대해 "우리는 오랫동안 깨끗한 재생 에너지를 많이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가지고 있다"며 "소형원자로(SMR), 핵융합, 지열 등에도 투자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구글은 네바다주에 데이터 센터가 있는데 주로 지열로 전력을 공급받고 있으며, 2030년까지 SMR을 위한 계약을 체결해 데이터 센터 수요의 일부를 지원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어 "이 모든 투자가 깨끗한 재생 에너지로 이어져 결국 우리를 더 나은 곳으로 이끌 것"이라고 기대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김태종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