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저주’ 푼 매킬로이, 긴장도 풀렸나

마스터스 우승 후 목표를 잃은 매킬로이는 PGA 챔피언십을 47위로 마쳤다. [로이터=연합뉴스]
지난달 마스터스에서 우승해 커리어 그랜드슬램을 달성한 로리 매킬로이(36·북아일랜드)는 이후 훨씬 더 강해질 것 같았다. 잰더 쇼플리는 PGA 챔피언십을 앞두고 “그랜드슬램 부담을 떨쳐낸 매킬로이가 무섭다”고 경계했다.

정작 PGA 챔피언십에서 매킬로이는 “이제는 즐기겠다. 내 경력의 하이라이트는 그랜드슬램 달성이며 나머지는 보너스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되면 좋고, 안 되면 말고”라는 뉘앙스여서 약간 놀란 기자 누군가가 다시 확인하자 “원했던 모든 걸 이뤘다. 골프에서 하고 싶은 건 다 했다. 세계 최고 선수, 모든 메이저 대회 우승을 꿈꿨고 그걸 해냈다”고 강조했다. 이어 “앞으로 얼마나 경기를 더 하든 그건 보너스”라고 선을 그었다.

더 많은 우승을 추구하지만, 전과 같은 부담은 갖지 않으려는 일종의 작전일 수 있다. 실제 그는 “숫자나 통계 때문에 부담 갖고 싶지 않고 그저 내가 할 수 있는 최고의 골프를 치고 싶을 뿐”이라고 말했다. 그렇게 믿고 싶었다.

그런데 경기를 보니 꼭 그런 것만은 아닌 듯했다. PGA 챔피언십에서 매킬로이는 공동 47위를 했다. ‘로리 매킬로이 컨트리클럽’이라는 말을 들을 만큼 그에게 유리하고 잘 쳤던 코스였다.

성적이야 그럴 수 있지만, 태도마저 좀 달랐다. 메이저 대회는 인내가 가장 중요한데, 평소보다 좀 더 짜증이 많은 듯했다. 클럽을 던져버렸고, 낙뢰로 경기가 지연되자 카메라 앞에서 욕설도 했다.

대회 전 드라이버 테스트에서 부적격 판정을 받은 게 드러났다. “오래 써서 페이스가 얇아졌다”는 사실을 그냥 말하면 될 텐데, 평소와 달리 나흘 내내 인터뷰를 거부해 ‘뭔가 있는 것 아니냐’는 오해도 샀다. 그러고 보니 PGA 챔피언십 직전 참가한 트루이스트 챔피언십에서도 매킬로이는 뭔가 뜨악해 보였다.
로리 매킬로이가 PGA 챔피언십 1라운드에서 티샷을 실수한 후 괴로워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마스터스 이후 그와 관련한 뉴스가 몇 개 있었다. 호주 대회에 2년간 참가한다. 인도에서 열리는 대회에 나간다는 보도자료도 22일 왔다. 초청료를 꽤 받을 거다.

다음 달에는 영국 런던으로 이사한다. 이사는 마스터스 우승과 상관없이 예정돼 있었고 미국 플로리다의 집도 유지한다고 했다. 그래도 메이저대회 4개 중 3개가 열리는 미국에서 약간 발을 빼는 인상은 지울 수 없다.

마스터스 우승 전까지 매킬로이는 그리스 신화 속 시시포스 같았다. 다시 굴러 내려올 바위를 산 위까지 올려야 하는 형벌을 받은 그 시시포스 말이다. 매킬로이는 마스터스 우승으로 통쾌하게 저주를 풀었다고 생각했다. 앞으로 더 멋진 신화를 쓸 거라고 말이다.

물론 매킬로이는 할 만큼 했다. 10대 때부터 최선을 다했다. 목표는 자신이 정하는 거고, 가족에게 돌아가는 건 가장 아름다운 결말이다.

그래도 타이거 우즈와 비교할 수밖에 없다. 우즈는 섹스스캔들 이후에도, 칩샷 입스에 걸렸을 때도, 허리 수술을 하고 교통사고가 났어도 메이저 대회 우승이라는 목표를 잃지 않았다.

매킬로이는 이제야 족쇄가 풀린 것 같았는데 “하이라이트는 끝났다”고 했다.

그래서 마스터스 우승 후 기자회견장에 들어오자마자 매킬로이가 꺼낸 말이 자꾸 떠오른다. 그는 기자들에게 “우리 내년에는 여기서 무슨 얘기를 할 건가”라고 말했다. 10년간 지겹게 듣던 커리어 그랜드슬램 얘기가 끝났다는 농담이었는데 뒤돌아 생각해보니 섬뜩하다.

형벌을 끝낸 신화의 매력적인 주인공과는 이제 할 얘기가 없어지는 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성호준([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