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수에 욕" "소방관에 갑질"…2차토론, 1차보다 독했다
23일 열린 두 번째 대선후보 TV토론에선 지난 토론과 달리 각 후보 간 거친 네거티브 공방전이 이어졌다. 진행자가 “오늘 주제는 사회 분야다. 주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게 해달라”고 당부하는 일도 있었다.
이어진 토론에선 “국민 통합을 하려면 가정부터 통합돼야 한다”며 “형님을 정신병원에 강제 입원시키려다가 형수님과 욕을 하고 다투고 이렇게 된 것 아니냐”고 묻기도 했다. 이 후보는 “그 점은 제 소양의 부족, 수양의 부족으로 다시 사과 말씀을 드린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김 후보는 소방관한테 전화해서 ‘나 김문수인데’라며 갑질하지 않았느냐. 그렇게 권력을 남용하면 안 된다”고 맞받았다.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의 타깃도 이 후보였다. 그는 “오늘은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6주기”라며 “자신의 사이비 호텔 경제학에 의문을 제기하는 국민을 바보라고 조롱하는 후보가 감히 노무현을 입에 올리는 세상에서 노무현 정신이 어디 있느냐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고 말했다.
이준석 후보가 “2012년 대선 이후 김어준씨 등 부정선거를 주장하는 사람이 있는데, 이 후보도 이것에 동조해 관련 내용을 공유한 바 있다”고 묻자 이재명 후보는 “국정원이 댓글 조작을 통해서 국민 여론을 조작했기 때문에 그 측면에서 부정선거라고 한 것이지, 투ㆍ개표를 조작했다 이런 차원은 아니었다”고 반박했다.

그러자 김 후보는 “정말 안전한지, 사실인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며 이 후보가 아닌 이준석 후보에게 “원자력의 위험성에 대한 과장된 미신이 많이 있는 것 같은데 카이스트 같은 데서 이런 연구도 하는 것 아니냐”고 물었다. 그러자 이준석 후보는 “당연하다”라며 “이재명 후보가 원전에 가보지도 않았다고 말씀하시는 것에 대해서 얼마나 이념에 경도되어서 원전에 대해 오해를 하고 계시는지 국민께서 아실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고 했다.
모두발언에서 네 후보 가운데 유일하게 상대 후보에 대한 공세성 발언을 하지 않고,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 등 ‘내란 프레임’ 공세를 이어가려던 이재명 후보도 상대 후보의 공세가 거세지자 민감하게 반응하기 시작했다.
김 후보가 “이 후보는 지금도 재판을 5개나 받고 있다. 법인카드를 가지고 지나치게 사적인, 개인 샴푸를 사 쓴다든지 이루 말할 수 없는 비리 부정이 많다"고 이 후보는 “김 후보가 소속된 정권에서 아무런 증거 없이 언론플레이한, 무작위 기소한 결과라고 말씀드린다”며 “증거를 대보시라. 그렇게 쓴 일이 없다”고 반박했다.
이준석 후보의 질문엔 구체적인 답변을 하는 대신 상대의 토론 태도를 지적하는 경우가 많았다. “상대가 하지도 않은 말을 한 것으로 전제한다”, “왜곡하거나 특정 부분을 빼 짜깁기하는 건 안 하시면 좋겠다”고 했다.
이재명 후보는 논란이 됐던 이른바 ‘호텔 경제학’에 대해선 전문가 사례를 들며 “누군가 호텔에 투숙하려고 해서 100유로 돈이 들어왔다가 다시 고객이 나간 경우라도 돈의 순환 효과로 외부에서 자금이 들어오지 않아도 경제가 순환될 수 있는 사례가 있다”,“루카스 차이제, 이런 이들의 100달러 이야기라고 인터넷에 검색하면 많이 나온다"고 주장했다.

김기정([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