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SON '드디어 정상 등극'→이젠 이강인 차례... 韓 유럽파 UEL+UCL 동반 우승 정조준

[사진]OSEN DB.

[사진]OSEN DB.


[OSEN=노진주 기자] 손흥민(33, 토트넘 홋스퍼)이 유럽축구연맹(UEFA) 유로파리그(UEL) 우승을 차지하며 한국 선수의 UEL과 챔피언스리그(UCL) 동반 제패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이제 파리 생제르맹(PSG) 이강인(24)의 차례다.

손흥민은 지난 22일(한국시간) 스페인 빌바오 산 마메스 경기장에서 열린 맨유와 2024-2025 UEL 결승전에서 후반 22분 교체 투입돼 경기 종료까지 뛰었다. 팀의 1-0 승리에 일조, 드디어 커리어 첫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토트넘은 1983-1984시즌 UEFA컵(UEL 전신) 우승 이후 41년 만에 유럽클럽대항전 정상을 탈환했다. 동시에 2007-2008시즌 리그컵 이후 17년 만에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손흥민에게도 이번 우승은 특별한 의미다. 프로 데뷔 이후 15시즌 만에 처음으로 우승을 경험했다.

또 그는 UEFA컵을 포함한 유로파리그에서 트로피를 들어 올린 네 번째 한국 선수로 기록됐다. ‘차붐’ 차범근 전 대표팀 감독이 가장 먼저 우승컵을 들어올린 인물이다. 그는 프랑크푸르트(1979-1980시즌)와 레버쿠젠(1987-1988시즌)에서 두 차례 UEFA컵을 제패했다. 이후 김동진(현 국가대표팀 코치)과 이호(인천 유나이티드 수석코치)가 2007-2008시즌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UEFA컵 우승을 경험했다. 다만 김동진은 결승에서 후반 추가시간 1분간 교체로 출전했고 이호는 출전 명단에서 제외됐다.

[사진]OSEN DB.

[사진]OSEN DB.


[사진]OSEN DB.

[사진]OSEN DB.


맨유전 교체로 나선 손흥민은 아시아 선수 최초로 UEFA 챔피언스리그와 유로파리그 결승 무대를 모두 밟은 선수가 됐다. 그는 2018-2019시즌 UCL 결승에서 풀타임을 소화했다. 하지만 토트넘이 리버풀에 0-2로 패해 준우승에 그쳤다. 그러나 이번에는 토트넘 주장으로서 유럽대항전 트로피를 들어 올리며 '우승'이란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이제 관심은 이강인에게로 향한다. 이강인의 소속팀 PSG는 오는 내달 1일 오전 4시 독일 뮌헨 알리안츠 아레나에서 인터 밀란과 2024-2025시즌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을 치른다.

이강인은 박지성, 손흥민에 이어 한국 선수로는 세 번째로 UCL 결승 무대를 앞두고 있다.

지금까지 한국 선수 소속팀은 UCL 결승에서 네 차례 우승에 도전해 한 번 정상에 올랐지만 벤치에 머무르는 게 아닌 경기를 뛰며 우승을 경험한 한국 선수는 없었다.

[사진]OSEN DB.

[사진]OSEN DB.


박지성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소속으로 세 번의 결승 무대를 밟았다. 2007-2008시즌 첼시와의 결승에선 출전 명단에서 제외됐고, 이듬해 바르셀로나와의 결승에선 선발로 출전해 아시아 선수 최초 UCL 결승 출전 기록을 세웠다. 하지만 맨유는 0-2로 패했다. 2010-2011시즌 바르셀로나와 재대결에선 풀타임으로 뛰었으나 1-3으로 또다시 무릎을 꿇었다.

손흥민 역시 2018-2019시즌 리버풀과의 결승에 선발 출전했지만 토트넘은 준우승에 머물렀다.

이강인의 UCL 결승 출전 여부는 미지수다. 그는 올 시즌 리그1에서 30경기에 출전해 6골 6도움을 기록했다. UCL에서도 11경기를 소화했지만 8강 1차전을 기점으로 4경기 연속 벤치에 머물렀다.

/[email protected]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파리 생제르맹, 이강인, 토트넘 소셜 미디어.  


노진주([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