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끼곰 야생성 지켜주려…곰탈 쓰고 털옷 입는 美동물보호사들
'나홀로' 발견된 어린 곰에 어미곰처럼 나무 오르고 땅파는 법 가르쳐
'나홀로' 발견된 어린 곰에 어미곰처럼 나무 오르고 땅파는 법 가르쳐
(서울=연합뉴스) 김연숙 기자 = 생후 두달 된 새끼곰을 돌보기 위해 기꺼이 곰 탈을 둘러쓰고 털옷을 입는 등 정성을 아끼지 않은 미국 동물보호사들의 노력이 화제다.
23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등 미 언론에 따르면 샌디에이고 동물보호협회의 라모나 야생동물센터 직원들은 최근 곰 옷을 입고 지내고 있다.
지난달 보호소에 입소한 새끼 흑곰을 돌보기 위해서다. 새끼 곰이 야생으로 돌아가기 전 전 야생성을 잃고 인간과 인간이 주는 음식에 너무 익숙해지지 않도록 거리를 두기 위해서다.
보호사들을 곰처럼 꾸며 행동하게 함으로써 새끼곰이 어미곰의 행동을 따라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센터는 버려지거나 길을 잃은 새끼곰 등 야생동물을 환영하기 위해 동물옷을 입는 관행을 두고 있었다.
인스타그램에 올라온 영상을 보면 이 곰은 우리 안의 정글짐에 올라가고, 봉제 곰 인형을 갖고 노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뭔가에 겁을 먹거나 큰 소리가 나면 곰 인형에 달려가 위안을 구하고, 인형을 마치 자신의 엄마인 것처럼 여긴다고 센터 관계자는 전했다.
직원들은 털옷에 핼러윈용 곰 마스크를 써 마치 어미곰처럼 행동한다. 이를 본 곰은 직원들을 형제자매나 놀이 친구처럼 여길 가능성이 크다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하지만, 직원들이 아무리 두꺼운 털옷을 두르고 그 안에서 땀을 뻘뻘 흘려도, 실제 흑곰의 덩치가 워낙 큰 탓에 사람은 왜소해 보일 수밖에 없다. 센터 관리자 어텀 웰치는 외모와 관련, "자존심은 두고 들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직원들은 가끔은 군인이나 사냥꾼처럼 위장용 마스크로 얼굴을 가리기도 한다.
이 곰은 지난 4월 12일 로스 파드리스 국유림에서 야영객들에게 발견돼 이곳에 왔다. 당시 혼자서 울부짖고 있었다고 한다.
동물 당국은 엄마곰을 찾으려 했지만 허사였고, 결국 새끼곰은 '베이비 베어'(Baby Bear)란 별명을 안고 이곳 센터로 왔다.
도착 당시 베이비 베어는 매우 허약해 보였다. 두 손바닥 안에 들어올 정도의 작은 크기에 무게는 1.4㎏밖에 되지 않았고, 탈수 증세도 있었다.
지금은 움직임도 활발해졌고 체중은 5.5㎏가 넘는다. 하루 네 번씩 영양을 보충하거나 먹이를 받는다.
웰치씨는 '베이비 베어' 정도의 어린 새끼곰이 어미 없이 홀로 발견되는 것은 매우 드문 일이라고 설명했다. 그렇게 야생에 혼자 남겨졌다면 살아남을 수 없었을 거라고 그는 덧붙였다.
이렇게 어릴 때부터 곰을 키우는 것은 쉽지 않은 일로 엄청난 시간과 전문 지식, 자원이 필요하다고 센터 측은 설명했다.
직원들에게 곰에게 어떤 풀과 꽃을 먹을 수 있는지, 안전한 곳으로 가기 위해 나무에 어떻게 오르는지, 곤충을 찾으려면 어떻게 땅을 파는지 등 실제 곰의 행동을 가르치고 있다.
직원들에게 지나치게 호기심을 보인다 싶으면 직원들은 곰 발성을 내며 어미곰처럼 먹이를 밀어주는 등 주의를 돌리려 하고 있다.
새끼곰이 지내는 공간도 다른 곰 보호소에서 가져온 건초와 물건들로 꾸며 실제 곰이 있는 환경처럼 꾸몄다. 직원들에게도 곰 냄새가 몸에 배도록 했다.
센터 측은 이 곰을 최장 1년간 돌보고 충분히 강해졌을 때 야생으로 돌려보낼 계획이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김연숙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