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자 봉쇄에 '나치 원죄' 독일서도 비판여론 고조
"이스라엘 국가 존립과 무관"…EU 협정 재검토 시사 시민 80% "민간인 희생하는 군사작전 잘못됐다"
"이스라엘 국가 존립과 무관"…EU 협정 재검토 시사
시민 80% "민간인 희생하는 군사작전 잘못됐다"
(베를린=연합뉴스) 김계연 특파원 =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를 봉쇄해 주민들이 굶어 죽는 사태까지 벌어지면서 이스라엘의 안보를 국시로 삼는다는 맹방 독일에서도 비판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독일 총리실의 펠릭스 클라인 반유대주의 특임관은 24일(현지시간) 일간 프랑크푸르터알게마이네차이퉁(FAZ) 인터뷰에서 "팔레스타인 주민을 굶주리게 하고 인도적 상황을 고의로, 극도로 악화하는 건 이스라엘의 국가 존립 보장과 무관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스라엘은 민주주의 국가이며 국제법의 구속을 받는다. 독일은 이를 상기시킬 수 있고 또 그렇게 해야 한다"며 광범위한 국제법 위반이 입증될 경우 유럽연합(EU)·이스라엘 협력 협정도 새로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EU는 지난 20일 자유무역협정(FTA)과 비슷한 역할을 하는 EU·이스라엘 협정을 27개 회원국 중 다수의 지지로 재검토하기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
클라인 특임관은 국제형사재판소(ICC) 체포영장이 발부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의 독일 방문에도 회의적 입장을 밝혔다. 그는 "창립회원국이자 지지자로서 ICC의 결정을 이행해야 한다"며 양국 총리가 베를린 아닌 이스라엘 예루살렘이나 미국 뉴욕에서 만나는 게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프리드리히 메르츠 독일 총리는 이달 초 취임 직후 "원칙적으로 이스라엘 총리는 독일을 방문할 수 있어야 한다"며 ICC 영장에도 불구하고 네타냐후 총리의 안전보장을 사실상 약속한 바 있다. 오르반 빅토르 헝가리 총리는 지난달 네타냐후 총리를 자국으로 초청해 만난 뒤 ICC 탈퇴를 선언했다.
독일은 나치의 유대인 학살에서 비롯한 '원죄' 탓에 이스라엘을 무조건 지지해 왔다. 독일 정치인들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급속도로 가까워진 양국 관계를 '선물'이나 '기적'으로 불렀다. 그러나 2023년 10월 가자지구 전쟁 발발 이후 인도주의 위기가 커지면서 딜레마가 계속되고 있다.
시민들도 대부분 네타냐후 총리의 전쟁 장기화에 비판적이다. 최근 ZDF 방송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80%는 다수의 민간인 사상자를 내는 이스라엘의 군사작전은 잘못됐다고 답했다. 지난해 3월 조사에서는 69%가 이같이 답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김계연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