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정시파이터' 토트넘 '혹평', "토트넘은 평소처럼 끔찍했고 맨유는 창피" 토트넘 우승으로 UCL 진출도 혹평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OSEN=우충원 기자] 손흥민(토트넘)이 마침내 첫 우승을 손에 넣은 날 축구 팬들의 반응은 마냥 기쁘지만은 않았다.  

더 선은 22일(이하 한국시간) “토트넘이 마침내 17년의 무관을 마감했다. 그러나 경기 내용은 수준 미달이었다. SNS에선 ‘역대 최악의 결승’이라는 말이 나왔다”고 보도했다. 

토트넘은 스페인 빌바오의 산 마메스에서 열린 2024-2025 유럽축구연맹(UEFA) 유로파리그 결승에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1-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경기의 유일한 골은 전반 42분 브레넌 존슨이 어정쩡하게 마무리한 장면에서 나왔다. 상대 수비 루크 쇼의 몸에 맞고 흐른 볼이 존슨을 거쳐 골문으로 흘러들었다.

토트넘은 이 승리로 2008년 리그컵 이후 17년 만에 트로피를 들어 올렸고 유럽 대항전에서는 1984년 UEFA컵 이후 무려 41년 만에 정상에 복귀했다. 동시에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 티켓도 확보하며 프리미어리그에서 17위로 시즌을 마친 실망스러운 성적을 단 한 경기로 만회해냈다.

손흥민에게는 감격 그 자체였다. 함부르크에서 프로 무대를 밟은 지 15년, 토트넘에 입단한 지 10년 만에 처음으로 들어 올린 우승컵이었다. 그는 경기 후 "이건 내가 늘 꿈꿔온 장면이다. 오늘은 내 생애 가장 행복한 날"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경기 자체에 대한 반응은 사뭇 달랐다. 유일한 득점 장면부터 지적이 나왔다. 날카로운 공격 전개나 조직적인 움직임과는 거리가 멀었기 때문이다. 파페 사르의 애매한 크로스는 루크 쇼 팔에 맞고 튕겼고 볼은 존슨의 발끝을 스치며 어쩌다 골라인을 넘었다.

선제골 이후 토트넘은 수비를 선택했다. 라인을 깊게 내리고 전체적으로 밀집 수비를 펼쳤다. 공격은 사실상 중단됐고 맨유의 무기력한 공세만 이어졌다. 축구 통계 서비스 ‘옵타’에 따르면, 이날 토트넘은 90분 동안 슈팅은 단 3회, 볼 점유율은 27.7%, 패스 성공 수는 115회에 불과했다. 이는 2009-2010시즌 이후 유로파리그 결승전 기준으로 최저 수치다.

더 선은 “두 팀이 결승에 진출했지만 경기력은 그 기대에 한참 못 미쳤다. 특히 토트넘 팬들에게는 트로피가 전부였겠지만  중립 팬 입장에선 이 결승은 흥미도 수준도 모두 바닥”이라고 평가했다. 하이라이트라고 할 만한 장면은 미키 반 더 밴이 라스무스 호일룬의 헤더를 막아낸 장면이 유일했다고도 덧붙였다.

소셜 미디어 역시 반응은 냉담했다. "지금까지 본 결승전 중 가장 졸렸다", "‘왕좌의 게임’ 마지막화 이후 최악", "이걸 보겠다고 야근을 접고 왔는데 다시 사무실로 돌아가고 싶다"는 등 비아냥과 조롱이 섞인 글들이 줄을 이었다.

유명 방송인 피어스 모건도 직설을 날렸다. 그는 “이건 유럽 대항전 결승 중에서도 최악이었다. 두 팀 모두 시즌 내내 엉망이었고 경기력은 충격 그 자체였다. 이런 경기력으로 UCL에 진출한다는 게 말이 되나. 토트넘은 평소처럼 끔찍했고 맨유는 창피한 수준”이라고 혹평했다.

맨유의 전설 마이클 오언도 혹독한 평가를 남겼다. “양 팀이 3번 이상 패스를 연결하는 장면조차 보기 어려웠다. 믿기 어려운 수준”이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더했다. 토트넘 출신 폴 로빈슨은 “결승전에서 포스테코글루 감독은 경기를 완전히 포기하는 전략을 선택했다. 경기력은 답답했고 전술은 지나치게 수세적이었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결과는 모든 걸 덮는다. 토트넘은 형편없는 경기 내용에도 불구하고 트로피를 들어 올렸고 손흥민도 마침내 커리어 첫 우승의 기쁨을 맛봤다. 축구는 결국 승자가 기억되는 스포츠다. 토트넘에게 이날은 결코 잊히지 않을 날이 됐다. /[email protected]


우충원([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