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2035] 블라인드 선거, 블라인드 사고법

![25일 서울 중구에서 열린 ‘다시 만들 세계포럼’에서 한 참가자가 청소년들이 원하는 대선공약에 스티커를 붙이고 있다. [연합뉴스]](https://www.koreadaily.com/data/photo/2025/05/26/74982be9-3615-47b1-ab94-e5e8d9e56e32.jpg)
정치 신인을 발굴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후보·정당의 인지도가 아닌 정책만으로 평가받을 수 있으니, 소수자들의 의견을 대변하는 후보가 정계에 진출할 수 있어서다. 후보들도 정책 개발에 주력하고 무엇보다 강성 지지층의 눈치를 볼 이유가 사라진다.
자 이제 실전이다. 이번 대선에 출마한 A 후보는 “기초연금을 70만원 인상하고, 연 100만원으로 병원비 상한제를 실시하겠다”고 했다. B 후보는 “국내 거주 외국인들이 받고 있는 건강보험·실업급여·정착지원금 등을 축소해 이를 서민에게 돌려주겠다”고 했다. C 후보는 “교사에 대한 무분별한 소송과 허위신고로부터 교권·학습권을 보호하겠다”고 공약했다. 어느 후보를 선택하겠는가.
내친김에 블라인드 선거를 블라인드 사고법으로 확대해 보면 어떨까. 일상 속에서 정치적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다. 다음은 실제 일어난 사건을 익명화하고 인물들 간 관계를 각색한 응용문제다.
D 대통령에겐 처남이 있었다. D 대통령은 취임 후 자기가 잘 아는 같은 당 정치인인 E에게 처남을 취직 좀 시켜주십사 부탁했다. E는 흔쾌히 자기 회사에 처남을 취직시켜 주고 생활비도 얼마간 지원해줬다. 나중에 E는 공천을 받아 국회의원도 되고 공공기관장도 했다. E가 처남에게 제공한 취업 기회와 생활비는 D 대통령에게 준 뇌물로 볼 수 있을까.
이 사건은 아직 법원의 판결이 나온 적이 없다. 블라인드 사고법으로 한번 판단해보자.
허정원([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