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安 단일화 때 거칠었던 국힘, 지금은 이준석 비판 않는 이유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26일 선거대책위원회 회의에서 “이준석 후보가 단일화를 하지 않는다는 점은 충분히 존중하지만, 우리는 결코 다른 편이 아니다. 단일화의 전제 조건을 제시해달라”고 말했다. 신동욱 수석대변인도 이날 KBS 라디오에 출연해 8차례 결단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며 “이 후보가 시대와 역사를 보고 (단일화라는) 고독한 결단을 해주시길 바라는 마음”이라고 했다.
이처럼 국민의힘은 ‘이준석을 자극하지 않는 것’이 단일화 추진 전략으로 보일 정도로 읍소 위주의 발언을 쏟아내고 있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와 일부 친한계가 단일화를 “당권 거래 시도”라고 비판하고 있지만 이는 당내 소수에 불과하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와 국민의힘 의원들은 이 후보를 일절 비판하지 않고 있다.
전날 이 후보가 “부정선거를 옹호하는 김문수·이재명·황교안이 단일화하라”고 날을 세워도 김 후보는 “원래 우리가 한 뿌리였기에 노력하겠다”고만 했다. 29일부터 이틀 동안 사전투표가 진행되는 만큼 단일화를 위한 시간 자체도 얼마 남지 않아 국민의힘은 더욱 간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단일화 추진 방식은 20대 대선 당시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의 단일화 협상 과정과는 딴판이다.
당시 윤석열 후보는 안철수 후보와의 단일화 협상 중 기자회견을 열고 후보 간 주고받은 메시지를 직접 공개하며 단일화에 미온적이던 안 후보를 몰아붙였다. 당시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안 후보를 겨냥해 “부처님 손바닥 안에 있다”거나 “윤 후보가 연락했음에도 연락이 없었다는 건 제2의 생태탕 거짓말”이라고 공격했다. 마지막 TV토론이 끝난 다음 날 새벽 극적 단일화에 합의하긴 했지만 진통이 상당했던 것이다.
과거와 달라진 국민의힘의 모습을 두고 정치권에선 이준석 후보의 지지층 특성 때문이란 분석이 나온다. 리얼미터·에너지경제신문의 22~23일 자동응답전화(ARS) 조사에 따르면 다자구도에서 이재명 후보 46.6%, 김문수 후보 37.6%, 이준석 후보는 10.4%였다. 김 후보와 이준석 후보 지지율의 단순 합은 이재명 후보를 앞섰다. 그러나 단일화를 가정한 조사에서 이재명 후보 51.1%, 김문수 후보 43.9%로 격차는 오차범위 밖인 7.2%포인트였다. 김문수 후보로 단일화가 될 경우 김 후보 지지율이 6.3%포인트 오르지만 이재명 후보 역시 4.5%포인트 상승하며 나타나는 결과다.
국민의힘 핵심 관계자는 “김 후보에겐 이준석 후보 지지층을 최대한 흡수하며 단일화를 하는 것이 가장 큰 숙제”라며 “이준석을 때릴 수록 김 후보에게도 불리하다. 단일화의 명분만 주고 이준석 후보가 결단하는 그림을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윤석열·안철수 단일화가 진통 끝에 이뤄지며 안철수 후보 지지층 상당수가 이재명 후보에게 갔던 점도 국민의힘이 이준석 후보 비판을 자제하는 이유 중 하나라고 한다. (자세한 여론조사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박태인([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