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尹·홍장원·김봉식 비화폰 통화기록 계엄 3일 뒤 원격삭제… 수사 착수

지난달 16일 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이 대통령실과 공관촌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선 가운데 수사관들이 대통령실을 나서고 있다. 경찰은 이날 오전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의 특수공무집행방해 등 혐의와 관련한 비화폰(보안폰) 서버, 경호처 사무실, 경호처장 공관 등에 대한 압수수색에 착수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윤석열 전 대통령이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과 비화폰으로 통화한 기록이 비상계엄 사태 사흘 후 원격 삭제된 정황이 포착돼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경찰 특별수사단 관계자는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경호처로부터 임의제출받은 비화폰 서버 기록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이같은 정황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즉각 증거인멸 혐의와 관련한 수사를 개시했다. 다만 구체적인 피의자를 특정한 단계는 아니라고 밝혔다.

윤 전 대통령, 홍 전 차장, 김 전 처장과 관련된 사용자 정보가 전부 원격 삭제돼 경찰은 포렌식을 진행하며 기록 복구를 시도하고 있다.

원격 삭제는 비상계엄 사태 3일 뒤인 12월 6일 이뤄졌다. 윤 전 대통령이 홍 전 차장을 경질했다는 언론 보도가 나오던 시점이다.

경찰은 현재 윤 전 대통령 체포 방해 혐의(특수공무집행방해)와 관련해 비화폰과 업무폰 등 19대를 확보했다. 여기에는 윤 전 대통령 휴대전화도 포함됐다.

경찰 관계자는 "일반 휴대전화와 비교하면 초기화와 같은 느낌으로 보면 된다"며 비화폰을 관리하던 경호처가 삭제했지만 지시 주체는 확인 중이라고 밝혔다.

앞서 경찰과 경호처는 3주가량 합동 포렌식을 진행해 비화폰 서버 기록 대부분을 되살렸다. 경호처는 수사에 필요한 자료를 선별해 경찰에 임의제출했다.

계엄 당일인 작년 12월 3일부터 올해 1월 22일까지 기록이 포렌식 대상이었다. 비화폰 서버 기록은 2일마다 자동으로 삭제돼 포렌식이 필요했다.

경찰은 나아가 내란 혐의 수사와 관련해 지난해 3월 1일부터의 비화폰 서버 기록을 추가 임의 제출받을 예정이다. 포렌식은 이미 이뤄진 상태다.

경찰은 현재 비상계엄 선포 당일 국무회의와 관련해 내란 혐의로 입건된 한덕수 전 국무총리,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등을 수사 중이다.



이해준([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