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막살이 같은 작은 기차역…기찻길 따라 살펴보는 北주민 실상

북·중 및 북·러 접경지역을 드나들며 북한 주민들의 생활 모습이 담긴 각종 자료를 수집해온 강동완 동아대 교수가 신간『압록강 700리, 북한기차역과 사람들』에서 밝힌 연구 동기다. 책은 북·중 접경인 압록강을 따라 놓여있는 북부내륙선 철도 주변의 풍경을 담고 있다.
저자는 2008년부터 18년째 북한 주민들을 먼발치에서나마 직접 볼 수 있는 중국과 러시아의 북한 접경지역을 찾아 북한 주민들의 사회생활과 문화를 연구하고 있다. 특히 이번 신간에서 다룬 자강도 만포시에서 양강도 혜산시에 이르는 길이 240km의 북부내륙선은 "압록강 일대의 지명과 북한 주민들의 삶을 엿볼 수 있는 교과서"였다고 저자는 말한다.

압록강 700리를 달리며 북녘 기차역의 풍경을 담는 과정에서 단서는 한장짜리 북한 철도 안내도가 전부였다. 북부내륙선은 개마고원의 험준한 산세를 뚫고 압록강을 에돌고 있는데, '만포혜산청년선'이라는 이름도 갖고 있다. 안내도에 나온 기차역을 찾지 못했을 때 해결책은 달려온 길을 되돌아가는 것뿐이었다. 책에는 이런 녹록지 않은 긴 여정이 담겨있다.

정영교([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