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학생, 美경제 기여 60조나 되는데…하버드 또 때린 트럼프

트럼프 대통령은 26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에 “반유대주의적인 하버드에서 30억 달러(약 4조1000억원)의 보조금을 빼내 우리 땅 전역의 직업 학교들에 주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 같은 방안이 “미국을 위해 얼마나 훌륭한 투자가 될 것이며, 얼마나 절실하게 필요한 투자가 될 것인가”라고 덧붙였다.
트럼프는 뉴저지주 베드민스터에 있는 자신의 골프장에서 주말을 보낸 뒤 25일 백악관으로 복귀하기에 앞서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는 “하버드대의 문제 중 하나는 외국인 유학생이 31%라는 점”이라며 “하지만 (하버드대는) 그들이 누구인지 알려주기를 거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우리는 그 외국인 학생들의 명단을 원하고 그들이 괜찮은지 여부를 알아볼 것”이라고 했다.
━
트럼프 “하버드 유학생 국적 공개하라”
트럼프 행정부는 대학 캠퍼스 내 반유대주의 척결 등을 이유로 교내 정책 변경 및 정부의 학내 인사권 개입 등을 요구했지만 하버드대는 학문의 자유를 침해한다면서 맞섰다. 이에 트럼프 행정부는 연방 보조금 동결·삭감, 대학 면세 혜택 취소 등 돈줄을 옥죄기 시작했고 지난 22일에는 외국인 학생 등록 자격인 ‘학생 및 교환 방문자 프로그램(SEVP) 인증을 취소하는 강경 조치를 취했다. 하버드대가 다음날 오전 해당 조치를 막아달라는 가처분 소송을 내고 법원이 이를 받아들이면서 일단은 제동이 걸린 상태다.

━
“유학생들 학업 중단 두려움 커”
NYT에 따르면 미국의 전체 외국인 대학생 비율은 5%를 약간 넘는 수준이지만, 주요 명문대에서는 이 비율이 훨씬 높다. 뉴욕대의 경우 약 6만명의 재학생 중 3분의 1이 유학생이며, 컬럼비아대에서는 외국인 학생이 다섯 명 중 두 명꼴이다.
━
하버드 유학생 비율 27%…한인 252명
워싱턴포스트(WP)는 “매년 100만 명 이상의 외국인 학생들이 미 전역의 대학에 진학한다”며 이들 외국인 유학생은 미국 경제와 과학기술 혁신에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국제교육자협회(NAFSA)에 따르면 2023~2024학년도에 유학생들이 수업료와 숙박비·교통비 등 부대 비용을 포함해 미 경제에 약 440억 달러(약 60조원)를 기여한 것으로 추산된다. 하버드대 유학생만으로 범위를 좁혀도 이들은 같은 기간 지역 경제에 약 3억8400만 달러(약 5240억원)를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판타 아우 NAFSA 전무이사는 “이들 유학생은 졸업 후에도 기업가 정신이 강해 미국의 스타트업 생태계 확장에 상당한 역할을 하고 있다”며 “고국으로 돌아간 학생들은 고국과 미국을 잇는 가장 강력한 가교 역할을 한다”고 WP에 말했다.
하버드를 향한 트럼프 행정부의 압박이 반유대주의 근절을 명분으로 내세우고 있지만, 실상은 이른바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로 대표되는 진보적 노선의 폐기를 요구하는 ‘문화전쟁’의 성격이 짙다고 보는 게 다른 주요 엘리트 대학이 갖는 위기감의 본질이다. 샐리 콘블루스 매사추세츠공대(MIT) 총장은 지난 22일 학내 구성원에 보낸 메시지에서 “지금은 중대한 시기”라며 “연방정부가 하버드대의 외국인 학생 수용을 금지한 조치는 미국의 우수성과 개방성, 창의성에 치명적인 타격”이라며 “외국인 유학생 여러분이 없다면 MIT는 MIT가 될 수 없다”고 했다.
━
파월, 모교 프린스턴서 “민주주의” 강조

파월 의장이 직접 트럼프 행정부를 겨냥하지는 않았지만, ‘민주주의 수호’를 강조한 것은 프린스턴대 역시 연방 지원금이 취소됐고 파월 의장 본인도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기준금리 인하 압박을 받고 있는 시점에 나온 것이어서 눈길을 끌었다.
김형구([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