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에 환자도 운다…지구촌 첨단 의료기기 개발 먹구름
인도적 무관세 외면…전세계 부품 쓰는 美의료기기 업체 비상 생산시설 미국 이전 불가능…"결국 병원비·보험료로 부담 전가"
인도적 무관세 외면…전세계 부품 쓰는 美의료기기 업체 비상
생산시설 미국 이전 불가능…"결국 병원비·보험료로 부담 전가"
(서울=연합뉴스) 임지우 기자 = 그간 인류의 생명을 구하기 위한 '인도주의적 사명'으로 여겨지며 무역 장벽에서 예외가 됐던 첨단 의학 분야마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무차별 관세'를 피해가지 못하면서 전 세계의 환자들이 그 고통을 부담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5일(현지시간) 미 일간 워싱턴포스트(WP)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가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의 첨단 의료 기기 업체들에 타격을 가져올 수 있다며 이같이 진단했다.
보도에 따르면 컴퓨터단층촬영(CT) 스캐너와 같이 복잡한 기술이 이용된 첨단 의료 장비들은 전 세계 수십 개 국가에서 수입해 온 부품들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특히 관세 정책에 취약할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 세계 기업들이 '관세 폭탄'을 피하고 싶다면 생산 시설을 미국 안으로 들여오면 된다고 주장하지만, 복잡한 보건 당국의 규제를 받는 의료 기기 특성상 쉽게 생산 시설을 옮길 수 없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유럽의 의료기기 산업을 대표하는 단체인 메드테크 유럽의 산업 정책 국장 헤수스 루에다 로드리게즈는 WP에 "(의료기기) 장비들은 미국과 중국, 유럽 등을 거쳐서 (생산 시설에) 도착한다"면서 "관세의 타격을 한 번이 아닌 여러 번 입을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의료 장비들은 각국 보건 당국에 의해 엄격한 규제를 받는다면서 "그냥 짐을 싸서 떠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유럽 뿐 아니라 미국 내 의료 기기 업체와 병원들도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로 인한 비용 부담 증가를 우려하고 있다.
미국의 대표적인 의료 기기 업체인 존슨앤드존슨과 애보트 등은 지난 달 실적 보고에서 관세로 인해 올해 최소 수백만 달러의 추가 비용이 발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호아킨 두아토 존슨앤드존슨 CEO는 만약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목표가 의료 및 제약 분야에서 미국 내 생산을 늘리도록 유도하는 것이라면 "가장 효율적인 답은 관세가 아니라 세금 정책일 것"이라고 말했다.
의약업계에서는 관세 장벽으로 인해 각국의 첨단 의학 기술 개발이 늦춰진다면 그 부담은 불치병과 싸우는 환자들이 될 것이라고 우려한다.
인류의 건강과 직결된 의료 산업 분야를 자동차·반도체 등 다른 분야와 동일시하면서 무역 분쟁의 소재로 쓰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것이다.
미국의 의료기기산업협회인 애드바메드(AdvaMed)의 스콧 위태커 최고경영자(CEO)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위협이 첨단 의학 분야의 "혁신과 비용 절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며 헬스케어 시스템 전반의 비용을 증가시킬 것"이라면서 "역사적으로 (의약 분야와 같이) 의미 있는 인도주의적 사명을 지닌 산업 분야들은 광범위한 관세에서 면제됐으며, 그 결과 지금까지는 의약 기술 분야에는 관세가 없거나 낮았다"고 지적했다.
관세가 병원비 및 의료보험료 인상으로 이어져 결국 미국 소비자들에게 전가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최근 뱅크오브아메리카가 미국 병원 재무담당자 50여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 따르면 응답자 46%는 관세로 인해 올해 안에 병원비 인상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으며, 42%는 내년에 의료 장비 계약이 갱신되면서 병원비가 인상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임지우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