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바위에 새긴 선사시대 삶…반구천 암각화 세계유산 ‘등재 확실시’


제기념물유적협의회는 우리 정부가 세계유산으로 등재 신청한 반구천 암각화에 대해 '등재' 권고 판단을 내렸다고 26일 밝혔다. 등재 여부는 7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결정된다. 사진은 국보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 사진 국가유산청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고래사냥’ 그림을 포함해 선사시대 한반도인의 삶을 드러내는 울주 반구천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될 전망이다.

국가유산청은 26일 ‘반구천의 암각화(Petroglyphs along the Bangucheon Stream)’에 대해 유네스코 자문심사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이코모스)가 ‘등재 권고’ 결정을 했다고 밝혔다. 세계유산 분야 자문·심사기구인 이코모스가 ‘등재’·'보류'·'반려'·'등재 불가' 등 4가지 권고안 가운데 등재를 택할 경우 이변이 없는 한 해당 유산은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등재된다.
국보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 사진 국가유산청

선사시대 생활문화를 엿볼 수 있는 바위그림인 '반구천의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될 전망이다.  국가유산청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로부터 울주 대곡리에 위치한 '반구천의 암각화'(Petroglyphs along the Bangucheon Stream)에 대한 유네스코 자문심사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nternational Council on Monuments and Sites(ICOMOS), 이코모스)의 심사결과 세계유산 목록의 '등재 권고'를 통지받았다고 26일 밝혔다. 사진 국가유산청
울주 반구천 암각화는 국보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와 ‘울주 천전리 명문 및 암각화’를 아우르는 단일 유산이다. 암각화란 바위나 동굴 벽면 등에 새기거나 그린 그림, 즉 바위그림을 뜻한다. 서로 2㎞ 정도 떨어진 이들 바위그림은 1970년대 초 잇따라 발견됐다.

1971년 발견된 ‘반구대 암각화’는 태화강 상류의 지류 하천인 반구천 절벽에 자리해 있다. 높이 약 4.5m, 너비 8m(주 암면 기준) 면적의 바위 면에 바다 동물과 육지 동물, 사냥 그림 등약 300여점이 빼곡하다. 특히 작살 맞은 고래, 새끼를 배거나 데리고 다니는 고래 등이 포함돼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고래사냥 그림으로 학계에서 주목해왔다.

이보다 1년 전인 1970년에 발견된 ‘천전리 암각화’는 높이 약 2.7m, 너비 9.8m 바위 면을 따라 각종 도형과 글, 그림 등 620여 점이 새겨져 있다. 신라 법흥왕(재위 514∼540) 시기로 추정되는 글도 포함돼 있어 6세기 무렵 사회상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여겨진다.

이들 암각화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추진 과정에서 대곡천 침수에 따른 훼손 우려가 제기되면서 사회적 관심을 받았다. 암각화 발견 6년 전인 1965년 대곡천 하류에 건설된 사연댐이 홍수 조절 등을 위해 수위를 높일 경우 그림이 물에 잠기는 일이 반복된다는 점이 알려지면서 도상 훼손 논란이 일었다. 최근 10년 동안에도 연평균 42일간 물에 잠겨왔던 것으로 조사됐다.

이 문제는 반구천 암각화가 2010년도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오른 데 이어 반구천세계유산등재추진단(이하 추진단)이 2021년 7월 출범하면서 공론화됐다. 식수원 관리와 문화유산 보존 간의 갈등으로 비화되기도 한 논란은 정부 차원에서 ‘사연댐 수문 추가 설치’ 계획을 밝히면서 일단락됐다. 환경부는 사업비 647억원을 책정해 오는 2029년 말까지 사연댐 하단에 수문 3개를 설치할 예정으로 이 경우 문제되는 수위를 상당 부분 낮추는 것으로 예측된다.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는 우리 정부가 세계유산으로 등재 신청한 반구천 암각화에 대해 '등재' 권고 판단을 내렸다고 26일 밝혔다. 등재 여부는 7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결정된다. 사진은 국보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전경. 사진 국가유산청
지난 3월 서울 중구 동국대 박물관에서 열린 특별전 '보묵천향(寶墨天香)―보배로운 먹, 하늘의 향기' 개막식에서 참석자가 '반구대 암각화 탁본'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추진단에서 학술연구를 담당하고 있는 최현숙 울산암각화박물관장은 이날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그간 이미 도상이 상당히 훼손됐다는 주장도 나왔지만 지난 10여년 간 암각화에 대해 수차례 3D 스캔을 한 결과 최초 발견 당시로부터 크게 변화한 게 없다고 조사됐다”면서 “유네스코 측이 실사를 왔을 때도 이 부분을 신중하게 따졌고 향후 대책도 면밀히 고려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코모스 측은 ‘반구천의 암각화’ 등재 권고를 밝히면서 ^탁월한 관찰력에 바탕해 한반도에 살았던 이들의 예술성을 보여주면서 다양한 고래와 고래잡이의 주요 단계를 창의적으로 풀어낸 걸작이며 ^선사시대부터 약 6000년에 걸쳐 지속된 암각화의 전통을 증명하는 증거이자 한반도 동남부 연안 지역 문화의 발전을 집약해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최종 등재 여부는 오는 7월 6일(현지시간)부터 16일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결정된다. 한국은 석굴암·불국사, 해인사 장경판전, 종묘(이상 1995년)를 시작으로 가야고분군(2023년)까지 총 16건의 세계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계유산에 등재되면 17번째 세계유산이 된다.




강혜란([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