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창원·울산·광주 시내버스도 멈추나…파업 위기 속 지자체 대책 마련 분주
서울뿐만 아니라 전국 주요 도시에서도 시내버스 파업 우려가 커지고 있다. 서울 시내버스 노사 임금 협상이 평행선을 달리는 가운데 사측과 교섭 중인 부산·울산·창원·광주 등 버스 노조도 28~29일 사이 총파업 돌입을 예고하면서다. 이에 각 지자체는 대책을 마련하느라 분주하다.
━
파업 시 부산 시내버스 ‘All STOP’
이들 지역 시내버스 노조는 앞서 수차례 이어진 노사 협상과 지방노동위원회 조정 회의가 결렬, 파업 찬반 투표를 통해 합법적으로 파업할 수 있는 쟁의권을 확보했다. 이번 시내버스 노조 파업이 현실화하면 울산에선 2019년 이어 2번째 파업이다. 창원은 지난 5년 사이에만 3번째다. 2023년에는 창원 시내버스 운행이 하루 동안 멈춘 적 있다.
━
울산·창원도 버스 80~95% 멈춰…광주는 29일 파업 가능
다만, 인천·경기 시내버스 노조는 다음 달 11일까지 조정 기한을 연장하기로 하면서 파업을 유보한 상태다. 대구에서는 28일 파업에 참여하지 않고 교섭을 이어갈 방침이다. 제주는 파업 의견엔 동조하지만 실행에 옮기진 않는다고 한다. 충북, 충남, 대전에선 별도 파업이 없을 예정이다.

━
통상임금 문제에 기본급 인상까지…교섭 난항 이유
시내버스 준공영제를 운영하는 지자체도 정기상여금의 통상임금 반영이 부담스럽긴 마찬가지다. 시 재정으로 시내버스 업체의 적자를 지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기상여금을 통상임금에 반영(임금상승률 최대 18%)하고 기본급도 인상하면, 20~26% 정도 임금이 오를 것으로 각 지자체는 보고 있다. 이 경우 지역별로 연간 수백억원에 이르는 추가 재정 투입이 예상된다.
지자체는 지금도 준공영제로 막대한 재정을 투입하고 있다. 2007년부터 시내버스 준공영제를 운영 중인 부산시는 한 해 약 3000억원을 버스사에 지원 중이다. 창원시도 2021년 준공영제 시행 이후 투입한 재정이 2021년 639억원, 2022년 861억원, 2023년 842억원, 2024년 856억원으로, 매년 800억원 넘는 재정을 투입 중이다.
━
지자체, 무료 전세버스 투입에 철도 증편

━
4명까지 합승 가능 택시 배치…등하교 시간도 조정될 듯
부산, 창원에선 출퇴근과 등하교 시간도 일부 조정될 것으로 보인다. 부산시는 기업, 기관, 학교에 출퇴근 시간을 자율적인 조정을 요청했다. 부산시교육청과 경남교육청은 학교 재량으로 등학교 시간을 자율 조정하기로 했다.
안대훈.김윤호.김민주.황희규.백경서([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