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적인 학생 측 민원에 시달렸다는 의혹이 제기된 제주도내 모 중학교 교사 사망 사건과 관련해 경찰이 수사 전담팀을 구성했다.
제주경찰청은 27일 도내 중학교 A교사의 사망 이후 제주동부경찰서 서장을 중심으로 수사팀을 꾸려 내사(입건 전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담팀은 형사 12명으로 구성됐다.
━
민원인 휴대전화 디지털포렌식
경찰은 숨진 사건과 관련해 민원을 제기한 가족에 대한 1차 조사를 했다. 이와 관련해 A교사 개인 휴대전화로 전화를 걸었던 민원인의 휴대전화를 임의제출 받아 디지털포렌식을 진행 중이다. 또 학교장, 동료 교사에 대해 조사를 진행했다. 유족과 민원인 측에 대해서는 향후 소환을 통한 추가조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민원인의 행위가 협박 또는 스토킹 행위에 해당하는지 등을 집중적으로 들여 다 볼 계획이다.
━
“학생 및 관계자 2차 피해 우려”
제주경찰청 관계자는 “사건 관계자의 심리적 압박이 큰 상황인 만큼 학생 및 관계자들에 대한 2차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확인되지 않은 일을 유포할 경우 명예훼손 및 가해가 될 수 있고 처벌 대상이 될 수 있는 만큼 주의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A교사와 관련해 추모 발길도 이어졌다. 초등교사 출신인 더불어민주당 백승아 의원은 27일 오전 A교사의 유가족을 면담하고, 제주도교육청에 마련된 분향소를 찾았다.
━
백승아 “학교민원처리지원법, 순직 인정 최선”
백 의원은 “악성 민원을 교사 개인이 감당하도록 두는 것이 아니라, 시스템을 통해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악성 민원인 처벌도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고인은 3월부터 두 달 동안 매일 10여통의 전화를 받으며 혼자 다 악성 민원을 감당해왔다”며 “학교민원처리지원법 시행령이 제대로 만들어지도록 해 다시는 악성 민원으로 돌아가시는 선생님이 없도록 국회 안에서 할 수 있는 일들을 다 하겠다"고 했다. 백 의원은 유족과의 면담에서 나온 의견도 전달했다. 백 의원은 “유족들이 고인의 명예회복과 순직 인정을 요구했고,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달라고 했다”며 “증거와 정황이 명확한 만큼 순직 인정이 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A교사는 지난 22일 밤 0시 46분께 학교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교무실에는 “학생 측 민원으로 힘들다”는 내용의 유서가 놓여져 있었다. 제주경찰에 따르면 A교사는 3월초부터 5월 중순까지 개인 휴대전화로 수 십여통의 민원 전화를 받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제주도교육청 앞마당에는 A교사를 추모하는 분향소가 마련돼 있다. 이달 30일 오후 8시까지 운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