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활용으로 생산성 높이려면 사회과학이 윤리 기준 제시해야”

시시각각 가속하는 AI 시대를 맞아 ‘2025 한국사회과학협의회 국제학술대회’가 제시한 AI 활용의 가이드라인이다. 기술이 인간의 삶에 깊숙이 들어올수록, 기술에 윤리적 기준을 제시하고 통제 가능성을 확보하는 데 사회과학이 해야 할 역할이 크다는 입장이다. 학술대회는 ‘디지털 전환(DX)에서 인공지능 전환(AX)으로: 사회과학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을 주제로 27~28일 서울 용산구 드래곤시티 호텔에서 열린다.
첫날인 27일 기조발표를 맡은 전종섭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 명예교수는 AI 기술 발전에 따른 기업 생산성 증가, 의료·의학 연구 속도 향상 등 긍정적인 면 이외에 부정적인 이슈도 들여다봤다. 개인·신용정보의 보안 위기와 AI 자동화에 따른 일자리 상실 등을 넘어 데이터 활용의 투명성과 책임감의 문제를 따졌다.
특히 최근 할리우드에서 AI 기반의 음성 복제가 문제된 것을 예로 들면서 “엔터테인먼트 기업에선 배우들 목소리를 활용해 수익을 올릴지라도 이는 개인 권리나 프라이버시 침해일 수밖에 없다”면서 정부의 규제 필요성을 제기했다. 그는 “알고리즘 학습이란 게 문제가 되면 책임이 소프트웨어에 있는지, 사용 기업에 있는지, 개인에게 있는지 모호해진다”고 지적하면서 의미 있는 AI 전환을 위한 다학제간 논의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킴 노만 안데르센 교수(덴마크 코펜하겐경영대학)는 ‘정부혁신의 도구로서의 AI - 가능성과 과제’라는 주제 발표에서 공공행정 분야에서 AI를 활용한 자동화 및 데이터 기반 행정이 어떤 도전과제를 야기하는지 등을 역설했다.
한국사회과학협의회 장원호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과학기술이 급속도로 진보하는 전환기적 상황에서 인공지능 기술을 둘러싼 복합적인 이슈를 심도깊게 논의함으로써 사회과학적 통찰을 정책 실천으로 연결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1976년 출범한 한국사회과학협의회(KOSSREC)는 국제개발협력학회, 대한지리학회, 한국경영학회, 한국경제학회,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사회학회, 한국언론학회, 한국여성학회, 한국정치학회, 한국행정학회 등 15개 학회를 대표하는 협의체다.

강혜란([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