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탑5 찍은 '탄금' 원작자 장다혜 "야사 속 부스러기모아 조선 미스터리 썼죠"
27일 기준 한국 넷플릭스 순위 5위를 기록한 시대극 ‘탄금’은 토속신앙과 스릴러를 섞은 미스터리극이다. 조선의 거상 심열국의 외동아들 홍랑이 실종됐다 기억을 잃은 채 12년 만에 집에 돌아오고, 홍랑의 이복 누나 재이가 그의 실체를 의심하는 가운데 이야기가 시작된다.


Q :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늘 독특한 직업을 다룬다.
A : 궁궐 속 당파 싸움이나 후궁 암투를 다루는 기존의 콘텐트와 달리 백성들의 생활을 그리고 싶었다. 흥미로운 직업을 부여해 평범한 삶을 새롭게 보여주려 했다. 여러 고서를 참고했고, 특히 민초의 삶이 담긴 야사집에서 많은 아이디어를 얻었다.
Q : 조선 시대에 애정을 갖는 이유는.
A : 조선의 회화와 서적에 흥미가 있었고, 당시 시대상이 현대와 닮은 점도 많아 자연히 끌렸다. 현대극도 생각해봤지만 여전히 조선에 관심이 머물러 다른 시대를 다룰 계획은 없다. 작가는 결국 취향으로 독자를 이끄는 존재라 생각한다.
Q : 매골자·묘지기 같은 인물에 대한 아이디어는 어디에서 얻나.
A : ‘매천야록’, ‘연려실기술’, ‘어우야담’ 등 조선의 야사집에 담겨있는 흥미로운 설화나 기이한 소문을 좋아한다. 호박 안에 갇혀있던 모기에서 거대한 공룡이 탄생하는 영화 ‘쥬라기 공원’처럼, 고서 속 자잘하고 하찮은 부스러기들이 큰 이야기의 시작이 되는 경우가 많다.
Q : 오랜 해외 거주 경험이 글쓰기에 영향을 미치나.
A : 지금 살고 있는 프랑스 역사나 문학에도 관심이 많은데 그런 것을 조선 시대에 대입해 보는 것을 즐긴다. 몬테크리스토 백작이나 잔다르크의 이야기를 조선 시대를 배경으로 다시 쓴다면 어떤 왕조 때가 적합할지 생각해보는 식이다.
Q : 다양한 직업을 거쳤다. 소설가가 되기로 결심한 이유는.
A : 외국에서 살면서 반작용으로 조선 시대와 고미술에 관심을 갖게 됐고 그것이 글쓰기로 이어졌다. 20~30대에 작사를 하고 에세이를 쓴 경험도 소설 쓰는 데 도움이 됐다.
Q : 장편 세 작품 중 두 개가 드라마로 만들어졌거나 만들어질 예정이고 『탁영』 역시 시네마틱한 구성으로 쓰였다. 처음부터 영상화를 고려했나.
A : ‘탄금’은 처음에 시나리오로 집필하다가 지문이 방대해지면서 소설로 고쳐 쓰게 됐다. 그것이 버릇으로 남아 지금도 소설을 쓸 때 시나리오처럼 장면마다 번호를 붙이고 등장인물, 장소, 시간을 적어 구체화 시키는 습관이 있다. 영상화를 위한 사전 작업이라기보다 오히려 반대로 머릿속에 영상처럼 정확한 이미지가 그려져야 글이 풀리기 때문이다.
Q : 신작 『탁영』이 전작과 다른 점이 있다면.
A : 전작 『탄금』 이후 고어나 순우리말의 매력을 알게 됐다는 반응도 있었지만, 어렵고 가독성이 떨어졌다는 의견도 많았다. 그래서 이번엔 쉬운 문장에 집중했고, 한자어 사용을 자제했다. 순우리말도 문맥상 뜻을 유추할 수 있는 정도만 사용했고, 지나치게 낯선 표현은 배제했다.
Q : 차기작은.
A : 고종 시대를 배경으로 사라진 미술품을 쫓는 미스터리 소설을 집필 중이다.
홍지유([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