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트럼프 "연준 건물 개보수비 살펴볼것"…파월에 자진사임 압박(종합)

연합뉴스

2025.07.16 19:25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온라인매체 인터뷰서 "파월 물러나면 좋겠다…그가 결정할 일" "인도와 무역합의 임박했고, EU와도 가능성…캐나다는 아직"
트럼프 "연준 건물 개보수비 살펴볼것"…파월에 자진사임 압박(종합)
온라인매체 인터뷰서 "파월 물러나면 좋겠다…그가 결정할 일"
"인도와 무역합의 임박했고, EU와도 가능성…캐나다는 아직"

(워싱턴=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간) 자신의 금리 인하 요구에 부응하지 않고 있는,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이 자진 사임하길 바란다는 '속내'를 밝혔다.
온라인 뉴스 사이트 '리얼아메리카스보이스'(Real America's Voice) 홈페이지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이뤄진 이 매체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파월 의장이 임기 만료(내년 5월)전 사임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그가 사임을 원한다면 너무 좋겠다"며 "그것은 그에게 달려 있다"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사람들은 만약에 내가 그를 해임하면 시장을 혼란스럽게 만들 것이라고 말한다"고 밝힌 뒤 "그러나 그가 연준에서 하고 있는 일의 '사기(fraud)' 때문에 많은 사람들은 그가 경질되어야 한다고 말한다"고 덧붙였다.
이는 연준이 파월 의장 재임 중 건물을 개보수하면서 옥상 정원과 인공 폭포, 귀빈(VIP)용 엘리베이터, 대리석 장식 등을 설치한 탓에 공사 비용이 초기 계획보다 7억 달러 늘어난 25억 달러(약 3조5천억원)에 달한다는 일각의 지적이 그의 해임 사유가 될 수 있다는 견해를 드러낸 것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러면서 '25억 달러' 지출에 대해 "예산을 (거의) 10억 달러 초과한 것"이라며 "이 사람(파월)은 연준을 운영하는 사람"이라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개보수를 거친 연준 건물은)세계에서 가장 비싼 건물 중 하나"라며 "장담컨데 계약한 업자는 큰 돈을 벌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연준 건물 개보수에) 25억 달러를 쓰고 있다는 것인데, 나는 그런 사안에 매우 능하다. 나는 그것을 살펴 봐야겠다"고 밝히며 연준 개보수 비용 문제를 계속 파고들 것임을 시사했다.
연준의 존립 근거 법률인 연방준비법에 따르면 의장을 포함한 연준 이사는 정당한 사유에 의해서만 해임될 수 있게 돼 있고, 정책상의 이견을 이유로는 해임될 수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해석이다.
이런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연준 건물 개보수 비용 책정을 둘러싼 의장의 권한 남용 등이 드러날 경우 그것은 '정당한 해임 사유'가 될 수 있다는 인식을 드러낸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결국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종합하면 그는 고도의 정치적 중립성이 요구되고, 법정 임기가 있는 연준 의장을 직접 해임하는 데 따를 부작용이 우려되자 연준 건물 개보수 비용 문제를 제기하며 파월 의장이 자진사임하도록 압박하려는 속내를 피력한 것으로 풀이된다.
또 파월 의장이 자진 사임을 하지 않더라도 정부 예산 사용과 관련한 문제로 그를 압박함으로써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이달말 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의중에 반(反)하는 금리 동결을 하기 어렵게 만들 수 있다는 점을 의식했을 가능성도 거론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워싱턴 DC 백악관 집무실에서 바레인 총리와 회담하는 자리에서 파월 의장을 해임할 계획이 있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아니다"며 "우리는 어떤 것도 계획하고 있지 않다"고 답하며 일부 언론의 파월 의장 해임 계획 보도를 일단 부인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파월 의장 해임을 고려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나는 어떤 것도 배제하지 않는다"고 답한 뒤 "그러나 그가 (연준 건물 개보수를 둘러싼) 사기로 물러나야 하는 상황이 아니라면 (해임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파월 의장 해임에 신중한 입장을 밝히긴 했지만 연준 건물 개보수 비용이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여지'를 남긴 발언으로 들렸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인터뷰에서 미국이 인도와의 무역합의에 매우 가까이 접근했으며, 유럽연합(EU)과도 합의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캐나다와의 합의 전망을 거론하기는 너무 이르다고 말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아직 상호관세 서한을 보내지 않은 약 150개의 상대적으로 작은 국가들에 대해서는 단일 상호관세 세율을 적용할 것이라면서 "아마도 10% 또는 15%"일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일 한일 등 14개국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25개 경제주체(24개국+유럽연합)에 상호관세율을 적시한 서한을 발송하면서 내달 1일부터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혀왔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월 이래 한국을 포함한 주요 무역 상대국들과 관세율 및 대미 시장 개방 확대 등을 둘러싼 무역 협상을 벌이고 있다. 현재까지 영국, 베트남, 인도네시아와는 합의를 도출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조준형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