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경기 둔화 우려가 여전한 가운데 소비 심리 개선 등 내수 분야에서는 긍정적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는 진단을 내놨다.
기획재정부는 18일 발간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7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소비ㆍ건설투자 등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취약부문 중심 고용애로가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 관세부과에 따른 대외여건 악화로 수출 둔화 우려 등 경기 하방압력이 여전한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도 “소비심리 개선 등 긍정적 신호도 나타났다”고 밝혔다.
정부는 올해 1월 ‘경기 하방압력 증가’라는 말을 꺼내 들었지만, 6월 새 정부 출범 후 낙관적인 톤을 조금씩 늘리고 있다. 6월 그린북에서는 올해 1월 이후 유지됐던 ‘경기 하방 압력 증가’라는 표현을 ‘경기 하방 압력’으로 바꾸며 ‘증가’를 제외했다. 이달에는 ‘긍정적 신호’라는 표현을 추가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대내외 불확실성 중에 대내 불확실성은 많이 완화되면서 크게 꺾였던 소비심리가 계속 회복되는 모습을 보여 왔다”며 “1분기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가 나올 정도로 안 좋았던 모습에서 최소한 내수 쪽은 긍정적으로 바뀔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소비심리 개선의 근거는 6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다. 6월 CCSI는 108.7로 전월보다 6.9포인트 상승했다. 100보다 높으면 장기 평균(2003~2024년)과 비교해 소비 심리가 낙관적이라는 뜻이다. 소비자심리지수는 지난해 12월 계엄 사태 이후 100 밑으로 떨어진 후 지난 5월이 되어서야 101.8로 회복됐다. 주가 상승과 추가경정예산 기대감 등이 소비 심리 개선의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다만 주요 소비 지표는 부진한 상황이다. 5월 소매 판매는 의류 등 비내구재 등이 줄며 전년 동월보다 0.2% 감소했다.
8월 1일까지 유예된 대미 관세 등으로 수출 분야도 여전히 불확실성이 크다. 기재부 관계자는 “‘긍정적인 신호’라는 말이 추가됐지만 전반적인 경제 상황은 여전히 하방 압력이 크다고 생각하고 있다”며 “기업 쪽, 특히 수출기업 쪽은 하방 위험이 너무 크다”고 말했다. 소비심리 개선 등 일부 기대요인이 있지만, 전반적인 경기 판단은 여전히 하방 압력에 무게가 실려 있다는 취지다. 6월 수출은 반도체 업황 개선, 상호관세 유예 종료를 앞둔 선수요 등으로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4.3% 증가했다.
정부는 31조 8000억원 규모의 추경을 최대한 신속히 집행하고 21일부터 신청ㆍ지급 예정인 민생회복소비쿠폰이 소비ㆍ지역경제 등 내수 활성화의 계기가 될 수 있도록 범정부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