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베이=연합뉴스) 김철문 통신원 = 대만이 미국과 관세 협상을 통해 미국산 수입 제품에 대해 무관세를 적용할 경우 629억 대만달러(약 2조9천억원)에 달하는 세수가 감소할 것이라고 중국시보 등 대만언론이 18일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 소식통은 대만 당국이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대만에 부과하기로 한 32% 고율 관세를 낮추기 위해 이런 협상 카드를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재무부 통계를 인용해 지난해 미국산 제품에 부과된 세금이 관세 172억 대만달러, 화물세 66억 대만달러, 영업세 391억 대만달러 등 총 629억 대만달러에 달했다고 설명했다.
당국의 이런 계획이 알려지자 대만 각계에서는 반발이 일었다.
야당 국민당의 한 입법위원(국회의원)은 "무관세 조치로 인해 대만 농업과 자동차 산업에 큰 영향이 미칠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대만 국영 석유기업인 대만중유공사(CPC)의 지난 3월 미국 알래스카 가스라인 개발공사(AGDC)와 액화천연가스(LNG) 구매·투자의향서 체결, TSMC의 미국 투자확대 등과 같은 '히든카드'를 먼저 내보인 것은 미국과 협상을 위해 무릎을 꿇고 매달린 격이라고 비판했다.
자동차업계 한 관계자는 대만 내 자동차 관련 산업단지에 약 30여만명이 일하고 있다며 "해당 직종 근로자의 평균 나이는 40∼50대로 이들이 실직하면 정규직 재취업이 쉽지 않아 중·고령 실업자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유럽 대표 자동차 기업 메르세데스-벤츠 대만 측은 대만 당국의 이런 움직임이 세계무역기구(WTO)의 최혜국 대우 및 공평 시행 의무를 위반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김철문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