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충남 예산군 삽교읍 하포1리. 삽교천 인근에 있는 이 마을은 이틀 동안 400㎜ 넘는 폭우가 쏟아져 주택과 농경지 등 침수 피해가 발생한 곳이다. 전날 오전 7시쯤부터 마을 전체가 물에 잠기면서 50가구 주민 100여 명이 마을회관으로 긴급 대피했다. 소 20여 마리를 키우는 신정수(71)씨는 “살다 살다 이런 물난리는 처음”이라며 “비는 그쳤지만, 물이 빠지지 않아 농경지는 아직 한강이다. 축사 피해는 없지만, 소가 병에 걸릴까 봐 방역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집 안은 아수라장이었다. 항아리가 다 깨지고, 무쇠솥·세탁기, 그릇 등 각종 가재도구가 마당에 널브러져 있었다. 신씨는 “마당 안에 물이 보인 지 10분 새 무릎 높이까지 찼다”며 “남편과 문을 겨우 열어서 탈출하다시피 마을회관으로 도망갔다”고 말했다. 비닐하우스 안 대부분 토사가 10㎝ 이상 쌓인 곳이 많았다. 밭은 뻘처럼 발이 푹 들어갔다.
━
주민들 “10분 만에 집 침수…도망쳤다”
이 마을 주민들은 이번 수해 원인 중 하나로 성리교 신축 공사를 지목했다. 하포1리는 마을 양쪽으로 하포천과 성리천이 흐른다. 이들 소하천이 삽교천과 만나는 병목지점 주변에 넓은 뜰이 있고, 그 안에 하포 1·2리 마을이 있다. 전날 폭우 당시 하포천쪽 물이 범람한 데 이어 성리천 성리교 공사 현장 쪽 둑이 터지면서 수해 피해가 컸다.
예산군에 따르면 성리교 신축 공사는 성리천 지방하천 정비사업으로 중이다. 2022년 시작한 성리천 정비사업은 국비와 지방비 등 예산 434억원을 들여 2026년 준공이 목표다. 하천 5㎞ 구간에 배수통관과 수로관, 다리 8개를 정비하는 사업이다. 성리교는 하포리와 성리를 잇는 다리다. 이 지점 성리천 하폭은 90여m다.
김종규 하포1리 이장은 “비가 워낙 많이 온 탓도 있지만, 마을에서 800m 떨어진 성리천 성리교 신축 공사 현장에서 둑이 터진 게 가장 큰 문제인 것 같다”며 “새 다리를 놓기 위해 굴착기 등 공사용 트럭이 드나들었던 지점에 둑이 터지면서 대량의 강물이 농경지를 거쳐 마을까지 금세 올라왔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그동안 하천 범람이 잦았지만, 농경지만 침수됐지 마을까지 물이 찬 적은 없었다”고 덧붙였다.
━
비닐하우스·밭·주택 침수 피해
성리교 신축 공사현장에 가보니 길이 15m 정도의 둑이 강물에 쓸려나간 흔적이 보였다. 하포리 주민 등에 따르면 비가 그친 뒤 공사관계자가 둑을 다시 쌓았다고 한다. 김 이장은 “부랴부랴 보강공사를 했지만, 모래주머니로 쌓은 것도 아니고 주변 흙을 긁어모아 높인 것에 불과하다”며 “2년 전 청주에서 제방이 무너져 인명피해가 났다고 들었는데 성리교 공사 현장도 비슷한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김 이장은 “삽교천으로 물을 빼는 배수장 배수 용량이 부족한데다 삽교천에 빼곡한 수목을 제때 제거하지 않아 물 흐름을 막은 것도 수해를 키운 원인이라 생각한다”고 했다.
주민 김광섭(59)씨는 “17일 5시5분쯤 가교까지 하천 수위가 상승했고, 그때부터 공사장 쪽 둑에서 물이 범람하는 모습을 봤다”며 “전날 오전 5시30분~6시 사이에 둑이 터졌을 것으로 추정한다”고 말했다.
저지대인 하포2리는 상황이 더 급박했다. 이 마을 주민 50여명은 하천물이 마을을 덮치자 출동한 구조대가 제공한 보트 등을 타고 탈출했다. 하포2리 주민 안모(45)씨는 “공사장 쪽에서 대량으로 하천수가 유입되는 걸 목격했다. 하포리 수해는 인재(人災)가 분명하다”며 “하마터면 제2의 오송 참사가 날 뻔했다”라고 말했다. 안씨는 시설 하우스 2만3100㎡(7000평)를 비롯해 트랙터와 농산물 보관 창고가 모두 물에 잠겼다.
━
“저수지 방류로 피해”…농촌公 “저수율 63% 관리, 많은 비 원인”
예산군 오가면 신원1리에서는 복구 작업이 한창이었다. 이 마을은 인근 무한천이 범람하면서 마을이 잠겼다. 사과밭에 쌓인 흙을 정리하던 주민 정모(73)씨는 “대추와 감·사과를 심었던 밭이 모두 침수돼 가을 수확을 기대할 수 없게 됐다”며 “예당저수지에서 갑자기 물을 많이 방류하는 바람 하류에 있던 마을에 피해가 컸다. 전날 호우가 예보됐을 텐데 미리 저수지를 비워놨어야 했다”고 말했다.
농업용인 예당저수지는 전날 호우로 오전 8시30분부터 초당 1400t에 달하는 물을 방류했다. 한국농어촌공사 예산지사 관계자는 “호우에 대비해 저수율을 평소(80%)보다 낮은 63.5%(17일 오전 1시 기준) 수준으로 관리했지만, 전날 새벽부터 예산 지역에 워낙 많은 비가 내렸다”며 “17일 오전 7시20분쯤 저수지 수위가 만수위(22.5m)를 넘어서면서 초당 방류량을 1700t으로 늘릴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