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 식사중 윗 어금니 부러져 찬물 마실때면 통증 심해
문: 35세 남성입니다. 얼마전 저녁 식사를 하던중 윗쪽 어금니가 부러졌습니다. 부러졌을 당시 몹씨 통증을 느꼈지만 시간이 경과하면서 조금씩 완화됐습니다. 그러나 찬물이나 더운물을 마실때면 여전히 통증을 느낍니다답: 치아가 상대적으로 자주 부러지는 부분은 주로 윗쪽 어금니 안쪽 부분입니다.
윗쪽 아래쪽 치아가 서로 맞닿을 때마다 윗니(Maxila)의 안쪽 부분과 아랫니(Mandible)의 바깥부분이 맞부딪치게 되어 있습니다. 그 부분이 우리가 음식을 먹을 때나 음식을 절단하는 부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주 단단한 음식물을 잘못 씹으면, 윗니의 안쪽과 아랫니의 바깥쪽이 부러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건강한 치아가 부러지는 경우는 흔치 않습니다. 치아가 부러지는 경우에는 주로 치아에 문제가 있기 때문입니다. 본인도 모르게 치아의 충치가 있거나, 미세한 금(Crack)이 있는 경우입니다. 이러한 치아에 갑작스럽게 또는 집중적으로 하중이 생길 경우 치아가 이를 이겨내지 못하고 부러질 수 있습니다.
또 치아로 병마개를 따본 경험이 있는 분들도 치아가 깨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치아는 한번 부러지면 해당 부위의 치아를 붙이기가 거의 불가능합니다.
치료방법은 크게 세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는 부러진 부분이 신경에 가깝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부러진 조각이 적은 경우입니다. 이 때에는 금속으로 봉을 하여 부러진 부분을 보완할 수 있읍니다.
두번째는 부러진 부분의 조각이 치아 전체 면적의 25%를 초과하는데 다행히 신경에 가깝지 않아서 통증이 없는 경우에는 크라운만을 씌울 수 있습니다.
셋째는 부러진 치아의 신경이 외부와 아주 가깝거나 혹은 신경이 외부로 노출돼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문제의 치아를 먼저 신경치료한 후 크라운을 씌웁니다.
크라운에는 크게 세가지 종류가 있는데 금속 크라운, 금속에 색깔을 입힌 크라운, 금속이 전혀 보이지 않는 크라운입니다. 우선, 금속 크라운은 금(Gold), 또는 금이 아닌 일반 금속으로 만들어집니다. 이 두 금속의 차이는 잇몸에 어느 금속이 상대적으로 부작용이 적으냐 하는 것입니다. 금의 경우 잇몸에 부작용을 적게 주지만 색깔이 단점이 될 수 있습니다. 두번째로 금속에 색깔을 입힌 크라운인데 치아와 거의 같은 색깔입니다. 특히 일반 금속에 사기를 입힌 것보다는 노란금이나 백금에 사기를 입힌 크라운이 부작용이 적습니다.
세번째 금속이 전혀 보이지 않는 크라운입니다. 두종류로 나눠지는데 하얀 금속 가루를 압축해 만든 물질위에 사기를 입힌 크라운과 금속이 전혀 들어가지 않는 크라운입니다.
현재 주로 많이 사용하는 크라운은 금속위에 사기를 입힌 크라운입니다. 금속이 전혀없는 크라운은 강도가 약해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장재혁(치과의사)
문의: 718-229-3960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