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마이트 피해 막는 법
$$ 작게---터마이트, 주택 가격·안전까지 갉아 먹는다$$$$ 크게---습기제거 하고 노출된 목재에 페인트칠
____________________
주택 터마이크 피해 막는 법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최근들어 나무를 갉아 먹는 벌레인 ‘터마이트’로 피해를 보는 주택들이 늘고 있다. 미부동산협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미 전역에서 터마이트로 인한 각종 피해는 매년 3백20억달러에 달한다. 특히 미국의 남부 지역과 지대가 낮아 습기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매년 터마이트 피해가 계속 늘고 있다.
터마이트는 땅속 20피트 밑이나 나무 속에 살면서 집의 콘크리트, 벽돌, 쇠파이프 등을 타고 올라와 나무 등을 갉아먹는 벌레다. 이 벌레는 알래스카를 제외한 미 전국에 퍼져 있고 미국인들 주택에 손실을 끼치는 대표적인 해충이다. 주택 매매시에는 바이어의 요구에 따라 셀러가 터마이트의 피해를 조사하는 것이 상례다.
전문가에게 터마이트 조사를 의뢰, 이상이 없으면 검사보고서와 증명서만 은행에 제출하면 되지만 터마이트가 발견됐을 때는 반드시 구충작업을 하고 수리공사까지 끝낸 후 작업완료 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이 터마이트 보고서는 에스크로 회사에서 은행에 융자서류를 보낼 때 함께 보내게 되어 있다. 터마이트 작업완료 보고서는 보통 아파트나 주택 매매시에도 필요하다.
터마이트는 지역과 기후에 따라 여러가지가 있다.
드라이우드 터마이트(Drywood Termite)는 건조한 나무 속에서만 살며 적은량의 수분만 있어도 잘 견딘다. 나무를 갉아먹고 나서 좁쌀 알 같은 분비물을 나무 밖으로 흘려 보낸다. 그 가루가 둥글둥글하여 종이 위에 놓고 흔들면 굴러갈 정도다.
땅속에 사는 서브테레이니언 터마이트(Subterranean Termite)는 개미처럼 땅속 3~4피트 깊이에 집을 짓고 나무를 갉아먹고 새끼를 치며 날개가 있어 날아 다닌다. 습기가 많은 곳을 좋아하기 때문에 습기가 있는 지역이나 화장실 등에서는 주로 이 터마이트가 발견된다.
터마이트 작업비용은 텐트를 뒤집어씌우는 ‘퍼미게이션(Fumigation) 방식’, 물로 치료하는 ‘소일 트리트먼트(Soil Treatment)’방식 등에 따라 각기 다르다. ‘퍼미게이션 방식의 경우 집 전체를 큰 텐트로 뒤집어 씌우고 안에서 살충제를 살포하기 때문에 작업이 크다. 터마이트 제거 비용은 일반적으로 5백~2천5백달러지만 작업에 따라 많으면 5천달러 이상까지 올라가기도 한다.
한편 터마이트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예방이 최고다. 가옥의 외부에 노출된 목재는 곤충이나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가능한 한 페인트를 칠하여 벗겨진 부위를 긁어내고 덧칠을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미 손상을 입은 목재는 새 목재로 교체 해줘야 한다.
터마이트 피해를 입었을 경우 목재에 패치를 대도 되는 부분은 패칭을 하게 되는데 그러나 기준이 명확치 않아 집을 팔고 살 때 분쟁이 되는 수가 많다. 따라서 패칭을 하더라도 전문가의 의견에 따라하는 것이 좋다.
특히 조금이라도 썩은 목재는 패치를 해도 오래 가지 않기 때문에 교체를 하는 것이 좋다. 전문가들은 전체의 25%이상이 터마이트 피해를 입었으면 패치를 하지 말고 전체를 교체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말한다. 대부분의 터마이트 회사에서는 전담 목수를 고용해 터마이트 수리를 판단하게 할 뿐 아니라 인스펙터의 리포트 결과를 토대로 깔끔하게 일을 마무리해 준다.
특히 집을 팔거나 사는 과정에서 인스펙션과 에스크로 때 가장 중요시되는 사항이기 때문에 평소에 터마이트 피해를 미리 예방하고, 피해를 입었을 경우 주택가격 유지와 안전을 위해 조속히 복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종원 기자
〈[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