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시론] 오바마 방한과 '아시아 회귀' 정책

김영호/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이사장

이번 오바마 미 대통령의 한·일 방문이 미국의 '아시아 회귀' 또는 '리밸런스(Rebalance)' 정책 시대를 다시 여는 계기가 될까?

미국의 아시아 회귀 정책은 냉전시대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에 이은 새로운 정책 틀이다. 샌프란시스코 체제는 미국이 소련·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일본을 키우고, 일본을 키우기 위해 한국을 그 뒷마당으로 편입하는 게 골자였다. 이로 인해 일본은 전범국가에서 미국의 전략적 동반자가 되었다.

한국은 식민지 청산조차 제대로 못한 채 일본과 전후관계를 맺을 수밖에 없었다. 이는 한·일 과거사 문제에 대해 미국이 제3자적 입장에서 중재할 것이 아니라 책임 있는 당사자의 입장에 서야 함을 의미한다. 독도 문제는 더욱 그러하다. 미국은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최종안에서 열강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독도를 귀속 섬 명단에서 까닭 없이 빼버렸다.

이번 방한 때 오바마는 한말의 국새를 선물로 가져간다고 한다. 이에 더해 가쓰라-태프트 밀약으로 한국이 일본의 식민지로 되는 것을 방조한 데 대해 사과한다면 참으로 감동적일 것이다. 미국은 이미 하와이 강제병합과 제2차 세계대전 때 재미 일본인을 강제 소개한 것에 사죄한 바 있다. 이처럼 과오를 인정하는 나라가 진정한 선진국임을 일본에 보여주는 게 오바마가 원하는 한·일 관계 개선의 지름길이 아닐까.

미·중 관계는 정치적으로는 미국의 '아시아 회귀'와 중국의 '신형대국관계', 경제적으로는 미국의 TPP와 중국의 동아시아 포괄적 경제연대가 서로 경쟁하며 타협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것이다. 하지만 문제는 한·중 간, 중·일 간, 중·동남아 간, 그리고 남북한 간 지정학적 분쟁이 군사력에 의한 지정학적 게임에 맡겨져 있다는 사실이다.

현재 분쟁 지역인 센가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를 보자. 이 섬이 무너지면 황해·동중국해·남중국해가 무너지는 만큼 한국도 중국의 위협에 미·일과 전략적 이해를 공유하고 있다. 여기에다 미 국방예산이 삭감되면 미군의 위기대응 능력은 급격히 떨어진다. 이 공백을 메우기 위해서도 한국과 일본의 '보완적 지도력'이 요구되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이 집요하게 한·일 관계 개선을 요구하며, 한·미·일 삼각동맹을 챙기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미국 관리와 아시아 전문가들은 일본과 동아시아 사이의 역사적 단층구조를 이해하지 못한다. 당연히 그들이 만든 리밸런스 정책도 한계를 안고 있다. 지난해 말 아베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놓고 미국 입장이 오락가락한 것도 이 때문이다. 미국이 동아시아에서 일본을 지나치게 앞세우면 중국은 역사적 원한에 자극받아 더욱 군사대국화로 치닫고, 중·러 동맹 또한 한층 강화될 것이다.

그러나 중장기적으로 중국과 민주적 가치 공유를 추구해야 한다는 미국내의 움직임도 만만찮다. 이런 점에서 '아시아 회귀' 정책은 앞으로 한·미·일 삼각동맹의 단선적 구조로 가기보다 훨씬 복선적, 또는 다선적(多線的)으로 진행될 것이란 추론이 가능하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