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교육 칼럼]6년제 약학대학 진학

전영완의 대학진학 컬럼

미국의 의료관련 분야 전공은 기본적으로 경쟁률이 다른 전공들에 비해 상당히 높다. 졸업하면 전문직으로서 고소득과 안정된 직장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을 수 있다는 기대감에서다. 의대나 약대는 기본적으로 학부과정에서 Pre-Med 혹은 Pre-Pharm 공부를 거쳐 도전하는 것이 기본이지만 고교 졸업 후 곧바로 진학할 수 있는 길도 의외로 많다. 이같은 의료분야 중 오늘은 6년제 약대 프로그램에 대해 알아보자.
 
미국내 약학대학의 수는 총 124개 대학으로 졸업 후에는 일반 박사학위는 아니지만 박사로 불리는 Pharm. D 학위를 수여한다. 약학대학 지원자 수도 꾸준히 늘면서 경쟁률도 평균 10대 1을 상회, 다른 프로페셔널 스쿨에 못지 않게 치열하다.
 
약대에 들어가려는 학생은 고등학교때부터 과학·수학분야에 관심을 갖고 공부하는 것이 유리하다. 고등학교 졸업 후 학부에서 예과 2년을 마친 뒤 약대로 직행하는 6년제 약대(일명 ‘0-6 program’·아래 목록 참조)의 경우 경쟁률과 SAT·GPA 면에서 거의 아이비리그 수준급일 정도로 치열하다. 6년제 약대중 뉴저지에 있는 럿거스 약대 프로그램은 평균 GPA가 4.1(W) 이상, SAT가 2100점 이상이고 합격률도 6% 정도에 그쳤을 정도로 좁은 문이다. (6년제 프로그램 대학은 아니지만) 한해 35명 정도를 직행 프로그램으로 뽑고 있는 VCU의 경우도 SAT 평균 점수가 2150점, 합격률은 14% 선에 그쳤다. 지원시 ‘왜 약대에 진학하려는지’를 쓰는 에세이도 중요하다. 약대에 지원하고자 하는 동기나 간접 경험들을 통해 자신의 목표를 분명히 보여줘야 한다.
 
 <6년제 약대 프로그램 시행 대학> 
 ·Albany College of Pharmacy
 ·Duquesne University
 ·Florida A & M University
 ·Hampton University
 ·Massachusetts at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Ohio Northern University
 ·Philadelphia College of Pharmacy
 ·Rutgers University
 ·St. John’s University
 ·St. Louis College of Pharmacy
 ·University of Rhode Island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반면, 6년제 약대 프로그램 외에도 학부 2년 후 약대로 합격시켜주는 조기보장(Early Assurance) 프로그램도 눈여겨 볼만하다. 이 제도는 6년제 프로그램은 아니지만 이와 비슷한 제도로서, 최소 2년 학부를 마친 학생이 조기 선발되는 경우를 말한다. 이들 대학은 피츠버그, VCU 등 50여개 대학이 있다.  
 
한편, 한가지 알아둬야 할 사항은 6년제 약대 프로그램의 경우 학부에서 선수과목을 이수하는데 공부 부담이 크다는 점이다. 대학별로 약대 필수시험인 PCAT을 면제해주기도 하지만, 학부에서 일정 성적 이상을 유지할 것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만약 이같은 직행 프로그램이 아닌, 학부에서 일반 전공을 선택한 뒤 약대에 도전하려는 학생들의 경우는 선수과목 이수 여부(Pre-Pharm Course)와 PCAT시험, 좋은 GPA, 관련분야 경험 및 봉사, 추천서 등이 주요 기준이 된다. 합격 가능한 GPA는 각 대학마다 구체 점수를 명시하고 있다. 미 약학대학연합회(AACP)통계에 따르면 약학대학 합격자들의 중간 GPA는 3.5점 안팎이다.
 
선수과목의 경우 학부에서 2년 이상의 예과과정을 이수해야 하는데 이 때 규정된 과목들만 이수하면 어느 대학에서 어느 전공을 하더라도 상관이 없다. 지원자들은 2년만에 예과과정을 마칠 수도 있지만 4년제 출신들이 대다수다. 또 필수 선수과목이 화학과 관련한 과목이 많아 전공이 화학인 경우가 가장 많다. 선수과목은 대학별로 틀리지만 대개 일반화학·생화학·해부학·미생물학·면역학·사회과학·작문 등이 포함돼 있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