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신나는 고교생활] 자녀에게 부모의 생활을 공개해야 책임감 있는 진지한 미래 설계해

사무엘 김 디렉터
사이프러스 스파르탄 학원&대학진학 카운셀링 서비스

내가 전에 가르친 학생 한 명은 내가 아는 사람 중에서 가장 조직적인 사람이다. 그 학생은 노트, 숙제, 그리고 학업을 정리하는 꽤 복잡한 시스템이 있었다. 자신의 모든 활동과 매주의 목표, 그리고 중요한 과제 스케줄을 달력에 꼼꼼하게 관리했다. 심지어 자신의 은행 계좌의 수입과 지출의 잔액도 잘 정리하고 있었다. 지난 여름(현재 미시간 주립대 2학년) 방학을 맞아 집에 돌아온 그를 만난 김에 항상 궁금했던 질문을 하였다. 과연 어떻게 그렇게 인상적인 습관을 개발할 수 있었는지를 말이다.

“제가 8학년 때 부모님께서 저를 앉히시고 심각한 대화를 하셨던 것을 기억해요. 부모님께서 이전에는 제가 아직 어려서 알지 못했지만 이제는 제가 부모님의 삶에 대해 몇 가지를 배울 나이가 충분히 되었다고 하셨어요. 그 대화는 저녁 내내 이어졌어요. 저는 그때 저희 집안 형편에 대해 거의 모든 것을 알게 되었어요. 부모님의 수입과 가족의 생활비, 부모님의 저축은 얼마나 되는지, 세금은 얼마나 내는지, 또한 빚은 얼마나 되는지 등이죠. 그리고 부모님은 어떻게 재정 파일을 관리하시는지, 어떻게 가족 예산을 관리하는지에 대해 보여 주셨죠. 하루 저녁에 저는 어른이 되기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알게 되었어요. 그냥 어른이 되는 것이 아니라는 걸 깨달았죠. 어른이 되는 법을 배워야 한다는 것을요.”

그 학생은 계속해서 말하기를 부모님과의 그 대화가 자신에게 준 주요한 영향은 바로 부모님의 말씀을 조금 더 심각하게 듣기 시작했다는 점이라고 했다. 그 전까진 부모님의 모든 가르침이 잔소리로만 들렸다. 예를 들면 방을 깨끗이 하라거나 책가방을 잘 정리하라는 것 등이다. 하지만, 그의 부모의 인생에서 정리습관이 얼마나 중요하지를 깨닫게 된 후 그도 그 습관을 기르기 위해 더 주의 깊게 행동하기 시작했다. 이 중요한 대화가 있은 지 몇 주 동안 그의 어머니는 고지서 납부를 하고 그달의 재정 파일을 정리해서 치울 때마다 그를 불렀다. 그 학생은 전기, 가스, 수도 요금으로 얼마가 나가는지, 집 모기지의 월 납부금은 얼마인지, 신용카드의 빚은 얼마인지, 그리고 저금은 얼마인지 등을 직접 볼 수 있게 되었다. 그는 모든 것을 좀 더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법을 배웠다. 그의 부모님은 지혜롭게 자녀를 교육시켰던 것이다.

나는 종종 학생들이 얼마나 그들의 부모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있는지 놀라곤 한다. 부모님이 어느 대학을 졸업했는지, 부모의 생업은 무엇인지. 직장에서 어떤 일을 하는 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 위에 언급한 학생을 제외하고는 그 어느 학생도 부모의 수입이 얼마인지 몰랐다.

많은 부모가 자녀가 성숙해 지기를 원하지만 그 이유로 단지 성숙해져야 할 만큼 나이가 먹었다는 이유를 내세울 뿐이다. 어른으로서의 삶에 대한 지식이 없는 자녀가 과연 성숙함이 필요한 이유를 깨달을 수가 있을까. 성숙함의 목적은 무엇인가? 성숙함으로 인한 이점은 먼 미래에 있을 뿐 현재 그들의 인생에는 별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여기서 부모가 깨닫고 고려해야 할 점은 바로 자녀가 현재를 사는 법만을 알고 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그들이 미래의 자신들의 모습을 볼 수 있도록 인도해야 한다.

부모는 자녀가 스스로 동기부여를 할 줄 아는 책임감 있는 어른이 되길 바라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자녀를 재정의 어려움을 아는데서 오는 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하려 한다. 하지만 이는 환상만 만들어내고 자녀가 성숙함을 배우는 과정을 지체시킬 것이다. 모든 학생들은 결국엔 성숙해질 것이다. 하지만 그 시기가 언제인지는 각자 다르다. 자녀가 일찍부터 책임감을 갖게 하려면 부모들은 자녀들에게 솔직하고 명확한 현실의 모습을 보여주어야 한다. “책임감 있는 사람이 되어야 미래에 성공할 수 있다”는 말만으로는 절대 통하지 않는다. 이런 말들은 부모가 그들의 인생을 컨트롤하는 것을 질색하는 자녀를 화나게 할 뿐이다.

자녀는 한 번 어른들의 삶에 대한 진실을 배우면, 부모에게서 배운 모든 것들이 합해져 이해하기 시작한다. 개인적인 좋은 습관과 교육, 대학, 직장, 연봉, 그리고 미래의 성공 사이의 연결 고리들을 보기 시작한다. 이러려면 학생들은 스스로의 눈으로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 모든 것을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법을 배워야 한다. 미래는 더 이상 그들에게 환상이나 꿈이 아니다. 진짜 현실이 무엇인지를 아는 자녀들은 현실을 준비하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