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서울 스타일, 세계 스타일…화장품 업체들 '서울 뷰티'

립스틱 이름에 '강남' 붙이고
메이크업 가방에 '홍대' 글자
SEOUL 새긴 향수도 세계 판매
국내 업체도 용기에 서울 풍경

이탈리아의 로마나 브라질의 리우데자네이루 거리를 걷다가 한글로 '홍대'라고 크게 쓴 검은 가방을 메고 다니는 세련된 현지 여성과 마주칠지 모른다. 가방의 반대쪽 면에는 영문으로 'SEOUL(서울)'이라는 빨간 글자가 선명하게 인쇄돼 있다. 세계적인 메이크업 브랜드 맥(MAC)이 한국은 물론 미국·영국·프랑스 등 8개국의 대표 매장에서 판매하는 '스타일 보이저'(가방과 거울, 메이크업용 손가방으로 구성)의 디자인이다. 맥은 "젊고 유행에 앞서가는 서울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홍대를 디자인에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서울 스타일'이 세계적으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이미 'K-뷰티'가 세계적인 트렌드로 자리잡은 화장품 업계에서 이런 경향이 도드라진다.

세계적인 메이크업 브랜드 슈에무라의 경우 '루즈 언리미티드 슈프림 마뜨 립스틱' 중 밝은 핑크색인 'PK376'과 환한 오렌지색 'OR570'을 '강남핑크', '강남오렌지'라는 이름으로 전세계 매장에서 판매하고 있다. 색상 종류가 많아 영문과 숫자로 립스틱 색상을 구분하는 슈에무라로서는 이례적이다. 가수 싸이가 '강남 스타일'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얻으면서 '강남'이라는 서울이 한 지역 이름이 세계적으로 통할만큼 친근해졌기 때문이다. 슈에무라 정선민 이사는 "전세계에 출시하는 립스틱 이름에 '강남'이 들어간 것은 뷰티업계에서 서울의 위상이 뉴욕이나 파리 못지 않게 높아졌다는 방증"이라고 했다.

이탈리아의 고급 화장품 브랜드인 산타마리아노벨라는 서울을 주제로 한 향수 '알바 디 서울'을 전세계에서 판매하고 있다. '서울의 새벽'이라는 뜻이다. 역동적인 서울의 하루가 시작되기 전, 600년의 역사가 고요히 숨쉬는 순간을 담았다. 유제니오 알판테리 산타마리아노벨라 최고경영자(CEO)는 "서울에 올 때마다 새벽에 남산을 산책하는데 바람에 섞인 소나무 향이 인상적이었다"고 말했다. 소나무 진액이 들어간 이 향수는 포장도 독특하다. '소나무 사진작가'로 유명한 배병우 작가의 '동이 틀 무렵의 소나무 숲' 사진을 담고 있다.

한국 여성의 깨끗한 피부와 세련된 화장법, 풍부한 미용 상식과 깐깐한 제품 평가 때문에 한국은 예전부터 글로벌 화장품 브랜드의 테스트마켓이자 제품 개발의 산실 역할을 해왔다. 그런데 한류 드라마·예능 프로그램 등을 통해 'K-뷰티'를 동경하는 해외 여성이 중국·동남아시아 등을 중심으로 급증하고, 한국에 대한 정보도 많아지면서 '한국→서울→홍대' 식으로 점점 이미지가 구체화한 것이다. 맥을 운영하는 에스티로더그룹코리아의 조혜선 차장은 "2011년 한국에서 개발한 제품을 세계 시장에 출시한 것을 시작으로 '코리안캔디' 립스틱, '써니서울' 립스틱, 홍대서울 메이크업 가방까지 점점 구체적으로 바뀌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의 스타일을 표방하는데 그치지 않고, 서울을 브랜드의 뿌리로 삼으려는 브랜드도 나왔다. 코치·마크제이콥스 등 세계적인 디자이너 브랜드 핸드백을 28년 동안 기획·생산한 한국 기업 시몬느가 지난달 출시한 첫 자체 브랜드 '0914'다. 시몬느 박은관 회장은 "해외 패션계에서 현재 가장 관심을 모으는 곳이 서울"이라며 "파리뉴욕이 오후 3시, 상하이가 오전 10시에 다다른 느낌이라면 서울은 가장 빛이 찬란한 정오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구희령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