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과 생활] 양육권과 친권의 차이
김윤환 변호사
캘리포니아 가정법정에서 양육권을 정할 때 제일 중요한 기준은 "Children's best interest" 그러니까 아이들에게 어떤 상황이 제일 좋은 것이냐는 것이다. 가정법 3040조에 따르면 공동 양육권 명령을 내리거나 한쪽에 양육권을 정해준다면 아이들이 상대방에게 자주 보고 연락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지를 보고 부모의 성별을 토대로 양육권을 결정하지 못하게 명시되어 있다.
그와 같은 맥락으로 경제적 여건을 보는 것이 아니라 누구와 함께 살 때 아이가 가장 안정적이고 이득을 볼 수 있느냐를 보게 된다는 것이다. 상대방이 돈을 못 버니까 돈을 더 잘 버는 내가 양육권을 가져야 한다는 주장을 펴면 법원은 자칫 상대방에게 양육비를 더 지불하라는 명령을 내리게 된다.
이와 같이 캘리포니아 가정법정이 가장 중시하는 것은 아이의 성장에 부모 중 어느 쪽이 더 바람직한가를 본다는 점이다. 부모가 동의해 상대방에게 양육권을 넘겨 줄 수는 있어도 친권은 절대 포기할 수 없도록 한 게 미국 법이다. 캘리포니아에서는 부모중 한쪽이 자녀를 보호 교육하는 권리와 의무를 그렇게 함부로 포기할 수 없게 돼 있다. 자녀가 결혼하거나 부모로부터 법적으로 독립하는 경우 그리고 아동학대 등의 이유로 주정부가 강제로 아이들을 격리 수용하지 않는 한 친권은 포기할 수 없다.
캘리포니아의 사회복지 정책은 아이는 부모가 키워야 한다는 것이다. 만일 아이들을 키우는데 정부비용이 들어갔다면 부모는 이 돈을 갚아야 한다. 한 예로 아이들 어머니가 정부에서 내주는 양육비를 받았으면 정부는 아버지를 상대로 그 돈을 상환하라는 내용의 소송을 하게 된다.
한국의 어떤 유명인 케이스 경우 빚을 갚아주는 조건으로 아이들의 친권과 양육권을 포기했는데 그것은 캘리포니아에서는 불가능한 일이다. 미국에서는 아이들을 부모의 소유물로 보지 않고 돈과 바꿀 수 없는 한 인격체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아무리 빚을 지고 가정폭력문제가 있었다고 해도 법정에서는 부모의 중요성을 인정하기 때문에 아이들의 친권포기는 인정하지 않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도 있지만 부모가 자녀를 돌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캘리포니아의 방침이다.
남성들이 양육권을 주장할 때 대부분 불리한 경우는 평소에 아이를 키우는데 관심을 보이지 않고 또 아이와 시간을 잘 보내지 않았기 때문이지 남자라고 해서 불리한 것은 결코 아니다. 아이가 어떤 친구와 놀고 어떤 학교를 다니고 어떤 과목을 제일 좋아하고 또 어떤 음식을 좋아하는지 그런 기본적인 것은 양육권을 주장하는 부모로서 평소에 알아야 한다고 법정은 보고 있는 것이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