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트럼프, 여성편력 사생활 논란

NYT '트럼프와 여자들' 특집기사
연인.부하직원 등 50여 명 인터뷰 보도
여성 평가기준 '외모와 섹시함' 등 지적

"그는 나에게 수영복으로 갈아입을 걸 요구하는 거에요. 싫다고 하니 그는 나를 어떤 방으로 데려가 서랍을 열더니 비키니 수영복을 꺼냈죠. 그리곤 나에게 그것으로 갈아입으라 했어요. 갈아입고 나온 나를 보더니 '와우'하고 탄성을 질렀죠. 그리곤 밖에 있는 파티 참석자들에게 나를 데려가 '정말 끝내주는 '트럼프 걸'이지 않아요?"라고 소개하는 거예요."

모델 출신의 로온 브루어 레인(52)이 털어놓은 1990년 도널드 트럼프의 플로리다 팜비치 저택에서 있었던 일이다. 당시 26살이던 레인은 '잘 알지도 못하는' 트럼프(당시 44세)가 주최한 파티에 초대받아 갔다 겪은 황당한 경험을 털어놓았다. 첫 부인과 이혼한 상태였던 트럼프는 이후 몇 달 동안 레인과 교제했다.

15일 뉴욕타임스는 '도널드 트럼프는 사생활에서 어떻게 여성을 대해왔는가'란 제목의 특집기사를 실었다. 지난 6주 동안 트럼프의 과거 연인, 회사에서 트럼프의 부하로 일했던 여성, 그의 이성관계를 잘 알고 있는 지인 등 50여 명을 집중 인터뷰한 내용이다.

그 결과를 보면 트럼프는 지난 40년 동안 자신의 마음에 드는 여성을 보면 여성이 내켜 하지 않는 로맨스를 강요하고, 성희롱에 해당하는 외설적 발언도 거침없이 해왔다고 한다. 특히 여성을 평가하는 기준은 철저히 '외모'와 '섹시함(hot)'이었다.

1997년 '미스 유타' 출신인 템플 타거트(당시 21세)는 "당시 트럼프는 둘째 부인(말라 메이플스)과 결혼한 상태였는데, 나를 뉴욕의 트럼프타워로 초대해 가니 갑자기 내 입술에 기습적으로 키스를 했다"고 말했다.

모델 기획사들과의 친분을 떠벌리던 트럼프는 타거트에게 "(21살이라고 하지 말고) 17살이라고 하는 거야"라 충고했다고 한다. 나이를 속여 모델을 하라는 제안이었다. "트럼프가 기습 키스했다"는 타거트의 주장에 대해 트럼프는 "난 모르는 사람에게 키스를 할 때 머뭇거리는 사람"이라고 반박했다.

트럼프는 1996년 미스 유니버스 조직위원회를 인수한 뒤 매년 미스 유니버스, 미스 USA 등의 미인대회를 주최해왔다.

2009년 '미스 캘리포니아'였던 케리 프리진의 기억도 비슷하다. 트럼프는 그 해 '미스 USA' 선발대회에 참가한 여성들을 수영복보다 노출이 심한 옷을 입은 채 줄지어 서 있게 한 후 '감상'을 즐겼다. 프리진은 "트럼프는 참가자들 앞에 멈춰 아래 위로 쭉 훑어보더니 '음~'이라고 말하며 지나갔다"고 말했다.

또 '미스 앨라배마'를 한 발 앞으로 불러내더니 "누가 이 중에서 가장 아름다운 것 같아?"라고 물었고, "나를 빼 놓고 말하자면 '미스 아칸소'가 사랑스러운(sweet) 것 같다"는 답을 듣고는 "사랑스럽고 뭐고 그런 건 내게 중요치 않아. 그녀는 뜨거워?"라 물었다고 한다.

프리진은 "모두 그날 경험을 모욕적으로 받아들였다"고 토로했다.

트럼프는 고위직 여성에게는 기선을 제압하는 독특한 어법을 사용한다는 증언도 나왔다. 뉴욕시 부시장을 지낸 알레어 타운젠드는 "그는 항상 나를 '자기(Hon(ey).Dear)' 라 불렀다. 상대방을 위축시키려고 그런 것이다. 그는 반복적으로 그렇게 했다"고 말했다. 마치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007년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의 정상회담장에 '의도적으로' 시커먼 래브라도 리트리버 종 대형 애견을 풀어놓았던 것을 연상케 한다.

한편 트럼프의 사생활에 대한 뉴욕타임스의 보도 직후 라인스 프리버스 공화당 전국위원회(RNC) 위원장은 "유권자들은 트럼프의 사생활에는 관심이 없다. 대신 기존 정치 체제를 무너뜨릴지 여부를 중요한 판단 근거로 삼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15일 A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유권자들은 힐러리 클린턴과 트럼프 가운데 누가 워싱턴 정치판에 지진을 가져올지에 관심을 두고 있다"면서 "사람들은 기존 체제에 분노하고 있고 트럼프가 그런 체제를 깨뜨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서한서 기자, 김현기 워싱턴 특파원
[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