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전망있는 직업 100선] 척추교정전문의 (Chiropractor)

박종환 엘리트학원 원장

여행의 후유증인지, 목 부분이 불편하여, 척추 교정전문의를 찾았다. 허리가 아플때 주위분들의 권유로 찾았다가 효과를 본 경험이 있어, 한의원에 갈까 하다가 척추교정병원으로 향했다. X ?Ray 촬영을 한 후, 의사는 목 척추가 심히 휘어 있닥 하며, 교정을 받을 것을 권했다. 컴퓨터를 많이 쓰는 현대인들이 잘못된 자세에서 오는 자라목 증세의 일종이라 하며, 지속적이 교정치료를 권했다. 기분 나쁘게 아팠던 목부분의 통증이 두번의 치료 후에 말끔이 없어지자 상당히 놀라왔다. 일주일에 두번씩 지속적으로 치료를 받고 있는데 카이로프락터가 척추를 누를때마다, 우두득하는 소리와 함께 척추가 펴지는 듯한 시원한 느낌이 든다. 대체 의학의 대표주자인 카이로프락틱에 관하여, 척추교정전문의가 되는 과정을 몇주에 걸쳐 알아보도록 하겠다.

직업개요 및 의무

카이로프랙틱이라는 용어는 '손'을 뜻하는 그리스어 '카이로(chiro)'와 치료를 뜻하는 '프락토스(practice)'라는 단어의 합성어로 약과 수술에 의존하지 않고 주로 의사의 손으로 여러 가지 질환을 치료한다는 뜻이다. 카이로프랙틱은 약물이나 수술을 사용하지 않는 자연 치료 요법으로 보수적이면서도 자연적인 접근법으로 인체를 한 부분이 아닌 전체에 초점을 두고 연구하며 치료하고 있다. 특히 예방(Prevention)과 유지(Maintenance)적인 측면에 역점을 두어 영양과 운동을 겸한 신경(Neuro) 근육(Muscular) 골격(Skeletal)을 복합적으로 다루고 있다.

카이로프랙틱이란 신체의 운동역학적 기능을 가진 조직 특히 척추와 골반을 중심으로 이들 조직 및 주변조직의 기능적 장애에 대한 병리 진단 치료를 통해 이들 조직의 기능적 장애 생화 학적 변화 신경 생리학적 변화 및 통증의 발생을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학문이다.

100여년 전인 1895년 캐나다 태생의 데이비드 파머(D. D. Palmer) 박사가 아이오와주에 사는 한 청소부의 귀가 일시적으로 들리지 않게 된 상황에서 척추 지압 교정으로 청소부의 귀를 다시 들리게 해줌으로써 미국에『카이로프랙틱』(Chiropractic)이란 전문 직업을 탄생시키게 되었다. 파머 박사에 의하여 처음으로 의학적 체계를 갖춘 후 학문적인 체계와 교육 연구 성과로 현제 세계 60여개 이상의 국가에서 카이로프랙틱 의학으로 확실히 성장하여 대체의학의 주도적인 위치에 서게 되었다. 아이오와주 Davenport 에 첫 전문 카이로프랙틱 대학이 생긴후 현재 미국내에 Council on Chiropractic Education에서 인증된16개의 전문 대학이 있다.

카이로프랙터(Chiropractor: 척추전문교정의)는 DC (Doctor of Chiropractic) 또는Chiropractic physicians 로 불리고 있는데 척추 치료의 특수 분야 자격을 획득한 의무 박사 면허 소지자이다.

일반 의사나 약제사들과 같이 미국의 각 주의 법률과 규정에 따라 면허를 취득하고 환자의 진찰과 치료를 맡고 있고 교육과정을 규정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어느 한 주에서 면허를 받으면 타주에서도 발급해 주는 것이 보통이다.

대부분의 주의 면허발급규정은 일반 대학에서 약 2년 (최소 60 semester unit) 을 끝내고 4년제 카이로프랙터 전문대학원에 입학한 후 졸업하여 DC 학위를 취득할 것을 요구하고 있는데 최근 미국의 많은 주에서 BS 학위와 카이로프락텍 전문대학원을 졸업한 후 라이센스를 취득해야만 시술을 할 수 있도록 규정이 강화되고 있다.

www.ElitePrep.com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