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바루기] '어쭙잖은' 충고
'어줍잖은 충고보다 위로와 격려가 더 큰 힘이 됩니다'는 글을 보면서 고개를 끄덕인 적이 있다. 그러나 '어줍잖은'은 '어쭙잖은'으로 쓰는 것이 맞다. '어쭙잖다'는 비웃음을 살 만큼 언행이 분수에 넘치는 데가 있다는 뜻이다. 아주 서투르고 어설프다 또는 시시하고 보잘것없다는 의미도 있다.'어쭙잖다'를 풀어 보면 '어쭙-+-잖다(-지 않다)' 형태로 돼 있다. '어쭙다'를 기본형이라 생각할 수 있지만 '어줍다'가 기본형이다.
보통 앞말을 부정할 때 보조용언 '않다'를 넣어 '-지 않다'고 쓰는데 이를 줄여서 '가당찮다' '심상찮다'와 같은 표현이 쓰인다. 이때 보통 앞말의 표기가 달라지진 않는데 '어쭙잖다'는 앞말의 표기까지 달라진 예외적인 경우다. '어줍다'와 '어쭙잖다'는 구분해야 한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