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서울서 태어난 한인 여성 랍비 안젤라 워닉

북덜



"넌 유대인처럼 안 생겼는데?"

한인의 피가 섞인 안젤라 워닉 북덜(36.Angela Warnick Buchdahl.사진)은 왜 자신이 유대인인 지 설명해야 할 때가 많았다. 보통 사람들의 눈에 그녀는 유대인의 얼굴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불자 한인 어머니와 유대인 아버지 사이에서 1972년 서울서 태어난 안젤라. 아버지 프레드 워닉씨는 한국 미군 부대에서 시빌엔지니어로 일하다가 어머니 이술자씨를 만나 결혼했다.

안젤라는 5세때 워싱턴주 타코마로 이주한 뒤 쭉 유대교 회당에서 자신의 종교를 지켜왔다. 1990년 예일대학교에 입학해서 종교를 전공한 그는 졸업 후 랍비가 되기로 했던 고교시절의 결심에 따라 뉴욕에 있는 HUC(Hebrew Union College)에 진학해 2001년 최초의 아시안 학생으로 졸업했다.

안젤라는 1999년 캔토어(cantor.유대교 의식에서 노래를 이끄는 사람)가 됐고 2년 뒤 랍비가 됐다. 미국내 최초 아시안 랍비이자 전문 캔토어 훈련을 받은 랍비가 처음 탄생하는 순간이었다.

현재 그는 진보적인 개혁 유대교 운동의 중심인 센트랄시나곡(맨해튼)에서 노래로 회중을 이끌고 있다.

◇노란 얼굴의 유대인

안젤라 역시 다른 혼혈 한인들처럼 외모에서 비롯된 극심한 성장통을 겪었다. 성별.인종.국적에다 종교 문제까지 뒤섞여 "나는 과연 누구인가"하는 정체성 문제가 끊임없이 그를 괴롭혔다. "너무 한국인스럽다 싶으면 유대인처럼 행동해야 할 것 같고…. 그 사이에서 스스로 경쟁을 했죠."

노란 얼굴의 유대인을 유대인으로 인정하지 않으려는 시선에 지쳤을 때 결국 그 놈의 유대인 때려치우기로 했다. 어머니에게 이 소식을 통보하자 의외의 답변이 돌아왔다. "그렇게 할 수 있겠니?" 어쨌든 결국 넌 유대인이라는 확인이었다.

안젤라는 그제야 현실을 받아들였다. 결국 자신이 받은 상처는 노란 피부와 불자인 한인 엄마가 있는 현실을 애써 부인해온 제 살 깎기의 결과였다는 점을 인정한 것이다. 그리고 개종 의식을 치러냈다. 반쪽 한인인 자신이 유대교를 선택했다는 사실을 다시 확인했다. "(아이러니하게도) 개종 의식을 통해 엄마의 존재와 문화를 인정하게 된 거죠."

안젤라의 세 아이들에게도 한국 문화는 계속 이어진다. 큰 아들인 가브리엘(8)은 5세때 태권도를 배워 10까지 한국어로 셀 수 있다. 온 가족은 내년 여름 한국 방문을 계획하고 있다.

◇불자 어머니 영향

안젤라의 어머니는 한국의 한 사찰에서 1년간 살았을 정도로 독실한 불자다. 어머니는 유대교 회당에서 히브리어도 배우고 유대 음식도 만들고 회당 성가대에서 노래도 하지만 여전히 불자다.

이런 어머니의 '오픈된 영성'이 아버지의 '순수 유대성'보다 안젤라에게 더 영향을 끼쳤다. 두 세계(한국과 미국 불교와 유대교)에서 최상을 취하면 된다는 '똘레랑스(관용) 마인드'가 안젤라의 종교 시각을 넓혔다.

결혼에도 불교는 영향을 끼쳤다. 안젤라는 예일대 재학중에 만난 남편 제이콥 북덜(변호사)과 타코마의 유대교 회당에서 1996년 결혼했다. 결혼 하루 전에는 타코마의 한 불교 사원에서 한인 가족들과 한복을 입고 한국 음식을 먹으면서 조촐한 의식을 치르기도 했다.

"어릴 때 백인 외 다른 인종이 등장하는 유대교 책이나 포스터를 본 적이 없어요."

조진화 기자

[email protected]

2면 '랍비'로 계속⇒안젤라는 '다인종유대교연맹'에서도 일하고 있다. 다양한 인종 유대인들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일을 돕고 있다. 백인.흑인.황인 유대인이 모두 어울리는 대동의 장을 실현하려는 큰 꿈이 숨어있다.

"모든 종교가 빅 이슈를 향해 함께 싸워 나가야 합니다."

안젤라는 어떤 종교이든 종교는 사회의 무너진 것을 고치는 데 앞장서야 한다고 믿는다. 그가 종교는 액션이라고 생각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작게는 센트랄시나곡 안에서 불체자 돕는 일에 앞장서고 크게는 타종교와 연계해 모두를 위한 의료보험 제도 도입에 힘쓰고 있다. 한인의 피가 흐르는 랍비 안젤라가 열어가는 개혁 유대교 운동의 앞날이 주목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