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체질 칼럼]위하수증을 조심하세요!

소음인, 위 따듯하게 해주는 음식 섭취를

예로부터 "잘 먹고 잘 소화시키면 무병하다"는 말이 있다.
틀린 말이 아니다.
끼니 때가 되면 적당히 허기를 느끼고 식욕이 나다가 식후에는 만족감과 함께 기운이 생기는 것은 위장이 튼튼하여 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의학에서 위는 오행 중에서 토에 속한다.
'토(흙)'가 만물생장의 모체이며 생발의 근본인 것처럼 위장 역시 인체 생리 대사의 기본이요 근간이 되기 때문이다.


일단 위장이 튼튼하고 볼 일이다.
잘 먹고 잘 소화시키고 대변이 순조로우며 덧붙여 잠 잘 자고 한가지 더해서 불안하지 않으면 건강한 것이다.
그런데 위장에 특별한 이상이 없으면서도 늘 명치 부근의 압박감과 무언가 차 있는 듯한 불쾌감으로 괴로움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있다.


처음에는 식후에만 느껴지다가 심해지면 항상 위 근처가 그렇게 느껴지고 공복감이 생기지 않는다.
설령 공복감이 생기더라도 조금만 먹으면 꽉 차버리고 억지로 먹으면 매스껍고 구토를 하며 위에 둔통을 느끼고 식욕도 감퇴한다.
이것이 위하수증이다.


일반적으로 한국인들 가운데 3의1 가량이 위하수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 사람들 모두가 위하수증에 걸린다는 아니다.
위하수란 거의 선천적인 것으로 심하면 위가 골반에까지 밑으로 처지기도 한다.


그러나 선천적 위하수를 가지고 있더라도 활동이 정상적이면 별 증세를 일으키지 않는다.
다만 위하수인 사람은 사소한 계기로 위의 활동이 약해지기 쉽다.
또는 무력성 체질에 특유한 신경질적인 성격은 병세에 민감하여 그에 대한 염려나 불안으로 위에 나쁜 영향을 주어 악순환을 일으켜 여러 가지 증세를 유발하는데 이러한 상태를 위하수증이라 한다.


체질의학에서 위하수와 위하수증은 거의 소음인의 독점병이다.
어떤 체질이든지 장기적으로 불규칙적으로 식사를 하거나 과식, 폭식을 하게 되면 위하수증이 걸릴 수 있지만 그 중 소음인이 거의 대다수를 차지한다.
이는 소음인 체질은 날 때부터 위를 작고 무력하게 타고나는 장기적인 특성에 기인된다.


더욱이 소음인은 모든 체질 중에서 가장 내성적인고 세심하여 작은 일에도 마음을 끓이고 불안정한 마음의 소유자인 까닭에 무력한 위를 더욱 무력하게 하여 위하수증을 유발하고 회복 또한 쉽지 않는 경우가 많다.


위하수증인 경우, 몸이 나른하고 일할 기력이 없어지며 조금만 일을 해도 피곤을 느끼며 자신의 증세에 대한 불안, 초조 때문에 심지어 우울증이나 불면증에 걸리기도 한다.
또한 자율신경에 실조를 일으켜 머리가 무겁고 현기증이 나며 어깨나 등이 뻐근한 증세와 더불어 흥분하기 쉽고 가슴이 두근거리며 손발이 저리는 증세가 나타나기도 한다.


소음인 위하수증 치료의 가장 기본은 이 증세가 체질적 소인과 관계된 것이지 질병이 아니라는 인식을 갖는 것이다.
그리고 소음인은 선천적으로 위소위약하고 냉성이기에 늘 위를 덥혀주는 방향이 필요하다.


위하수증을 가지고 있는 소음인은 온도적으로 속성적으로 찬 것을 피하여야 한다.
아이스크림이나 차가운 청량음료는 독과도 같다.
한편 한국인이 가까이하는 음식 가운데 차가운 속성을 가지고 있는 돼지고기와 보리, 팥 그리고 오이와 맥주는 반드시 피하여야 한다.


반면 소음인에게 필요하고 유익한 대표적은 음식으로 쌀밥(콩을 넣어도 좋다.
), 닭고기, 감자 등이 있다.
한편 사과나 귤, 대추는 위장을 덥혀주고 활력을 가져다 주며 생강이나 꿀은 좋은 차가 될 수 있다.
약 중의 명약이라는 인삼은 소음인의 약이다.


소음인 위하수에 있어서 첫째 금물은 과식, 폭식이다.
위하수증이 어느 정도 회복된 것 같으면 입맛이 조금씩 당긴다 해서 과식을 하면 다시금 위장이 밑으로 쳐질 수 있으므로 절대 과식을 피하고 식후에는 위가 밑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잠시 누워있는 것도 한가지 방법이다.
목욕에 있어서 소음인은 온욕과 사우나가 아닌 냉욕과 냉수마찰을 해야 하며 수영은 소음인에게 가장 좋은 운동 중의 한가지가 된다.


-----------------------

권호동원장은...
▶상문고등학교▶경희대 한의과대학▶00사단 한방 군의관▶국군 덕정 병원 한방과장▶서울 유광 한의원 개원▶밴쿠버 이민 (1996) ▶다니엘 한의원(1997-) (604-438-7025)

◆ 캐나다 밴쿠버 중앙일보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