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C 지원 일문일답-9] ELC 학생들 UC 합격률 높다
고교 졸업 후 1년 후 지원해도 자격 인정
'총체적 심사'에 ELC학생들 가산점 반영
UC는 이러한 문제에 봉착한 UC지망학생들을 위해 학생들이 종종 가질 수 있는 크고 작은 의문사항 들에 대해 웹사이트를 통해 답을 주고 있다. 마침 웹사이트에 공개된 질문사항들은 한인 학생들에게도 충분히 닥칠 수 있는 상황이어서 시리즈로 정리한다.
오늘은 고교 성적순위로 평가되는 ELC(Eligibility by Local Context) 심사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의문점에 대하여 알아본다.
-내년 졸업 예정인 학생이 ELC 해당학생으로 평가를 받았으나 졸업 후 UC에 바로 진학하지 않고 1년 후에 지원한다면 여전히 ELC해당학생으로 받은 번호를 사용할 수 있는가?
▷ELC 자격으로 UC진학을 1년 미루도록 허가하는 캠퍼스는 UC데이비스 뿐이다.
졸업 후 아무 때나 UC에 지원하더라도 고교 과정에서 받은 ELC번호를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신입생 입학 자격으로다. 그러나 만일 쉬는 동안 커뮤니티 칼리지 등에서 대학 학점을 땄다면 신입생이 아닌 편입생 자격으로 지원서를 제출해야 한다. 이때에도 지원서에 ELC 번호를 기입하면 심사에서 가산점을 받을 수 있다.
-ELC 자격으로 입학을 보장하는 캠퍼스는 어디 어디인가?
▷2008년 가을의 경우 UC데이비스 어바인(댄스와 음악 전공자 컴퓨터 사이언스 공대 제외) UC머세드와 리버사이드 샌타바버러 등이 ELC지원자를 모두 합격시켰다. 웹사이트를 통해 ELC자격 조건을 자세히 게재하고 있는 바와 같이 ELC자격조건을 충족시키려면 교내 순위 외에 UC에서 요구하는 모든 과목을 3.0 이상으로 이수해야 한다.
- ELC 자격조건에 포함된 외국어 과정은 몇 년 인가?
많은 학생들이 영어 외 외국어를 3년 이상 이수하지만 실제로 ELC에서 요구하는 기간은 2년 뿐이다. 그러나 경쟁률이 높은 캠퍼스에서 ELC자격이 아닌 일반 심사대상으로 평가받으려면 3~4년 이수할 것을 권한다.
- 사실 UC는 3.0이상의 GPA로 UC에서 요구하는 과목을 모두 이수한 학생에게는 UC진학을 보장하고 있다. 그렇다면 3.0이상의 성적을 받은 학생이 굳이 ELC자격까지 받을 필요가 있는가?
▷ELC 대상학생은 입학심사시 '총체적 평가' 즉 성장환경이나 가족환경 등을 감안한 평가에서 다른 학생들에 비해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경쟁률이 높은 캠퍼스에 합격할 가능성이 높다. 각 캠퍼스별 합격자 비율에서 ELC번호를 가진 학생들의 합격률이 높은 것은 바로 이 이유다.
김소영 기자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