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리뷰 - 간신] '천하 망치는 데 소인 하나면 족해요'
세번째 '간신 책' 낸 김영수씨
중국역사 속 악명 떨친 19인 소개
"자제력 없는 권력자에 간신 몰려"
치명적인 내부의 적 간신
김영수 지음·추수밭
최근 '치명적인 내부의 적 간신'(추수밭 356쪽)을 낸 김영수(50)씨는 '간신 전문가'라 할 수 있다.
동서양의 간신 현상을 분석하고 그 위험성을 경고한 글을 모아 2000년 '간신은 비를 세워 영원히 기억하게 하라'를 낸 데 이어 2002년엔 중국사의 간신을 행태별로 파헤친 '간신론'(이상 아이필드)을 엮어 냈으니 이번이 세 번째 '간신 책'이다.
그에게 그토록 간신에 매달리는 이유를 묻자 '송사(宋史)'의 한 구절을 인용하며 마치 당연한 걸 묻는다는 표정이다. 이어 전제군주 시대와 간신의 개념이 다르기는 하지만 나라를 어지럽히는 관리는 언제 어디서나 있기 마련이므로 분석하고 경계해야 마땅한 주제라는 설명이 뒤따른다.
이번 책은 중국사상 악명을 떨친 간신 19명의 생애와 횡포를 살핀 약전(略傳)이다. 그런데 전국시대 초나라의 비무극(費無極) 환관정치의 막을 올린 한나라의 석현(石顯) 이자성의 난을 부른 명나라 말기의 온체인(溫體仁) 등 낯선 이름이 여럿 나온다.
물론 주군에게 잘 보이려 자식을 삶아올린 역아 삼국지에 등장하는 동탁 수호지에 나오는 채경 등도 만날 수 있다. "시대별로 '대표선수'를 소개하려다 보니 중국사를 어지간히 아는 분들도 못 들어본 인물들이 많아졌네요."
그렇다면 중국 최악의 간신이 궁금했다. 책선 당 현종 때 이임보 남송 흠종 때 진회 명 세종 때 엄숭을 '3대 간상(奸相)'으로 꼽긴 했다. 한 명만 꼽아달라니 그는 뜻밖에 엄숭(嚴嵩)을 든다.
엄숭은 20년 넘게 황제의 총명을 가린 채 은인의 목숨을 뺏고 조정을 쥐락펴락하며 국정을 어지럽혔다. 숫법을 보면 그리 악하지 않은 것 같은데 앞에선 달콤한 말을 하며 등뒤를 찌른 '구밀복검(口蜜腹劍)' 이임보나 개인의 영달을 위해 나라의 기둥을 모해한 매국노 진회보다 더 악하단다.
"엄숭은 당대에 이름을 떨친 지식인이었습니다. 지식인이라면 사회적 책무를 하는 데 이름값을 했어야죠." 그럼 간신의 발호를 막을 방법은 없을까.
그는 "제 책을 보면 청나라 때 간신은 등장하지 않습니다. 물론 탐관오리는 있었겠지만 나라를 뒤흔들만한 '한간(漢奸)'은 없었기 때문이죠. 이는 청나라 황제들이 이전 왕조에 비해 상대적으로 현명하고 자제력이 뛰어났던 덕분이었다고 봅니다"라고 지도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책에서도 "권력자의 자기통제라는 둑이 무너지면 그 둑을 넘어 부패와 비리 간신이라는 바이러스가 사정없이 밀고 들어오고 결국은 나라를 떠받치는 제방 전체가 무너진다"고 지적했다. 단순한 재미를 넘어 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책다운 구절로 읽혔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