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과제물 못해 늘 '헉헉' 거리는 아이…시간을 지배하게 하라

교사 게시물 의존말고
매일 클래스서 적어야

‘잘 시간이 가까워서야 갑자기 책을 펴드는 아이. 알고보니 바로 다음 날이 시험’

‘평소에는 느긋하던 성격이 프로젝트등 학교 과제물 마감을 앞두고는 초조해진다. 단 시간에 많은 일을 해야 한다는 불안감 때문이다.’

혹 자녀가 과제물을 끝내는 데 필요한 시간이나 시험준비에 필요한 기간이 어느정도인지 전혀 가늠하지 못하지는 않는가. 만일 그렇다면 ‘시간 관리능력’이 부족한 탓이다. 시간관리능력은 곧 자신감으로 연결된다. 주어진 24시간을 더 효율적으로 자유롭게 관리하는 법을 아는 학생들은 엄청난 양의 스케줄을 놀라울 정도로 완벽하게 소화한다. 그러면서도 늘 성공적이다. 과제물 마감에 임박해 늘 헉헉거리는 아이로 하여금 시간을 지배하는 아이로 뒤바꿀 수 있는 방법을 알아봤다.

시간관리능력은 우선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 그리고 그 시간동안 해야 할 일들을 정확히 파악한 후 시간을 분배하는 능력을 말한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자신에게 얼마의 시간이 필요한 지 스스로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매일의 습관

대다수의 학교에서는 학생들로 하여금 매일 매일 해야 할 일을 정리할 수 있도록 ‘데일리 플래너’를 유료, 혹은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학생들은 이 플래너에 각 클래스의 과제물, 프로젝트, 준비물 등을 적도로 되어 있지만 실제로 많은 학생들은 방과 후 웹사이트에 게재된 각 교사들의 게시물로 대신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교사가 웹사이트에 올려놓는 게시물에 의존하는 것보다는 매일 매일 클래스에서 적는 습관을 갖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다. 수업에 집중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이때 부모는 데일리 플래너에 한 가지 더 기입하도록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각 과제물에 필요한 시간을 미리 예측하고 방과 후 과제물을 끝내는 순서를 정해두는 것이다. 이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ET(예상 소요시간)
- AT(실제 소요시간)
- O(순서)
- D(완성여부)

각 과제물을 차례로 기입한 후 이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예상시간, 실제 소요시간, 순서, 완성여부를 표시할 수 있는 칸을 만들어두고 매일 매일 체크하는 습관을 갖는 것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주단위 습관

매 일요일 저녁 다음주 할 일을 ‘위클리 스케줄’에 정리하도록 한다. 학교 이벤트, 야구게임, 사이언스 페어, 클래스 퀴즈, 테스트, 리서치 프로젝트 마감 등등

▷월단위 습관

‘이달의 할 일’을 적는 달력 마련. 하루가 지날때마다 지워나가며 그 날을 할 일을 잘 완수했음을 자신에게 보여주면서 성취감을 만끽할 수 있다.

시간 관리 10계명

1. ‘오늘의 할일’ 목록을 작성하자. 가장 중요한 일들을 먼저 기록하여 우선으로 달성하도록 하자. 캘린더식 수첩에 기록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그리고 과제를 완성했을 경우 자신에게 상을 주는 것을 잊지말자.

2. 남는 시간을 현명히 활용하자. 예를 들어 방과 후 집으로 가는 버스안에서 책을 읽을 수 있다.

3. “No”라고 해도 괜찮다. 만약 직장 상사가 목요일 저녁에 일을 해달라고 요구하는데 다음날 아침 학기말 고사를 치뤄야 한다면 상사에게 “노”라고 대답해도 된다. 단기적 및 장기적 우선 순위를 염두해두자.

4. 생산적인 시간을 찾자. 자신이 가장 생산적인 시간이 언제인지 알아두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직 날이 밝은 오후시간에 수학이 더 잘 풀리면 밤 늦게까지 미루지 말아야 한다.

5. 노트를 매일 복습하자. 매일의 복습을 통해 자신이 배운것을 보강하면 나중에 공부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교사의 갑작스런 질문이나 퀴즈에 대비할 수 있다.

6. 불필요한 일로 취침시간을 버리지 말자. 잠이 부족하면 하루가 더 길게 느껴지고 과제가 더 어렵게 느껴진다.

7. 자신의 스케줄을 주위에 알리자. 만약 자주 걸려오는 전화때문에 정신이 흩어진다면 친구들에게 7-8사이에만 전화를 받는다고 알리자. 어리석은 소리같겠지만 도움이 된다.

8. 자기 자신의 감독이 되자. 자신에게 매주 주어지는 자유 시간이 얼마나 되는지 살펴보자. 각 활동마다 할당할 일정한 시간을 정해두고 이에 맞도록 계획표를 세우자.

9. 고민하는데 시간을 낭비하지 말자. 걱정하며 미루기 보다는 바로 행동으로 옮기자.

10. 균형을 지키자. 현실적이지 못한 목표를 세우면 실패를 하게 된다. 자신에게 높은 목표를 세우는 것도 좋지만 정도가 지나치지 않도록 하자. 자신에게 도전을 주지만 노력하면 이룰 수 있는 목표를 세우는 것이 좋겠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