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망 직업 및 커리어 100선] 측량사, 지도제작전문가, 사진 측량사 및 측량기술자-3
Surveyors, Cartographers, Photogrammetrists,and Surveying and Mapping Technicians
대부분의 사람들은 측량학의 교과과정과 광범위한 현장실습을 통해 면허를 취득함으로써 측량사가 되기 위해 준비한다. 그러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4년제 대학학위가 점점 필수조건이 되고 있다. 약 25개 대학에 4년 과정의 측량학 학사과정이 개설되어 있다. 전문대학 및 지역대학 공업학교 그리고 직업학교들이 측량과 측량 과학기술 양쪽 모두에서 1 2 3년 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50개의 주와 미국의 모든 영토(Puerto Rico Guam Marianna Islands Virgin Islands)에서 토지측량사의 면허를 주고 있는데 면허 취득에 대부분의 주 면허 위원회는 주에서 주관하는 필기시험과 The National Council of Examiners for Engineering and Surveying 에서 주관하는 필기시험에 모두 합격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게다가 이들은 교육과 경력 등의 다양한 기준을 충족시켜야 한다.
과거에는 많은 측량사가 측량직원으로 시작해서 공식적인 훈련이 거의 없이 면허를 취득한 측량사의 위치까지 올라갔다. 그러나 과학기술의 진보와 면허 취득기준의 강화로 정규교육 이수를 요구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다. 구체적인 요구조건은 주(州)마다 다르다.
일반적으로 면허를 취득하는데 가장 빠른 방법은 4년 과정의 대학을 졸업하고 4년 정도의 경험(일부 주에서는 요구하지 않는다)을 쌓은 후 면허 시험에 통과하는 방법이다. 점점 많은 주에서 측량학 학사학위나 혹은 측량과 밀접한 분야 예로 토목 공학 혹은 임학(林學)분야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많은 주에서 지속적인 교육을 요구하고 있다.
The American Congress on Surveying and Mapping 기관의 산하조직인 The National Society of Professional Surveyors는 측량기술공을 위한 자발적인 자격증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다. 기술공의 자격은 4단계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각의 경력요구사항에 부합된 자로 필기시험을 통과해야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비록 주면허 취득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승진하는데 있어서 자격증이 요구되기도 한다.
측량사는 대상물 거리 크기 그리고 다른 추상적인 형태를 시각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이들의 실수는 바로 비용과 연결되기 때문에 정밀과 정확도를 가지고 일을 해야 한다. 측량단의 구성원은 실외에서 일을 하고 나쁜 지형에서 장비를 나를 수 있을 정도로 신체가 강인해야 한다.
또한 시력이 좋아야 하며 서로 협력해야 하고 손과 음성 신호로 의사소통을 해야 하기 때문에 청력도 좋아야 한다. 측량은 협력을 요하는 일이므로 대인관계가 좋아야하며 팀의 일원으로 일할 수 있어야 하며 뛰어난 사무적인 기술도 필수적이다. 측량사는 오래된 공적이나 다른 법적서류를 조사하며 관련 업무 보고서를 준비해야 한다.
지도제작전문가와 사진측량사는 대개 공학 임학 지리학 물리학의 학사학위를 소지하고 있다. 지도제작기술자나 사진측량기술공으로서 경험을 쌓은 후 지도제작전문가나 사진측량사로 활동할 수 있으나 현재는 대부분의 지도제작기술자나 사진측량기술공도 전문적인 고등교육을 이수하고 있다. 지리정보시스템(GIS)의 발달로 지도제작전문가 사진측량사는 컴퓨터관련 경험 등의 수준 높은 전문기술과 추가교육을 과거보다 더 많이 받아야 한다.
The American Society for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미국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협회)에서 사진측량사를 위한 자격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자격증 취득을 위해 근무경력 기준요건에 부합되어야 하고 구두나 필기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 2010 Elite Educational Inc. www.ElitePrep.com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