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7피트 장벽으로 무임승차 차단…LA메트로 '하이게이트' 설치중

LA 메트로가 무임승차 근절을 위해 주요 지하철역에 개찰구를 강화하고 있다.   22일 KTLA에 따르면 메트로는 7가와 메트로센터역, 윌셔와 버몬트역 등 한인타운 인근을 포함한 21개 역에 신형 모델인 ‘하이게이트(High Gates)’를 설치 중이라고 밝혔다. 사우스 LA의 파이어스톤, 패서디나 지역 레이크 등 일부 역은 이미 설치를 마치고 시범 운영에 들어갔으며, 나머지 역도 순차적으로 설치가 완료될 예정이다.   신형 개찰구는 높이가 약 7피트다. 기존 개찰구보다 두 배 이상 높다. 또한 꼬리물기나 뛰어넘기 등 무임승차를 정밀 감지하며, 전자식 잠금장치와 비상 경고등, 외부 보안 시스템 연동 기능도 갖췄다.   메트로 측은 향후 수개월 내 ▶7가/메트로센터(B·D·A·E선) ▶퍼싱스퀘어(B·D선) ▶웨스트레이크/맥아더파크(B·D선) ▶노스할리우드(B선) ▶윌셔/버몬트(B·D선) ▶버몬트/산타모니카(B선) ▶할리우드/웨스턴(D선) ▶윌로브룩/로사파크(A·C선) 등 8개 역에 하이게이트가 추가 설치된다고 전했다.   메트로 측 한 관계자는 “역 디자인 개선과 보안 강화가 함께 이뤄지는 조치”라며 “요금 부정 행위 감소는 물론, 이용객 안전도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치의 배경엔 급증하는 지하철 범죄도 있다는 뜻이다. 지난해 메트로 전철 무단 침입 건수는 4532건으로 2020년 대비 53배 늘었다.〈본지 4월 21일자 A-3면〉. 또한 마약, 무기 소지, 폭행 등도 함께 증가했다. 지난해 8월 기준, 승객 100만 명당 약 36건의 범죄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도 동월 대비 800% 이상 폭증한 수치다. 강한길 기자무임승차 la메트로 무임승차 근절 신형 개찰구 la 메트로 지하철 개표구 강한길 미주중앙일보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미국 LA뉴스 LA중앙일보 전철

2025-04-22

MTA, 무임승차 방지 위한 새로운 슬리브 장치 설치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가 무임승차 방지 강화를 위해 새로운 방법을 시도했다.     개찰구 위에 반달 모양의 슬리브(sleeve) 장치를 설치해, 개찰구 위를 뛰어 넘어가는 방식의 무임승차를 어렵게 만들겠다는 전략이다.     MTA는 4·5·6번 전철이 운행되는 맨해튼 브루클린브리지-시청역 플랫폼에 이 장치를 설치해 2주 동안 시범 운영할 예정이다.     앞서 MTA는 지난달 일부 전철역에 개찰구 양쪽에 상단이 뾰족한 모양의 금속 난간을 설치하기도 했다. 개찰구 양쪽에 손을 짚고 뛰어 넘어가는 방식의 무임승차를 방지하기 위해서다.     또 다른 역에는 무임승차를 막기 위해 비무장 경비원이 배치되기도 했다.     이처럼 무임승차 방지를 위한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나, MTA는 “언제 모든 역에 새로운 게이트를 설치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다”고 밝혔다.     MTA에 따르면 전철 시스템에서 무임승차로 인한 손실이 연간 약 2억8500만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새로운 무임승차 방지 장치에 대해 매일 전철을 이용하는 한인 이 모 씨는 “새로운 시도를 하는 것은 좋지만, 저 정도로는 무임승차를 절대 막을 수 없을 것 같다”고 지적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무임승차 슬리브 슬리브 장치 무임승차 방지 개찰구 양쪽

2025-02-13

MTA, 무임승차 막기 위해 새 개찰구 설치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가 연간 6억9000만 달러 규모의 손해를 입히는 것으로 추산되는 무임승차를 막기 위한 방책을 내놨다.   5일 MTA는 퀸즈 자메이카의 서핀불러바드-아처애비뉴-JFK공항역에 새 디자인의 개찰구를 설치했다고 밝혔다.   양문 형태로 열리는 이 개찰구는 아래도 막혀 있어 넘어가거나 밑으로 기어갈 수 없게 디자인됐다.   앞서 MTA는 지난 6월에도 개찰구 위를 뛰어 넘어가거나 아래로 기어가는 부정승차자들을 막기 위해 보안요원을 두는 방안 등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번에 새로 마련된 개찰구는 보안요원이 없어도 사람이 뛰어넘어가기 어려운 구조다.   양문 형태 개찰구는 카드를 찍고 들어가면 양쪽으로 활짝 열려 짐을 끌고 가기에도 무리가 없다. 역이 JFK공항과 연결된 탓에 신경쓴 디자인이이라고 MTA 측은 밝혔다.   새 개찰구에는 터치형 결제시스템 옴니(OMNY), 메트로카드 모두 이용할 수 있다.   공사는 이르면 다음주 안으로 70만 달러를 들여 맨해튼 33스트리트 8애비뉴에 있는 중앙우체국 건너편 펜스테이션에도 새 개찰구를 설치한다.   재노 리버 MTA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소방당국이 역 내 비상 창구의 재단장 필요성에도 공감해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MTA는 지난 상반기부터 비상 창구에 손을 넣어 문을 열고 넘어가는 이들을 단속하고, 공사의 비용적 손해를 줄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강민혜 기자 [email protected]무임승차 개찰구 개찰구 설치 양문 형태 비상 창구

2023-12-05

MTA, 전철 개찰구 바꿔 무임승차 막는다

심각한 재정난을 겪고 있는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가 재정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18일 고다미스트(Gothamist) 등에 따르면, MTA는 전날 회의에서 전철 무임승차 등 각종 요금 회피(fare evasion) 행위를 막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대표적으로 거론된 해결책은 전철역 개찰구를 개조, 무임승차를 전면 차단하는 방식이다. 현재 전철역 개찰구는 손으로 직접 밀고 나가는 방식인데, 이를 반대쪽으로 당기면 절반 정도 역회전한다. 이 공간을 활용한 ‘백코킹’(back-cocking) 무임승차를 막기 위해 아예 개찰구 디자인을 바꾸겠다는 설명이다.     이미 올해 들어 MTA는 시범적으로 개찰구 26개를 정비했고, 궁극적으로는 뉴욕시 전체 472개역 개찰구 모두 디자인을 바꾸겠다는 목표다. 비용은 18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MTA 무임승차로 인한 손실은 6억 9000만 달러에 달하며, 백코킹 무임승차 손실은 4560만 달러 규모인 만큼 비용을 들여 개찰구를 교체해도 이득이라는 설명이다.     MTA가 추진 중인 뉴욕시 교통혼잡료 프로그램 역시 재정문제 때문이다. 맨해튼 60스트리트 남쪽으로 진입하는 차량에 최대 23달러를 부과하는 정책인데, MTA는 이 수입을 뉴욕시 전철과 버스 등 대중교통 개선에 쓰겠다고 밝히고 있다.   MTA는 19일 오후 4시부터 공개 이사회를 열고, 교통혼잡료 부과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유투브 생중계(https://youtube.com/live/Zpz41Ku4hxY)로 공개되기 때문에, 많은 이들이 관심을 갖고 지켜볼 것으로 예상된다. 이사회에서는 전철·버스요금 인상안에 대해 투표할 가능성도 있다.     한편 MTA는 교통혼잡료와 요금인상에 대한 반발을 의식한 듯, 이날 대중교통 고객 만족도가 크게 높아졌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전철 중엔 7번 노선 만족도가 3위 수준으로 높았다. 오는 9월 24일부터 운행하는 5개 무료 버스노선(Q4·M116·Bx18·B60·S46·S96), 전철역 개선작업도 예고했다. 퀸즈보로플라자역은 대대적인 리노베이션 공사로 7월 31일부터 8월 14일까지 2주간 맨해튼행 전철이 우회하게 된다. MTA는 맨해튼행 승객은 이 기간 동안 E·M·R노선 이용을 권장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무임승차 개찰구 전철역 개찰구 전철 무임승차 백코킹 무임승차

2023-07-1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