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신분 도용·우편 절도로 62명 피해…180만불 탈취

우편물 절도와 신분 도용, 은행 사기로 총 180만 달러 이상을 훔친 남성이 연방 감옥에서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연방 검찰에 따르면, 노스힐스 거주자 오렌 데이비드 셀라(36)는 2021년 11월부터 2023년 10월까지 비버리힐스를 포함한 로스앤젤레스 일대 주택을 돌며 우편물과 택배를 훔쳤다. 그는 이 과정에서 얻은 개인 정보를 바탕으로 수십 개의 가짜 은행 계좌를 개설해 금전을 빼돌렸다.   셀라는 피해자들의 사회보장번호, 은행 계좌번호, 주소 등 정보를 이용해 온라인 금융 계정에 접근했다. 이 과정에서 'SIM 스와핑'(피해자의 휴대전화 번호를 해커의 SIM 카드로 이전해 이중 인증을 우회하는 수법)도 활용했다.   연방 수사관에 따르면 그는 이같은 수법으로 중간 계좌를 개설해 자금을 옮기고, 피해자 명의로 발급된 직불·신용카드를 통해 직접 소비하거나 추가 이체를 시도했다.   셀라는 이 과정을 통해 최소 62명의 피해자로부터 총 181만 8,369달러를 탈취했으며, 이 중 일부는 1만7,000달러 상당의 고급 시계를 구입하는 데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는 2022년에도 같은 혐의로 체포돼 현금 2만5,000달러, 고급 보석류, 4명의 고령 피해자 명의의 위조 카드 등을 소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후에도 두 차례의 수색을 통해 경찰은 7만 달러 이상의 현금, 도난 우편물, 신분증, 금융정보, 고가 보석 등을 추가로 발견했다.   셀라는 2024년 10월 은행 사기 및 신분 도용 혐의에 대해 유죄를 인정했으며, 2025년 4월 22일 징역 61개월형과 함께 181만 8,369달러의 배상 명령을 받았다.     AI 생성 기사절도로 신분 신분 도용 신분증 금융정보 우편 절도로

2025-04-23

“공관은 전화로 개인정보나 금융정보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최근 발신 번호(972-701-0180~2)를 조작해 주달라스영사출장소(소장 도광헌, 이하 출장소)를 사칭하는 금융사기 보이스피싱(또는 이메일 피싱) 범죄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돼 한인들의 주의가 요망되고 있다. 출장소는 보도자료를 통해 발신 번호를 972-701-0180~2로 조작해 ‘영사관’을 사칭해 한인들을 대상으로 금융사기를 벌이는 범죄 행위가 발생하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주미한국대사관 및 타 총영사관, 출장소, 대한민국 경찰, 검찰 등은 텔레그램을 사용하지 않으며, 절대 개인정보, 금융정보를 요구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한 예로 대사관 또는 영사관 직원을 사칭해 한국 대검찰청, 금융감독원, 경찰청 또는 법무부로부터 전화 수신인에게 전달할 사항이 있는 것처럼 속이는 행위, 전화 수신인에게 범죄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며 가짜 사이트에 접속하도록 유도해 개인 정보를 확보하고 송금을 유도하는 행위 등 현재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범죄 수법이 진화 중이다. 이 같은 범죄는 비단 달라스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미주중앙일보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로스앤젤레스 등 타 지역에서도 한국 사법기관을 사칭한 보이스피싱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도에 따르면 로스앤젤레스에 거주하는 직장인 A(60대)씨는 최근 주미한국대사관 번호(202-939-5663, 202-939-5600)로 걸려 온 전화를 받았다. 상대방은 자신을 대사관 소속 사건·사고팀 박성준 사무관이라며 한국 법원에서 A 씨의 구속영장이 발부됐다며 겁을 줬다. A 씨에 따르면 박 사무관이라는 인물은 구속영장 내용을 확인하라며 웹사이트 링크까지 알려줬다.  A 씨는 “알려준 링크로 접속했더니 법무부 형사사법포털이라는 사이트로 연결됐고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니 내 이름이 피고인으로 된 서울중앙지방법원 명의의 구속영장이 나왔다”며 “구속영장에는 마약 거래 위반, 여권판매 및 대여, 전자금융거래 위반 혐의가 명시돼 있었다”고 전했다. 하지만 박성준 사무관이라고 자신을 소개한 인물은 사기꾼이라고 이 매체는 전했다. 전화를 받는 순간 너무 당황해 속을 뻔했다는 A 씨는 “더구나 접속한 웹사이트도 한국 정부 웹사이트와 거의 똑같았다”고 전했다. 이어 A 씨는 “그런데 혐의가 너무 황당해 전화를 끊고 LA총영사관에 문의했더니 사기라고 알려줬다”며 가슴을 쓸어내렸다고 한다.   사기범은 A 씨에게 가짜 웹사이트 링크(im.bdata923.com) 클릭을 유도하며 전화로 상황의 심각성을 계속 강조했다고 한다고 한다. 보도에 따르면 주미한국대사관은 지난해 12월부터 하루 평균 3~4건씩 보이스피싱 관련 민원 전화 접수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피해자 가운데는 사기꾼에게 속아 6만 달러 넘게 송금한 경우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주미한국대사관의 김봉주 해외안전담당 영사는 미주중앙일보 전화 인터뷰를 통해 “민원전화 대부분이 사기꾼이 말한 이름의 직원이 실제 근무하는지 묻는 전화였다”며 “검찰을 사칭해 마약 및 사건·사고 연루를 빌미로 보이스피싱을 시도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김 영사는 “공공기관은 전화나 온라인으로 직접 개인정보 등을 확인하거나 요구하지 않는다”며 “이런 전화는 반드시 보이스피싱을 의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출장소는 한국 뿐 아니라 미국 공공기관 등에서는 전화 및 온라인으로 직접 개인 정보 등을 확인하거나 요구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전화를 받는 한인들은 당황하지 말고 이러한 요구에 절대 응하지 말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보이스피싱의 피해를 당한 경우 신속히 거주지 관할 경찰서 또는 미연방통신위원회(FCC)에 신고를 해야 하며, 피해사실을 주변 지인들에게 적극적으로 알려 추가 피해 예방에 협조할 것을 출장소는 당부했다. 미연방 통신위원회 웹사이트는 fcc.gov/general/public-safety-support-center이며 출장소 연락처는 전화 972.701.0180 또는 이메일 [email protected]이다.                       〈토니 채 기자〉  개인정보 금융정보 전화 수신인 행위 전화 최근 주미한국대사관

2025-02-2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