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유동성 자산 많으면 유상보조 상승…SAI 낮추기 위한 사전 전략 세워야

재정보조는 단순히 신청하고 기다리는 게 아니라, 사전 설계와 준비, 신청 후 진행, 지원금 평가와 어필, 그리고 마지막 마무리 작업까지 철저히 준비해야 제대로 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특히, 미국식 사고방식에 맞게 합리적이고 체계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재정보조 신청서를 제출하기 전, 신청서에 기재하는 정보는 지원금 평가를 위한 핵심 데이터다. 따라서 이 정보를 신중히 정제하고 학생보조지수(Student Aid Index: SAI) 금액을 낮출 수 있도록 미리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재정보조 과정에서 가장 핵심적인 단계다. 이번 칼럼에서는 이를 위한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예를 들어, 한 가정의 연간 소득은 적지만 부모가 주식에 10만 달러 이상을 투자하고 있다고 가정해보자. 대학이 이 가정의 소득과 자산에 따라 SAI 금액을 낮게 계산하더라도, 재정보조 담당관 입장에서는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다. 예컨대, 연간 학비가 4만2000달러인 주립대학에 지원하는 상황에서 부모가 10만 달러 이상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데 왜 재정보조가 필요한지에 대한 의구심이 생길 것이다. 이처럼 재정보조는 담당관의 편견이나 판단에 따라 지원금이 달라지기도 한다.   특히, 부동산과 같은 비유동 자산의 경우 SAI 금액이 약 5600달러 정도 증가할 수 있지만, 주식처럼 쉽게 현금화할 수 있는 유동 자산은 더 불리하게 작용한다. 재정보조 사무실은 유동 자산이 많을 경우 평균적인 지원 비율보다 낮은 수준으로 그랜트나 장학금 같은 무상 보조금을 줄이거나, 유상 보조금(융자금) 비율을 높이는 방식으로 재정보조를 제안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학비는 세후(after-tax) 금액으로 지출된다는 점도 중요하다. 세율이 25%인 가정에서 1달러를 지출하려면 실제로 1달러25센트를 벌어야 한다. 만약 SAI 금액이 1만 달러 증가한다고 가정하면, 학부모는 1만 달러를 추가로 지출해야 할 뿐만 아니라, 대학의 재정보조 비율이 75%인 경우 7500달러의 지원금도 받지 못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총 1만7500달러의 손실이 발생한다. 이러한 손실을 메우기 위해 10만 달러의 주식에서 약 2만3300달러의 수익을 창출해야 하며, 이는 약 23% 이상의 투자 수익률을 요구하는 셈이다. 결국, 이러한 구조는 학부모에게 큰 재정적 부담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주식 같은 유동 자산을 재정보조 계산에 불리하게 반영되지 않는 계좌 등으로 재배치하면, SAI 금액의 증가를 막고 재정보조 담당관의 편견도 피할 수 있다. 이러한 사전 대비는 1만 달러의 지출을 막을 뿐만 아니라, 추가로 7500달러의 재정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재정보조 공식에 따른 자산 설계와 대비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이번 칼럼에서는 주식을 예로 들어 재정보조 계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SAI 금액을 낮출 수 있는 방법을 설명했다. 누구나 재정보조를 잘 받을 기회를 가질 수 있지만, 이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준비하고 적절한 시점에 대응하느냐에 따라 자녀의 대학 선택과 미래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은퇴계좌(IRA), 로스(Roth) IRA, 401(k), 403(b), TSP 등 은퇴를 목적으로 세금 공제를 받으며 적립하는 연금 계좌가 있다. 하지만 어뉴이티(Annuity)를 제외한 대부분의 계좌에 적립하는 금액은 비과세 소득(Untaxed Income)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오히려 SAI 금액을 높게 산정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는 세금을 낸 후의 금액만큼 SAI 금액이 추가로 증가하기 때문이다. 또한, 어뉴이티 계좌가 아닌 일반 브로커리지(Brokerage) 계좌에 자산이 있는 경우, 언제든지 현금화할 수 있다는 점이 반영되어 재정보조 계산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세금 문제와 재정보조 계산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자산 설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앞으로도 다양한 자산 관리 방안과 SAI 금액을 효과적으로 낮추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다룬 칼럼을 통해 추가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문의:(301)219-3719     [email protected]  리처드 명 대표 / AGM인스티튜트튜트유상보조 유동성 재정보조 신청서 재정보조 계산 재정보조 담당관

2025-02-02

Welth Transfer를 통한 재정보조 극대화 방안 [ASK미국 교육-리차드 명 대표]

재정보조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은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데, 첫째로 재정보조의 사전 설계가 없는 극대화는 있을 수 없다는 사실이다. 재정보조신청서를 제출하는 것보다 신청서에 기재된 내용이 더 중요하다. 이는 대학 진학 시 입학원서의 기재 내용으로 합격 여부가 결정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단순히 마감일에 맞춰 잘 제출했다고 해서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입학 사정에 대한 준비와는 달리 재정보조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동시에 고려해야 할 사안이 많다. 다시 말하면, 자녀에게 알맞은 대학들 중에서 재정보조 지원을 잘해주는 대학들을 선별해 지원해야 하며, 재정보조신청에 앞서 제출 내용을 사전 설계에 맞춰 재정보조 공식을 참고해 조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재정보조 내역서를 받기 위해 각 대학마다 어떻게 Follow Up을 잘할 것인지, 재정보조 내역서를 검증해 대학에서 지원하는 재정보조 수위가 가정의 형편성에 타당한지 등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사항 외에도 여러 가지를 더 검토해야 한다.   가장 기본적으로 수입 부문에서는, 단순히 월급을 받아 생활하는 가정이 직장이나 정부에서 마련한 은퇴 플랜(예: 401(k), TSP 등)을 활용할 때, 그 플랜의 소유자는 플랜 자체이며 개인은 수혜자에 해당한다. 따라서 플랜의 잔고는 재정보조 계산에 적용되지 않는다. 하지만 세금에서 공제하며 적립하는 금액은 SAI 금액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는 세금 공제 혜택을 받으면서 개인연금을 적립해, 세금 공제를 받지 못한 가정과 동일하게 재정보조를 받으려는 의도를 연방정부가 좋게 보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불입을 지연시키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쉽게 현금화할 수 있는 계좌나 투자 자산을 계산되지 않는 자산으로 재배치하는 것도 SAI 금액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다. 문제는 재정보조 담당관의 재량에 달려 있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어느 가정에 10만 달러의 CD가 있다고 가정하면, 계산상으로 SAI 금액은 가족 수나 환경 조건에 따라 최소 3천~4천 달러 정도 증가할 것이다. 하지만 담당관의 입장에서 9만 달러가 소요되는 대학 비용에 10만 달러의 자산을 가진 가정이 재정보조를 필요로 할지 의문을 가질 수 있다. 이는 Financial Need가 없다는 의미로, 재정보조 지원이 잘 나오기 어려운 상황이 될 수 있다.   이처럼 수입과 자산을 사전 설계하는 방식 중 하나로 Wealth Transfer라는 방식이 있다. 이는 SAI 금액에 계산되지 않는 자산 설계 방식으로, 데이터와 타이밍 설정에 따라 재정보조를 극대화하면서 가정의 재정적 안정성을 높이고 세금 및 재정 부담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설계는 가정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단정적으로 설명하기 어렵다.   따라서, 재정보조의 성공이 자녀의 미래와 직결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사전 설계에 최선을 다하는 것이 보다 나은 재정보조 극대화를 위한 최선의 길이다. 앞으로 이어지는 지면에서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방법들을 조금씩 소개해 나갈 것이다.     ▶문의: (301)219-3719 / [email protected]미국 transfer 재정보조 지원 재정보조 내역서 재정보조 담당관

2025-01-22

한인, 시청 부패 감시자 발탁…시장실 사상 첫 윤리담당관

LA시장실이 연방 검사 출신 한인 보좌관을 윤리 담당관으로 선임하고 시청 내 직원들의 윤리 규정 준수 강화 작업에 나선다.   캐런 배스 시장은 30일 보도자료를 통해 시청 직원 전체에 대해 공직 윤리 교육을 강화하고 동시에 부정부패를 방지하는 노력을 확대할 것이라고 밝히고 루스 권(Ruth Kwon·사진) 전 연방 검사를 윤리 담당관(Ethics Officer)으로 인선했다고 밝혔다. 공직 선거를 중심으로 감찰권을 가진 시 윤리위원회와 별개로 시장실에 부정부패 방지를 위한 담당관 직책을 만든 것은 LA시 역사상 처음이다. 이번 조치는 시정 2년 차에 접어드는 배스 시장이 혹시 모르는 권력 누수를 사전에 방지하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예일대와 UC버클리 법대 출신인 권 담당관은 가주 연방지검 검사로 일하다 2017년 LA시 검사로 자리를 옮겼으며 배스 시장 취임 이후 올해 4월부터 법률 자문역으로 일해왔다. 권씨는 법대 졸업후 로펌 ‘오릭, 헤링턴 & 서트클리프’에서 6년 동안 일한 경력을 갖고 있다.   권 담당관은 시청 행정부서뿐만 아니라 커미셔너와 무보수 직책에 대해서도 감시 활동을 펼치게 되며 시 윤리위원회와도 긴밀하게 공조한다는 방침이다.   배스 시장은 “우리는 반드시 시민들로부터 신뢰를 회복해야 하며, 시민들을 위해 일하는 시청이 되어야 한다”며 “이번 개혁 조치들은 이런 목표들을 위해 좋은 출발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장실은 이날 배포한 자료를 통해 ‘LA 시장 기금(Mayor’s Fund of Los Angeles)'과 '게티 하우스 재단(Getty House Foundation)'의 자선 기부 기준을 더 엄격히 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두 재단은 시민들에게 시장의 이름이 걸린 상징적인 조직으로 시장 자신부터 선명한 관리 감독을 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시청은 동시에 분기별 윤리 교육을 강화할 것이며 시장의 서명이 들어가는 각종 지원과 지지 서명도 엄격하게 관리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시 관리가 외부 기관에 재정 지원을 요청할 경우 반드시 비서실장의 사전 승인을 받도록 했다. 한편 이번 윤리 강화조치에 발맞춰 전체 시청 직원은 윤리 강령 준수 각서에 서명할 예정이다.   최인성 기자 [email protected]윤리담당관 감시자 시청 직원 시청 행정부 윤리 담당관

2023-11-3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