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EPA “드라이클리닝 사용 발암성 화학물질 금지”

연방정부가 발암성 화학물질로 분류되는 트리클로로에틸렌(TCE)과 퍼클로로에틸렌(PCE, Perc·이하 퍼크) 사용을 금지하기로 했다.     연방환경보호청(EPA)은 9일 보도자료를 통해 "독성물질관리법(TSCA) 개정안에 따라 TCE와 퍼크 사용금지 관련 규칙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금지된 두 화학물질은 세척이나 윤활, 접착, 드라이클리닝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는 물질이다.   TCE는 림프종과 간암, 신장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중추신경계나 면역체계, 생식 기관에도 손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으로 TCE 사용은 대부분 1년 내에 모든 용도에서 전면 금지될 예정이다.     다만 EPA의 엄격한 근로자 보호 규정을 따를 수 있는 산업에선 예외적으로 허용될 수도 있다. 항공기나 의료기기 세척, 배터리 분리막, 냉매 제조 등이 대표적 산업이다.     드라이클리닝에 사용되는 퍼크 역시 간·신장·뇌 등에 문제를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 최종 규칙에 따르면 EPA는 향후 10년간 드라이클리닝에서의 퍼크 사용을 단계적으로 폐지하는 방안을 확정했다. 당장 6개월 뒤부터는 신규 드라이클리닝 기계에서 PCE를 사용하는 것도 금지된다. 드라이클리닝이 아닌 타 분야에서의 퍼크 사용은 3년 내에 전면 금지할 예정이다.     전국 세탁업 종사자들은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이미 뉴욕주에서는 퍼크 사용 규제가 단계적으로 추진되고 있어 한인 업체들이 대비를 마친 상황이지만, 갈수록 규제만 강화할 뿐 대안이나 구제 방안은 마련해주지 않는다는 것이 문제라는 설명이다. 김순규 뉴욕한인세탁협회 회장은 "규제가 있을 땐 대안이나 지원책도 함께 있어야 한다"며 "팬데믹에도 필수 업종으로 분류돼 손해를 보면서 영업을 했는데, 영업을 했다는 이유로 세탁업에 대한 지원은 전혀 없었을뿐더러 규제는 갈수록 강화하고 있다"고 전했다.   EPA는 몇 달 내에 TCE와 퍼크 금지 세부사항을 발표할 예정이다. 관련 웨비나도 내년 1월 15일 12시30분(동부시간) 개최된다. 등록은 웹사이트(us02web.zoom.us/webinar/register/WN_t0zKT4RwS-Sz_j6WDcpExg#/registration)에서 할 수 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드라이클리닝 화학물질 드라이클리닝 사용 화학물질 금지 사용금지 관련

2024-12-09

유가·인건비 뛰니 세탁비도 올라

# 팬데믹 이후 3년 만에 드라이클리닝을 맡긴 최지호(39)씨. 수트 한 벌과 셔츠에 총 24달러를 지불했다. 팬데믹 이전 19달러에서 30%나 올랐다.       # 이수아씨는 친구 결혼식에서 입은 드레스 드라이클리닝에 18~20달러 정도 예상했지만 26달러를 지불했다. 친구의 웨딩드레스는 거의 100달러였다.       팬데믹으로 매출이 감소하며 경영 위기를 맞고 있는 세탁 업계가 서비스 가격을 인상하고 있다. LA한인타운 드라이클리닝 비용은 수트 15~40달러, 셔츠 4~6.50달러, 드레스 23~38달러 선으로 팬데믹 이전보다 평균 8% 정도 상승했다.   지난 5월 기준 전국 세탁 및 드라이클리닝 서비스 가격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0.1% 상승해 같은 기간 소비자 물가상승률 8.6%를 앞질렀다.   한인 세탁업계에 따르면 비닐, 화학 세제, 스팀다리미, 옷걸이 및 천연 개스 등 유틸리티의 가격뿐만 아니라 인건비도 계속 상승하고 있다.   폴리백 1롤은 40달러에서 60달러로 올랐고 한 달에 한 번 정도 자주 교체해야 하는 휴대용 스팀다리미는 280달러에서 380달러로 인상됐다.     물류대란으로 옷걸이가 부족해지면서 옷걸이 가격이 2020년 초 박스당 약 40달러에서 현재 약 80달러로 2배나 상승했다.   세탁소 업주들이 직면하고 있는 가장 큰 압력은 에너지와 인건비 상승이다.     한 대형 세탁체인 업체는 직원 수가 150명에서 105명으로 줄었지만, 지난해보다 직원 급여에 30만 달러를 더 지출했다.     세탁소 운영 비용도 더 비싸졌다. 기계에 전력을 공급하는 데 사용하는 천연 개스 가격이 지난 18개월 동안 52% 올랐다.     6000명 회원이 있는 세탁연구소(Dry Cleaning & Laundry Institute)에 따르면 운영비가 치솟고 매출이 줄고 코로나 19팬데믹으로 재택근무가 증가하면서 전국 세탁소의 30%가 문을 닫았다.     업계 관계자는 “팬데믹 이전에도 캐주얼 오피스룩과 애슬레저 인기가 높아지면서 이미 세탁업계가 어려움을 겪었다”며 “팬데믹으로 경영위기가 가속화되었다”고 말했다.     세탁연구소 매리 스칼코 대표는 “드라이클리닝 가격 인상 없이 운영 자체가 힘들다”며 “높아진 운영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고 말했다.     오클라호마 털사에 있는 예일 클리너는 2020년 3월 매출의 90%가 감소했다. 올해부터 매출이 나아졌지만 11개 체인점은 현재 팬데믹이전보다 20% 낮다. 팬데믹 이후 5%, 8% 두 차례 가격 인상에 이어 세 번째 인상을 고려하고 있다.   일부 사업주는 전통적인 드라이클리닝에 대한 수요 감소 등 경영위기를 벗어나기 위해 픽업 및 배송 및 기타 서비스를 확장했다.   LA 한인타운샤토 클리너는 고급 신발 세탁서비스를 추가했다.     한 김 대표는 “신발세탁 서비스가 매출의 18%를 차지한다”며 “명품 신발 세탁비용은 25~45달러 정도로 점점 매출이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은영 기자인건비 세탁비 드라이클리닝 서비스 la한인타운 드라이클리닝 드레스 드라이클리닝

2022-07-0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