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잊혀진 4·29…기념행사 하나 없다

1992년의 오늘, LA는 폭풍 전야였다. 누적된 갈등과 분노는 결국 다음 날인 4월 29일, 광기로 변해 삽시간에 한인타운을 집어삼켰다.   ‘4·29’가 잊히고 있다. LA 폭동 33주년을 앞두고 잠잠한 분위기가 이를 방증한다.   매년 이맘때면 4·29의 의미를 기리는 행사가 한인 사회 및 LA 곳곳에서 진행됐지만, 올해는 소규모 모임조차 찾아볼 수가 없다.   우선 LA시는 올해 간단한 성명 몇 줄만 발표할 예정이다. 캐런 배스 LA 시장은 지난해에도 별도 행사 없이 간단한 성명만 발표했었다.   김지은 LA 시장실 공보 보좌관은 “행사를 개최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확인이 필요하지만, 산불 재건 등 바쁜 시정 일정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LA 한인회(회장 로버트 안)도 일부 지역 정치인들과 함께 발표하는 성명 외에는 별다른 프로그램을 마련하지 않았다.   제프 이 한인회 사무국장은 “산불과 한국 조기 대선 준비 등으로 일정이 많았다”며 “흑인 커뮤니티와 공동 기념행사를 추진하려 했지만, 단체들 사정상 무산된 것도 있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한인타운 청소년회관(KYCC)을 비롯한 대부분의 한인 단체들에서도 올해 4·29 관련 행사는 전무하다. 정치인들을 비롯해 한때 저마다 단체명을 내세우며 LA 폭동이 담아내고 있던 의미를 선점하려 했던 모습과는 사뭇 달라진 분위기다.   4·29 이후 정기적으로 흑인 교계와 예배, 세미나 등을 통해 교류하던 한인 교계도 이제는 그런 모습을 찾아볼 수가 없다.   미주성시화운동본부 송정명 목사는 “LA 한인 폭동을 경험했던 1세대 목회자들이 이제 세상을 많이 떠났고, 한인 교계도 세대가 변했다”며 “아무래도 젊은 목회자들은 4·29와 같은 역사에 관심이 덜하다 보니 자연스레 흑인 교계와 갖던 교류도 이제는 아예 없어지고, 그 의미도 희석됐다”고 말했다.   4·29의 역사와 의미 등을 다음 세대에게 전달하려는 의지도 과거에 비하면 많이 약해졌다. 역사 교육의 구심점 역할을 할 만한 단체도 없다 보니 간간이 이벤트성 프로그램만 진행되는 실정이다.   한인 2세들의 봉사 단체인 화랑청소년재단(총재 박윤숙)은 오는 6월 진행되는 리더십 프로그램에서 LA 한인 폭동 이야기를 한 부분으로 다룰 예정이다.   박윤숙 총재는 “매년 4·29 시즌이 되면 관련 행사들을 진행했는데, 올해는 일정상 어렵게 됐다”며 “다른 단체들도 아마 상황이 마찬가지겠지만, 4·29가 점점 사람들의 관심 밖의 이슈가 되고 있는 것 같아 아쉬운 마음은 있다”고 전했다.   LA 폭동이 발생한 지 수십 년의 세월이 지났고, 그때를 경험했던 세대는 저물고 있다.   4·29 LA 기념재단도 한때 명맥을 유지하다 지금은 없어졌다.   이 재단에서 활동했던 제니 이(70대) 씨는 “당시 피해를 입었던 한인들은 이제 대부분 시니어가 되어 거동이 불편하거나 병원 신세를 지는 경우도 많다”며 “한인 사회가 4·29의 아픈 역사를 잊고, 그 시대를 지나온 이들이 외면당하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김경준 기자행사 흔적 한인 사회 한인회 사무국장 공동 기념행사

2025-04-27

“한인 산불 피해자 재기 돕자”…LA 한인회 성금 모금 나서

LA 인근에서 잇따라 발생한 대형 산불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인 피해자를 돕기 위한 성금 모금이 시작됐다.   LA한인회(회장 로버트 안)는 산불 피해 성금 모금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22일 밝혔다.   제프 이 LA한인회 사무국장은 “버지니아, 시애틀, 시카고, 뉴저지, 심지어 한국에서도 피해자들을 돕고 싶다는 문의 전화가 많았다”며 “또 여러 곳에서 피해 한인들을 알려주고 있어 한인회 차원에서 이들을 돕기 위한 공식 성금 모금 창구를 개설한 것”이라고 말했다.   LA한인회 측은 성금을 보내려면 체크 지불 대상(pay to the order of)에 ‘Korean American Federation of Los Angeles’를 기재하고, LA한인회 사무국 주소(981 S. Western Ave #100, LA, CA 90006)로 보내면 된다고 전했다. 또 체크와 함께 반드시 발송자의 연락처를 기재해 달라고 한인회는 당부했다.   이 사무국장은 “성금은 세금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며 “모금 캠페인 전부터 여러 한인이 십시일반 보내준 성금도 벌써 약 3000달러에 이른다”고 전했다.   이미 LA한인회에 성금을 보내려는 단체와 기관들도 많다.     LA와 오렌지카운티에 약 250명의 회원이 있는 ‘품격 있는 사람들의 모임’이라는 단체는 이미 산불 피해자 돕기 성금 모금을 시작했다. 이 모임의 한 운영진은 “현재까지 회원들이 모은 금액이 4050달러 정도 된다”며 “모금이 마무리되는 대로 LA한인회 측에 전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원불교 LA교당의 양은성 교무는 “현재 미주 지역 각 교당에서 성금을 모아 LA교당 쪽으로 보내올 계획”이라며 “성금이 모이면 2월 초 정도에 LA한인회에 전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LA한인회는 그동안 카혼 패스 산불, 팬데믹 구호 기금, 우크라이나 전쟁 동포 돕기, 시리아 지진 피해 등 다양한 성금 캠페인을 진행해 왔다.   LA한인회 측은 성금 모금과 함께 피해자 지원을 위한 세부적인 사항도 마련 중이다.   이 사무국장은 “공정한 지원을 위해 피해 산정 방법과 지원 조건인 피해 기준 등을 곧 마련해 확정되는 대로 공지할 것”이라며 “이번 산불 피해 성금도 단 1달러도 준비 과정에서 경비로 사용하지 않고 100% 피해자들에게 전달할 것이며, 성금 모금 상황은 매일 한인회 웹사이트에 투명하게 공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성금 관련 문의:(323)732-0700, (213)999-4932 장열 기자ㆍ[email protected]한인회 완료 la한인회 사무국장 성금 모금 성금 캠페인

2025-01-21

한미시니어센터 ‘가정의 달 효 잔치’…5월 11일 풀러턴 헌트 도서관

OC한미시니어센터(이하 센터, 회장 김가등)가 ‘가정의 달 효 잔치’를 연다.   센터 이사회는 지난 15일 가든그로브의 시니어회관에서 임시 회의를 열어 올해부터 기존 추석 대잔치에 더해 가정의 달 효 잔치와 OC 한인 시니어의 날 기념 행사를 새롭게 선보이기로 의결했다. 효 잔치는 오는 5월 11일(토) 오후 2~5시 풀러턴의 헌트 도서관·이벤트 센터(201 S. Basque Ave)에서 열린다.   김가등 회장은 효 잔치 기금으로 1만 달러를 기부했다. 김 회장은 “회원에게 제공하는 혜택 확대와 회원 가입 독려 차원에서 잔치 개최를 늘렸다. 평소 집에 머무는 시간이 많은 회원들이 바깥 나들이를 하고 우의를 다지며 즐거운 시간을 갖도록 하자는 취지다. 상조회 해산에 따른 정리 작업도 끝났으니 센터에 활기를 불어넣으려는 뜻도 있다”라고 말했다.   양현숙 이사장은 “민요, 한국 무용, 싱얼롱과 장기 자랑을 포함한 다양한 여흥 프로그램을 선보이려고 한다. 한국에서 올 가수 2명과 색소폰 연주자 1명도 무대에 오를 예정”이라고 밝혔다.   헌트 도서관·이벤트 센터는 지난 2013년 문을 닫았으며, 약 270만 달러를 들인 리모델링을 거쳐 내달 13일 다시 문을 연다. 수용 인원은 약 300명이다. 센터 측은 참가 등록 시 회원에게 우선권을 준다고 밝혔다.   이사회는 올해 추석 대잔치를 9월 13일 가든그로브 커뮤니티 미팅센터에서 열고 12월 12일 ‘OC 한인 시니어의 날’ 잔치를 같은 장소에서 개최하기로 했다. OC수퍼바이저위원회는 지난 2015년, 당시 김가등 OC한인회장의 요청에 따라 매년 12월 12일을 OC 한인 시니어의 날로 선포한 바 있다.   이사회는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7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위원회는 ▶계획, 행사(박만순 수석부회장, 양현숙 이사장, 김자현 사무국장) ▶멤버십(김순례, 김영옥 부회장) ▶평생교육 세미나(임해일 이사, 김자현 사무국장) ▶식품 봉사(최영식 부회장, 오한근 봉사자), ▶웹사이트(에드워드 진, 임해일 이사, 김자현 사무국장) ▶시설 관리(이종윤 부회장) ▶교통(김자현 사무국장, 애나 정 재무부장) 등이다.   센터 관련 문의는 전화(714-530-6705)로 하면 된다. 임상환 기자한미시니어센터 잔치 김자현 사무국장 이사장 김자현 잔치 개최

2024-03-2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