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고] 청소하기, 마음 비우기, 감사하기

임인년(壬寅年)은 만나기 어렵다는 검은 호랑이의 해다. 한반도 지도를 호랑이로 표현하듯, 호랑이는 민족의 영물이다. 실은 우리 절 법당에도 모셔져 있다. 자그마한 산신단이 있는데, 영험해 보이는 산신님 옆에서 호랑이가 두 눈을 부릅뜨고 내려다본다. 처음엔 신령스러운 눈을 마주 보기가 무섭더니, 맨날 봐서 그런지 언제부턴가 듬직한 보디가드처럼 친근해졌다.   호랑이 얘길 하니, 생각나는 일이 있다. 예전에 한 일본 스님이 내게 사주를 봐준 적이 있었다. 됐다고 하는데도 한사코 봐주겠단다. 쭈뼛쭈뼛 망설이는 내게 하는 말이 “비구니니까 범띠만 아니면 된다”는 거였다. 그 말에 갑자기 웃음이 터져 피식 웃었더니, 급 눈치를 채고는 “괜찮아, 괜찮아, 범띠라고 어디 다 같은가. 갑인생만 아니면 되지” 했다. ‘내 원 참…’ 어이없어 웃음이 터진 나를 보고 멋쩍었는지, 그럼 사주 말고 별자리를 봐주겠다고 했다.   “괜찮습니다. 안 봐주셔도 됩니다.” 정중히 거절하자, 자기가 별자리를 잘 본다며 이번엔 ‘사자자리’만 아니면 된다고, 당당하게 내 사주를 물었다. 아니 이걸 뭐라고 대답해야 하나, 허허 웃는 내게 “설마 호랑이띠 갑인에, 별자리가 사자자리인 겁니까?” 눈을 동그랗게 떴다. 고개를 끄덕이며 미소 지었더니, 결론은 “볼 것도 없으니, 스님 뜻대로 사시오”였다.   한국인이나 일본인이나 대체 왜 이러는 걸까. 가만 보면, 동양인들은 여성이 큰 띠면 팔자가 세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지금은 덜 하지만, 옛날에는 더 심했다. 그 옛날 여성들은 자신의 삶을 맘대로 결정하지 못하고, 운명적인 관계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다. 고작 띠 하나 때문에.   나도 출가 전에는 사주 때문에 팔자가 셀 거라는 말을 많이 들었다. 게다가 여덟 글자 모두가 양(陽)이라 ‘양팔통 사주’라며 어른들이 고개를 저었다. 남자아이 같으면 크게 될 거라며 박수칠 텐데, 여자아이인지라 되레 주눅이 들었다.   그러던 것이 ‘독 안에 들어가도 팔자 도망은 못 간다’고 했던가. 사주를 믿진 않지만, 보편적인 삶에서 벗어나고픈 충동이 커질 때마다 곧잘 사주 탓을 했다. 사주 때문에 출가한 것인지는 몰라도 이제 와 먹물 옷을 입고 돌아보니, 큰 행복은 없어도 마음 하나 편하기에 출가하길 잘했구나 싶다.   어쨌든 이렇게 연초가 되면 사람들은 운세 타령도 하고, 각자 자기 운세도 궁금해한다. 힘든 세상에서 갈팡질팡 비틀거리다가 그나마 운이라도 좋다고 하면 그 말에 위안을 얻나 보다. 한편 어떤 이들은 “어떻게 하면 운이 좀 좋아질까요?” 묻기도 한다. 내가 알기론 좋은 운을 부르는 방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첫째, 청소하기! 주위를 단정히 하고, 정리정돈하면 좋은 운이 깃든다.   둘째, 마음 비우기! 힘 있는 사람 곁에서 이해득실 따져가며 살면, 운의 기복이 심해져 낭패를 보게 되니, 세상사에 얽매여 마음 어지럽히지 말라는 말이다.   셋째, 감사하기! 모자란 듯 덤덤하게 만족하며 살자는 얘기다. ‘고문진보’에 “둔한 자는 오래 살고, 뾰족하고 날카로운 자는 일찍 죽는다. 가령 붓은 날카롭고 뾰족하다. 따라서 빨리 못 쓰게 된다. 벼루는 둔한 것이라 오래 쓸 수가 있다”는 말이 있다. 영리하고 날카롭게 잇속을 챙기기보다는 무던하게 삶에 감사하며 사는 것이 행복을 부르는 비결이다. 결국 운을 부르는 것도 다 내 마음먹기 나름 아니겠는가.   바람에 깃발이 펄럭이고 있었다. 한 스님이 말했다. “깃발이 흔들리는구먼.” 다른 스님이 말했다. “바람이 흔들리는 것일세.” 옥신각신하고 있는데, 육조 혜능 스님이 말했다. “바람이 흔들리는 것도, 깃발이 흔들리는 것도 아닐세. 그대들의 마음이 흔들리는 것일세.”   올해도 꿋꿋하게 잘 견디시고,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원 영 스님 / 청룡암 주지기고 청소 마음 마음 하나 호랑이띠 갑인 양팔통 사주

2022-01-04

LA타임스 새 편집인 후보로 한인 여성 재니스 민 거론돼

LA타임스 새 편집인에 한인 여성이 임명될지 주목된다. 온라인매체 리코드(Recode)는 13일, 최근 대내외적으로 큰 변혁을 맞고 있는 LA타임스의 신임 편집인 후보 가운데 하나로 한인 여성 재니스 민(사진)씨가 재차 거론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리코드는 LA타임스의 모회사인 트롱크(Tronc)가 지난해 개혁안의 일환으로 재니스 민씨에게 편집인 자리를 제의했으나 사주가 원하는 전국적 콘텐츠 네트워크 설립의 개념이 모호해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전했다. 그는 또 더 큰 이슈는 소유주가 LA타임스 편집국과 너무 불편한 관계에 있었기 때문임을 밝혔다고 이 매체는 보도했다. 그는 "흥미로웠던 사실은 소유주가 그들의 편집국이 엉망이 됐다고 생각하고 있었다는 점"이라면서 "소유주들은 분명히 편집국과 소통하기를 원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하지만 LA타임스 소유주가 최근 순-시옹으로 바뀌면서 상황에 변화가 생겼고 재니스 민씨도 편집인 자리를 다시 고려할 수 있게 됐다. 민씨는 "LA타임스는 어마어마한 기회라고 생각한다"고 관심을 내비쳤다. 하지만 그는 이어 "모든 것은 소유권에 달려 있다"며 현재는 새 주인이 어떤 계획을 갖고 있는지 명확하지 않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LA타임스는 최근 편집국이 노조 결성을 결의하고 편집국장이 몇 개월 만에 바뀌고 신임 편집인은 성희롱으로 물러나는 등 어수선한 분위기를 보이며 유력 정론지로서의 위치가 흔들리고 있다. 최근에는 억만장자인 순-시옹에게 회사가 매각됐다. 재니스 민씨는 한인 여성 최초로 할리우드 리포터와 빌보드지의 편집장을 맡은 경험이 있다. 김병일 기자 [email protected]

2018-02-14

[중앙 칼럼] LA타임스를 인수한 중국계 의사

이제까지 많은 한인 언론들이 기사나 칼럼을 통해 '학부모들은 똑똑한 자녀들에게 성공한 의사나 변호사가 되라고 강요하지 말라'고 촉구해왔다. 하지만 이제는 조금 다른 측면에서 바라봐야할 지도 모르겠다. 한인사회에 너무 많은 의사와 변호사가 넘쳐나면 어쩌나 하는 우려도 있었지만 다른 직업을 가지면 좋을 자녀들이 흥미도, 적성도 맞지 않는 의사나 변호사에 매달리는 것이 안쓰러웠기 때문이다. 최근 LA타임스를 인수한 부자 의사의 스토리가 화제다. 패트릭 순-시옹(Patrick Soon-Shiong·1952년생)이라는 남아프리카 태생 중국계 외과의사다. 포브스가 추산하는 그의 자산은 대략 78억달러다. 미국 억만장자 순위에서 47위다. 그가 LA타임스와 샌디에이고 유니온 트리뷴을 묶어서 인수한 금액은 대략 5억달러다. 여기에 기타 부채 9000만 달러를 책임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순-시옹의 부모는 2차 세계대전 때 중국을 떠나 남아프리카공화국에 정착했다. 아버지의 직업은 한의사였다. 순-시옹은 23세라는 젊은 나이에 의대에서 학위를 받을 정도로 똑똑했다. 그는 또 요하네스버그 병원에서 첫 아시안 출신 인턴이었다. 이후 우여곡절 끝에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대학에서 외과 레지던트를 했다. 미국으로 이주해와 UCLA병원에서 췌장이식 프로그램 책임자가 됐고 이후 인슐린 생성세포를 환자의 췌장에 이식하여 당뇨병을 치료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자신의 의학연구회사, 바이오벤처를 창립했다. 이어서 유방암 퇴치를 위한 연구에 나서기 시작했고 결국 유방암, 폐암, 췌장암 등에 효과를 보이고 있는 암 치료제 중 하나인 애브랙세인(Abraxane)을 만들어냈다. 또한 약을 개발했던 자신의 회사를 29억달러에 팔았다. 그가 요하네스버그 병원에서 중국인에게 치료받지 않겠다고 수모를 줬던 환자들을 뿌리치고 남아프리카를 떠난 것은 훌륭한 결정이었다. 만약 백인 환자에 주눅이 들어 의사를 그만두고 주저앉았다면 일어날 수 없었던 기적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2009년에는 의사, 병원, 보험회사를 고속으로 연결하는 시스템을 기획했고 샌타모니카 세인트존스병원에 1억달러를 기부했다. 문제가 많았던 마틴루터킹 주니어 커뮤니티병원 재건도 지원했다. 또한 자신의 다른 벤처회사를 통해 LA인근 6개 병원운영을 관리하는 프로젝트도 추진했다. 2010년에는 NBA 농구팀 LA레이커스의 주주가 됐다. 그리고 이번에 LA타임스까지 손에 넣은 것이다. 그의 기업가적인 면모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렇지만 그가 LA지역 1위, 미국에서 6번째 부수를 자랑하는 일간 신문을 운영하게 된 것은 또 다른 의미가 있다. 그의 사업적인 포트폴리오나 궁극적인 목표는 사실 중요하지 않다. 다만 그의 LA타임스 인수로 인해 최소한 아시안이나 소수민족들이 그 신문을 통해서 경시되는 경우는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이제 한인 부모들도 특출한 자녀들, 특히 의대에 보내기 아까울 정도로 똑똑한 자녀가 있다면 인류를 질병의 고통에서 벗어나게 해줄 수 있는 바이오벤처를 해보라고 권해보는 것도 좋겠다. 또 실력있는 변호사가 돼 백악관에 가서 일하는 것도 좋다. 대부분 자녀는 가까운 곳에서 '의사 선생님'이나 '변호사 선생님'으로 일생을 마치게 되겠지만 소수는 인류도 구하고 이름도 날리는 그런 인물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미국은 크게 이룰 수 있는 기회의 땅이라는 것을 가르치자. 어떤 분야든. 장병희 / 사회부 부장

2018-02-13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