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새해도 이어지는 불법 마약 오남용 사망 문제

 BC주의 불법 마약 오남용 사망사고가 올해 첫 달에도 200명 가깝게 나왔지만, 1년 전이나 전달에 비해 감소한 것에 위로를 받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BC공공안전법무부와 검시소가 29일 발표한 1월 마약 오남용 사망자 수는 198명이었다. 이는 하루에 6.4명이 숨진 셈이다.       이 숫자는 작년 1월에 비해서는 14%가 감소했고, 전달에 비해서는 10%가 감소한 수치다.       인구 10만 명 당으로 따져서 42명이 불법 마약으로 목숨을 잃은 것이다.       2016년 4월에 공공-건강 응급상황을 선포한 이후 불법 마약류에 의한 사망자 수는 총 1만 4024명이 됐다.       가장 많은 사망자가 나온 도시는 여전히 밴쿠버, 써리, 그리고 나나이모 등이었다. 또 성별로 보면 남성이 75% 이상이었다. 또 연령으로 30세에서 59세 가장 활발한 경제활동연령대가 전체 사망자의 70%를 차지했다.       마약 사망 사고의 80%는 주로 실내에서 발생하는데 일반주거지가 47%, 기타 다른 실내 주거자가 33%였다. 마약 이용 방법으로 분류할 때 흡연이 69%로 가장 많았고, 코로 흡입이 15%, 주사가 13%, 그리고 구강이 8%였다.       이와 관련해 정신건강중독부 제니퍼 화이트사이드 장관은 "이런 일은 거의 캐나다 모든 주들에서 일어나고 있고, 미국도 마찬가지"라며, "올해 예산에 정신건강 및 관련 서비스를 위해 1억 1700만 달러를 배정했다"고 밝혔다.       한편 주정부는 불법 마약 오남용에 의한 사망을 줄이기 위해 안전 투약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리치몬드에 이와 같은 시설을 설치하려다 주민들의 거센 반발을 사고 있다. 엄주형 기자 [email protected]새해도 오남용 마약 오남용 불법 마약 마약 사망

2025-04-22

진전 없는 영주권 문호…새해도 적체·답보 계속

새해 첫 달부터 가족 및 취업이민 영주권 문호가 답보 상태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이민서류 수속 적체 현상도 이어지고 있는 데다 영주권 문호도 진척을 보이지 못하고 있어 신청자들의 답답함은 당분간 지속할 전망이다.   연방 국무부가 지난 19일 발표한 2023년 1월 중 영주권 문호에 따르면 한인들의 신청이 몰리는 취업이민과 가족이민 문호는 전달 대비 단 하루도 진전이 없었다. 〈관계 표 4면〉   취업이민의 경우 3순위 비숙련 부분의 비자발급 우선일자는 2020년 6월 1일로, 3개월째 동결된 상태다. 접수가능 우선일자도 2022년 9월 8일로 전달에 이어 그대로 유지됐다.     지난달 비자발급 우선일자가 후퇴됐던 취업이민 2순위(석사학위 소지자 또는 5년 경력 학사학위 소지자)도 전달과 같은 2022년 11월 1일로 제자리걸음을 보였다. 접수가능우선일자도 2022년 12월 1일이라 적체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취업이민 4순위(종교이민)의 경우 비자발급 우선일자는 2022년 6월 22일, 접수가능 우선일자는 2022년 7월 22일이다. 특히 4순위 비성직자 부문은 연방정부 예산 합의가 늦어지면서 단기 지출예산안에 따라 오는 23일까지만 비자 신청이 가능해 1월 중 문호에는 아예 비자 발급 우선일자가 나오지 않았다. 연방 국무부는 향후 예산안 처리에 따라 발급 재개 여부가 결정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신청자가 적은 1순위(글로벌 기업 간부·세계적인 특기자), 2순위(석사학위 소지자 또는 5년 경력 학사학위 소지자), 쿼터가 적용되는 3순위(학사학위 숙련)는 비자발급 우선일자와 접수가능 우선일자가 모두 오픈돼 있다. 팬데믹으로 급격히 축소된 투자 이민(5순위)도 오픈된 상태다.   가족 이민도 영주권자의 직계가족(2순위 A) 부문을 제외한 전 순위가 닫혀 가족들의 마음을 무겁게 하고 있다.     시민권자의 21세 이상 미혼자녀(1순위)와 영주권자의 21세 이상 미혼 자녀(2순위B), 시민권자의 기혼자녀(3순위) 및 형제자매(4순위) 부문은 비자발급 우선일자와 접수가능 우선일자가 전달과 동일하다. 반면 영주권자의 직계가족을 대상으로 한 비자발급 우선일자와 접수가능 우선일자는 모두 오픈된 상태다.     이에 대해 이민법 전문가들은 “팬데믹이 완화되면서 업무가 정상적으로 돌아간다고 해도 적체 서류를 해소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들 것”이라며 “새해에도 당분간 영주권 문호가 답보상태로 나올 수 있다”고 전망했다.   장연화 기자영주권 새해도 취업이민 영주권 비자발급 우선일자 반면 영주권자

2022-12-2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