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박종진의 과학 이야기- 탐사선 클리퍼

우리가 우주를 제대로 이해하기 시작한 것은 최근의 일이다.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화성에 지적 생명체가 살고 있을 것으로 생각했고 금성은 미국의 플로리다주 정도의 기온일 것이라는 추측을 할 정도였다.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우리의 순진한 기대는 여지없이 깨져버렸다. 금성의 표면은 고온과 고압, 그리고 엄청난 이산화탄소 때문에 지옥과 같은 환경이고 화성에는 우리 탐사 로버가 굴러다니기 시작하자 화성인들이 꼭꼭 숨어버렸는지 아직 아무런 생명의 흔적을 찾지 못했다. 태양계 안에서 그나마 지구와 가장 가까운 두 행성이 이 정도니 더 멀리 떨어진 행성에 생명체의 존재는 기대할 수도 없다. 1977년에 지구를 떠난 보이저 1호는 47년을 쉬지 않고 날아서 막 태양계를 빠져나갔다. 그 상태로 약 7만 년을 더 날아야 우리로부터 가장 가까운 항성계에 도착한다니 태양계 바깥을 넘보기는 당장은 불가능한 일처럼 여겨진다.   태양 주위에는 지구를 포함해서 총 8개의 행성이 있지만, 지구 말고는 그 어느 행성에서도 생명의 흔적을 발견하지 못했다. 하지만 태양계 밖에 눈을 돌릴 형편이 안 되자 과학자들은 태양계 행성을 공전하는 위성으로 관심을 돌렸다. 처음에는 토성의 위성인 엔켈라두스에 물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시작했으나 거리상으로 토성보다 가까운 목성의 위성인 유로파를 먼저 뒤지기로 했다. 유로파는 태양과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서 표면이 두꺼운 얼음층인데 그 틈에서 수증기가 솟구친다. 유로파의 크기는 지구의 달보다 조금 작지만, 지구 위에 있는 물의 양보다 거의 두 배 정도나 되는 물을 품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지구는 표면의 7할 이상이 물이기는 하지만 지각 위에 얕게 깔려 있으므로 물의 총량에서는 유로파가 훨씬 많다. 물에 염분이 포함된 사실도 알아서 해양 생명체의 존재가 큰 관심사로 떠올랐다.   2024년 10월에 발사된 유로파 탐사선 클리퍼는 5년여 비행 후에 목성 궤도에 도착하게 되는데 이번에는 유로파에 착륙하지 않고 그 대신 25km 근처까지 가깝게 접근하여 비행하면서 유로파를 관찰할 예정이다. 무엇보다도 간헐천처럼 수증기를 내뿜는 곳을 지나며 샘플을 확보한 후 탑재된 장비로 분석하여 결과를 지구로 보낼 것이다. 클리퍼 탐사선의 가장 주된 임무는 유로파 표면의 두꺼운 얼음층 아래에 존재하는 바다에 생명체가 존재하는지를 알아내는 것이다. 태양계의 생명체 거주 가능 영역 밖에 있어서 물이 있다고 해도 얼음 상태로 존재할 줄 알았는데 거대한 목성의 중력으로 생긴 조석 마찰력으로 내부의 얼음은 녹아서 액체 상태 바다가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과학자들은 태양 빛이 닿지 않는 지구의 해저 깊은 곳에서 열수구라는 곳을 발견했고 그 주위에 태양에서 나오는 에너지와 관계없는 생명체가 있으며, 심지어는 먹이사슬까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일반적인 생각으로 에너지의 원천은 오직 태양인 줄 알았는데 심해 바닥에 지열을 이용한 생명체가 발견된 후로 우주 생명체 탐사의 범위가 넓어졌다.   유로파 탐사선 클리퍼는 계획된 4년 임무를 끝내면 혹시나 유로파에 있을지도 모르는 생태계에 피해를 주지 않기 위해서 목성의 다른 위성인 가니메데나 칼리스토에 충돌시켜 임무를 마칠 예정이다. 어쩌면 우리는 지구 밖 생명체와 대면할 전야에 와 있는지도 모른다. (작가)     박종진박종진 이야기 탐사선 클리퍼 클리퍼 탐사선 유로파 탐사선

2025-04-25

박종진의 과학 이야기- 유로파

갈릴레이에 의해 배율이 스무 배나 향상된 망원경으로 군대에서는 국경선을 지켰으며 부자들은 남의 집 침실을 엿볼 수 있었다. 모든 사람이 땅에 관심을 두는 사이 정작 갈릴레이의 망원경은 하늘을 향했다. 그는 울퉁불퉁한 달 표면의 분화구를 보았으며 우리의 형제 행성인 목성 주변을 맴도는 천체를 발견했다. 목성의 위성이었다. 그 당시까지만 해도 하늘에 떠있는 모든 것은 지구를 중심으로 돌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그 천체들은 목성 주위를 공전하고 있었다. 갈릴레이의 발견은 지구중심설을 신봉하던 그 당시 많은 궁금증을 던져주더니 급기야 지동설에 불이 붙기 시작했다.   1610년 갈릴레이가 목성 주변에서 본 것은 총 95개의 목성 위성 중 네 개였다. 두 번째로 목성에 가깝게 도는 유로파는 지구의 위성인 달보다 조금 작고 표면은 두꺼운 얼음층이며 그 아래에 바다가 있는데 지구 바닷물의 2배 정도 될 것으로 추측한다. 태양계의 여덟 행성 중 안쪽 4개는 표면이 암석이고 바깥쪽 4개는 기체로 이루어졌다. 목성과 토성도 기체 행성인 데다 생명체가 살기 힘든 환경이어서 그 주위를 공전하는 위성에 관심을 두었다. 목성의 위성 유로파와 토성의 위성 엔켈라두스가 그 후보다.   과학이 발달하기 전에 우리는 화성인이 있는 줄 알았다. 그러나 지금, 이 우주에 우리와 교통할 수 있는 지적 생명체는 없다는 것이 일반적인 생각이다. 어딘가 우리보다 훨씬 과학기술이 발달한 그 무엇이 있겠지만, 우주의 규모로 미루어 그들과 영원히 교통할 수 없다는 것이 과학적인 추측이다.     얼마 전에 TV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가 큰 성공을 거뒀다. 하지만 별은 핵융합하는 천체여서 생명체가 살 수 없다. 그 대신 그런 별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이나 그 행성 주위를 도는 위성에는 생명체가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동안 발견해 낸 수천 개의 외계 행성에는 여러 이유로 생명체가 존재하기 불가능했다. 그러다 그들의 위성으로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 지구가 속한 태양이란 별에서 가장 가까운 별인 알파 센타우리를 공전하는 행성이 있다. 영화 아바타의 무대는 그 행성 주위를 도는 판도라라는 위성이다. 실제로는 빛이 4년 반이나 걸리는 먼 곳인데 영화에서는 우주선의 성능이 향상되어 6년 수면 상태로 거기까지 간다.    우리 태양계에는 지구 말고 생명체가 존재할 만한 행성이 없다. 그래서 이번에는 행성 주위를 공전하는 총 285개의 위성으로 눈을 돌렸다. 그 첫 번째 시도가 유로파 탐사선 클리퍼다. 클리퍼는 약 30억km를 날아 2030년 무렵에 목성의 궤도에 진입할 예정이며 착륙은 시도하지 않고 낮게 날면서 유로파 가까이서 관찰할 계획이다.     갈릴레이 위성 중 가니메데가 한 번 공전하는 동안 유로파는 정확하게 두 번, 그리고 이오는 네 번 공전하는 까닭에 가니메데가 목성 주위를 완전히 한 바퀴 돌 때마다 그 세 위성은 한 번씩 일직선 위에 놓이게 된다. 당연히 서로의 중력이 크게 작용할 것이고 이 힘이 위성 내부 액체 상태의 코어를 움직여 그 마찰로 열이 나고 화산 활동도 할 것이다. 그래서 태양에서 너무 멀어서 생명체 거주 가능 영역 밖 추운 곳에 있어도 표면 얼음 아래 액체 상태의 물이 있고 해저 열수구 근처에 생명체가 존재할지 모른다는 추측을 한다. 앞으로 10년쯤 후 우리는 유로파 바닷속에 사는 외계 플랑크톤과 극적인 만남의 순간을 맞게 될 지 모른다. (작가)     박종진박종진 이야기 위성 유로파 목성 위성 유로파 탐사선

2025-02-28

[신시아의 유로파 푸드] 투나 타르타르와 바삭한 감자

예전 뉴욕에 머물당시 자주 들렸었던 '아쿠아 그릴(Aqua Grill)' 이라는 레스토랑에 둘이먹다 하나가 죽어도 모를 환상적인 에피타이저가 있다. 바로 '샐몬과 바삭한 감자(Salmon Tartare on potato crisps)'. 한번 먹고는 그 맛을 잊지 못해 들릴 때마다 그 에피타이저만 먹었던 생각이난다. 아주 바싹하게 튀긴 감자에 연어를 얹어서 먹는 요리로 튀김보다 오븐에 바삭하게 굽고 연어보다는 참치를 사용해서 그 맛과 향을 살린 '투나 타르타르와 바삭한 감자(Tuna Tartare on potato crisps)'를 소개한다. 간단하고 보기도 좋아 와인이나 칵테일이랑 잘 어울린다. 특히 부드럽고고 향이 진하지 않은 '시라(Syrah)'종류의 와인을 곁들이면 좋다. ■신시아는… 푸드 전문가로 1999년 뉴욕대 경영학과 졸업후 프랑스 ‘Le Cordon Bleu’에서 프랑스 요리를 배웠다. 그 후 미국에서 식당관련 업종에서 종사하다가 현재는 요리 케이터링 업체인 ‘Le Poiema’ 대표로 있다. ◇만드는 법 ▶재료: 큼직한 루셋감자 하나, 식용유 약간, 참치 스테이크 1파운드, 디종겨자 두 큰술, 사워크림 한 큰술, 적양파 두 큰술 , 케이퍼(Capers)두 큰술, 올리브오일 약간, 이탈리안 파슬리. 1. 감자는 껍질을 벗기고 얇게 썬다. (슬라이서 사용) 2. 오븐은 300도로 예열한다. 3. 베이킹 접시에 실리콘 종이 (Parchment Paper) 를 깔고, 준비한 감자를 식용유를 살짝 발라 서로 비벼, 그릇에 깔고, 소금·후추로 밑간한다. 4. 오븐에서 40~50분 구워준다. 이때 자주 뒤집어주면 양끝이 말려드는 것을 막을 수 있다. 5. 구워진 감자는 페이퍼 타올에서 기름을 빼고 식힌다. 6. 참치는 작은 깍뚝썰기하고 (살짝 구워도 괜찮다) 7. 볼에 겨자+사워크림+양파+케이퍼+올리브오일+소금·후추를 넣고 섞는다. 8. 7에 깍뚝한 6을 넣어 섞고, 다진 파슬리를 넣어 가볍게 섞어 냉장고에서 맛이 베이도록 30분 둔다. 9. 감자 끝에 약간의 8를 얹는다. 약간의 파를 채썰어 올리면 완성.

2008-10-2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